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Worker's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581 - 589  

박은희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숙 (목포 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K지역의 근로자 131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3월 15일부터 2017년 4월 10일까지 진행하였다. 삶의 질은 Korean version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t-test, two-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와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으로 SPSS/WIN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 결혼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모두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삶의 질을 결혼 만족도, 우울, 월 평균수입, 배우자 관계가 34.3%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로조건 향상을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과 기업의 협력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근로자는 고용스트레스로 인해 가정 생활이 영향 받지 않도록 항상 자신을 삶을 주도할 수 있도록 자신에게 가치를 부여하고 주변 사람들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the quality of life. 131 workers in K are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15nd, 2017 to April 10th, 2017. The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동자의 결혼만족도, 우울,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파악해 향후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의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요소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으며,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대책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라, 결혼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근로자를 위한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근로자의 삶의 질, 우울, 결혼생활만족도를 평가해 근로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고, 우울을 줄이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비정규직의 경우, 고용의 불안정성, 업무에서의 차별, 근로자 복지의 배제 등이 발생하므로, 정신건강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 소지가 있어 더욱 각별한 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가 미약하나마 노동현장의 근로조건 향상과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용유연성이란? 우리나라는 1997년 금융위기 발생으로 인해 정부주도 아래 고용유연성을 확대하였다. 고용유연성이란 기업 주도 아래 근로자의 근조조건의 변화, 다원적인 저고용 저비용, 일시 고용 등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근로자에게는 절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갖게 한다. 현재 금융위기에서 벗어난 지 이미 20여 년이 되었으나, 최근 국내 경기가 다시 저성장에 늪에 빠지며, 노동자들은 고용 불안정에서 오는 다양한 문제들에 더 심각하게 노출되고 있다[1,2].
고용유연성은 고용주와 고용자(근로자) 중 누구에게 불리한가? 우리나라는 1997년 금융위기 발생으로 인해 정부주도 아래 고용유연성을 확대하였다. 고용유연성이란 기업 주도 아래 근로자의 근조조건의 변화, 다원적인 저고용 저비용, 일시 고용 등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근로자에게는 절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갖게 한다. 현재 금융위기에서 벗어난 지 이미 20여 년이 되었으나, 최근 국내 경기가 다시 저성장에 늪에 빠지며, 노동자들은 고용 불안정에서 오는 다양한 문제들에 더 심각하게 노출되고 있다[1,2].
삶의 질의 주관적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삶의 질의 객관적 측면은 소득, 의식주, 교육수준 등 사회물리적 환경에 의해 평가된다[9]. 반면 주관적 평가는 개인마다 삶의 과정 중에 경험하는 만족감, 행복, 사회적 성장, 가치 있는 삶이라고 느끼는 자신의 평가, 타인과의 비교에서 오는 우월감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10]. 이런 연유로 최근까지 객관적 요소가 삶의 질의 지표가 되었으나 경제적인 우월과 삶의 질이 불일치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 실정이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mstron, P., A. Glyn, J. Harrison, "Capitalism Since 1945", Oxford UK and Cambridge USA: BLACKWELL, 1991. 

  2.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DE7006&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3. Y. S. kim, "The size and actual condition of irregular workers in 2011" Labour Society Bulletin, Vol. 93 pp.10-46. 2004. 

  4. C. K. Park, "The Neoliberal Economic Policy and the Change of the Workers' Quality of Life in Korea" Korea Journal of Society, Vol. 35 No. 6. pp.79-104. 2001. 

  5. E. H. Chung, I. H. Song. "Effects of Employment Status on Depressive Mood among Workers :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Disposable Incom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 35. pp. 61-82. 2016. 

  6. J. M, Woo, M. N. Ha, D. S. Lee. "Effects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Vol. 2. No 1, pp. 29-50, 2002. 

  7. C. S. Lee, J. Y. Park, H. Y. Jang,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 37-44. 2016. 

  8. S. C. Choi, H. W. Park, "A study on the Effects of Employees' Socio-emotional Problems on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57, No. 4, pp. 177-196. 2005. 

  9. K. G. Kim. "Educational Attainment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Vol.48, pp. 1-28, 2013. 

  10. S. B. Park.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and comparison method" Korean Policy Science Review Vol. 7 No. 3 pp. 52-74, 2003. 

  11. S. B, Shin. "Differences in The Job Stress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s between Irregular and Regular Workers in Korea" Korean Conflict Resolution Research, Vol. 16, No. 1 pp. 83-111, 2008. 

  12. http://www.mosf.go.kr/%20nw/nes/detailNesDtaView.do;jsessionid2Dyjgmd1D+VtC2aSzIxpui+s.node20?searchBbsId1&searchNttId1MOSF_000000000003699&menuNo4010100 

  13. https://knoema.com/SDSNWHP2016/world-happiness-report-2017?country1001330-south-korea2017040600303.html 

  14. J. G. Park. "The Neoliberal Economic Policy and the change of the Workers Quality of Life in Korean" Journal of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Vol. 35, No. 6, pp.79-104, 2001. 

  15. http://v.media.daum.net/v/20161113153438050 

  16. Y. H. Lee, Y. J. Kim, S. Z. Oah.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10, No. 14, pp. 447-460, 2005. 

  17. E. O. Park.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Employer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2, No. 3, pp. 661-669, 2001. 

  18. H. J. Song, S. M. Lee.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2, No. 3, pp. 220-229, 2016. 

  19. D. S. Ko, D. J. Lee. T. S. Ko. "Changes in job stress, self-efficacy,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for white-colla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6 pp. 2935-2944, 2013. 

  20. W. J. Hwang, Y. H. Park,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n Korean Blue-colla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4 No. 2, pp. 94-10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