$\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간제 근로 및 성별에 따른 개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 -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를 이용하여 -
The Effect of Part-time Work on the Satisfaction of Personal Life - Using Seoul Survey -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5 no.2, 2019년, pp.59 - 71  

김재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임업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연평균 근로시간은 OECD 최상위 수준이다. 장시간 근로는 근로자의 생산성을 저해하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방해하는 등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최근 정부는 시간제 일자리를 증가하는 등 유연근로제를 장려하고 있지만,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가 부족한 현실이다. 시간제 근로는 일과 개인의 삶을 병행할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열악한 근로환경과 부정적인 사회적 시선을 보유하여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전일제 근로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 노동시장에서 성별 격차를 경험하고 있으며, 일과 가정의 병행이라는 측면에서 시간제 근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7년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근무유형-성별의 교차효과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삶의 만족도는 전일제 여성, 전일제 남성, 시간제 여성, 시간제 남성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제 여성 근로자가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이 가장 높은 반면, 높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전일제 남성 근로자는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이 가장 낮은 반면, 높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s average annual working hours are among the highest in the OECD. Such long-term work has been a factor that reduces the quality of life by discouraging workers' productivity and interrupting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prompting the government to encourage flexible work systems, suc...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별-시간제 근로의 교차효과(cross effect)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간제 및 전일제 근로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성별에 따라 시간제 및 전일제 근로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시간제 일자리의 양과 질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공급을 통해 고학력 기혼여성을 노동시장에 유입시키는 동시에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본 연구는 근로 형태와 성별의 교차효과가 삶의 만족도의 구간별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가정하에 총 네 집단에 대하여 각각의 삶의 만족도 구간을 선택할 확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삶의 만족도에 대해 1~3점을 선택한 집단과 4~6점을 선택한 집단은 서로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지만, 7~10점을 선택한 집단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2017년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거주 근로자를 대상으로 성별-시간제 근로의 교차효과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동안 삶의 만족도에 있어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수행되어 온 반면, 성별과 시간제 근로 간의 교차효과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 개인의 삶의 만족도를 다루고 있는 다수의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수행되어 왔으나, 고용 유연화 및 시간제 일자리의 확산 등 최근의 노동시장 변화를 반영하여 시간제 및 전일제 근로여부를 핵심 설명변수로 하여 여성과 남성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2017년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별-시간제 근로의 교차효과(cross effect)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간제 및 전일제 근로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성별에 따라 시간제 및 전일제 근로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시간제 근로 여부에 주목한다. 개인이 시간제 근로를 통해 재정적 혜택과 사회적 접촉의 기회를 얻거나 무력감 또는 외로움을 감소시키는 심리적 혜택을 받을 경우, 시간제 일자리는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데 (Rife, 2001), 이는 시간제 근로를 통해 일자리의 기회나 노동의 유연성을 부여받고 자존감 형성 및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면 더욱 만족스러운 삶을 누릴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시간제 근로 여부와 성별의 교차효과에 따라 개인의 삶의 만족도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정보」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자신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자료와 시간제/전일제 근로 형태를 포함한 관련 변수에 대한 자료를 구득하였다.
  • 본 연구는 성별과 시간제 근로 여부의 교차효과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핵심 설명변수로 성별과 시간제 여부의 교차 효과항(cross-effect term)으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전일제 남성(M_Full)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시간제 남성(M_Part), 시간제 여성(Fe-Part), 전일제 여성(Fe_Full) 각각에 대하여 더미 변수를 구성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과 시간제 근로 간의 교차효과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종속변수는 개인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이며, 핵심 설명변수는 남성 전일제 근로자를 준거 집단으로 하여 성별과 시간제/전일제 근로 형태의 상 호적용 항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간제 근로는 무엇인가? 시간제 근로(part-time work)는 주어진 일정 시간을 일하는 근로 형태로서 시간에 따른 고용 상태를 나타낸다. OECD에서는 주된 업무에서의 평소 및 실제 근로시간이 주당 30시간 미만인 근로를 시간제 근로라고 지칭한다.
장시간 근로가 미치는 영향은? 이는 우리나라의 근로조건이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life satisfac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특히 장시간 근로는 개인의 생산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일과 가정의 양립을 방해하여 개인의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우리나라 근로자의 연간 근로시간은 2016년도 기준 2,052시간으로 OECD 국가 중 2위를 차지하고 있다(고용노동부, 2018).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서울시의 어떤 지원정책이 필요한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공급을 통해 고학력 기혼여성을 노동시장에 유입시키는 동시에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간제 일자리가 ‘좋은 일자리’로 인식될 수 있도록 정규직 시간제 일자리 창출을 장려하는 서울시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