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박탈이 주민의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를 대상으로 -
The Multilevel Effects of Regional Deprivation on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of Residents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6 no.3, 2020년, pp.3 - 16  

송태수 (서울연구원) ,  임업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 내 공간적 불평등은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는 연구주제다. 그러나 공간적 불평등이 주민에게 미치는 세부적인 영향과 공간적 불평등이 지속되고 재생산되는 방식에 대한 실증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공간적 수준에서의 박탈을 나타내는 개념인 지역박탈이 주민의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5년 서울서베이 자료를 순서형 로지스틱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박탈 수준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일수록 자신의 계층상승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박탈이 주민의 계층상승에 대한 믿음을 저해함으로써 삶의 만족도와 기회 실현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지역 격차가 지속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공간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도시정책에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uses and effects of intra-urban spatial inequality have received much scholarly attention. However, the effects of urban spatial inequality on resident perceptions and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it is sustained and reproduced remain mostly unknow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reg...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에 기초하여 지역박탈이 근린효과(neighborhood effects)를 통해 주민의 건강뿐 아니라 계층인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서울시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순서형 로지스틱 다층모형(ordinal logistic multilevel model)을 분석하여 지역박탈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박탈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과 주민 수준의 자료를 각각 수집하고 병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더불어 본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자치구 단위에서 표집이 되었거나 획득이 가능한 최소 공간적 단위가 자치구 수준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자치구 수준의 분석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우리사회에서 내가 노력하면, 나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의 질문에 대해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개인 수준 변수를 통제하여 지역박탈의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의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관련 변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 그리고 사회정의에 대한 인식 변수를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 임의절편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는 개인 수준 변수만을 포함하여 분석한 모형 1과 지역 수준 변수를 포함한 최종모형을 분석한 모형 2를 비교하여 최종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초모형과 모형 1의 분산구성을 비교한 결과, 지역 간 분산은 두 모형에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지역박탈이 개인의 계층 및 사회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주로 건강 불평등에 한정되어 있던 지역박탈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 및 지역정책적 관점에서 지역박탈의 근린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간적 격차가 유지 및 확대되는 경로를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박탈이 근린효과를 통하여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이로 인해 야기되는 주민들의 부정적 특성들은 구성효과(composition effect)에 의하여 다시 해당 지역의 경제 및 사회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Macintyre and Ellway, 2000).
  • 본 연구는 지역박탈이 개인의 계층 및 사회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주로 건강 불평등에 한정되어 있던 지역박탈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 및 지역정책적 관점에서 지역박탈의 근린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간적 격차가 유지 및 확대되는 경로를 설명하고자 한다.
  • 지역 격차 관련 연구는 이제 단순히 지역 간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격차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러한 격차가 주민의 행동과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박탈이 주민의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다층모형 분석을 통하여 지역박탈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간의 상대적인 격차를 나타내는 개념인 지역박탈(regional deprivation)이 주민들의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지역박탈은 공공보건(public health)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개념으로서 지역의 낙후 수준이 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하는 데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Grintsova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박탈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과 주민 수준의 자료를 각각 수집하고 병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 2011). 본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에 기초하여 지역박탈이 근린효과(neighborhood effects)를 통해 주민의 건강뿐 아니라 계층인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서울시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순서형 로지스틱 다층모형(ordinal logistic multilevel model)을 분석하여 지역박탈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박탈은 무엇을 통해 측정되는가? 지역박탈은 일반적으로 지역박탈지수(regional deprivation index)를 활용하여 측정된다. 지역박탈 지수는 다양한 지표를 결합함으로써 지역의 상대적인 박탈 상태를 보여주는 지수다(Carstairs and Morris, 1990; Townsend, 1987).
계층 상승 가능성에 대한 사람들의 긍정적인 인식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어떤 이점을 지니는가? 계층 상승 가능성에 대한 사람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개인 및 사회 수준에서 다양한 이점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선 경제적인 측면에서 자신이 노력한 만큼 더 나은 삶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믿음은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하며 경제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동기부여로 이어져 사회 발전의 원동력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이하영·이수영, 2016; Appadurai, 2004; Gaviria et al., 2007).
박탈이란? 박탈(deprivation)은 영양, 의복, 주택, 주거시설, 환경 등에 있어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여겨지는 물질적인 기준에 미달하거나 일반적인 수준의 고용, 직업, 여가, 사회활동 또는 사회관계에 참여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Townsend, 1979). 또한 박탈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가지기를 희망함에도 해당 자원이 결여된 상태(Runciman, 1966) 또는 정상적이거나 기준이 되는 삶으로부터 배제된 상태(Bauman, 2013)로서 정의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곽현근, 2004,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38(6), pp.1-22. 

  2. 김동진.이소영.기명.김명희.김승섭.김유미.윤태호.장숙랑.정최경희.채희란.이정아, 2013,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김자영.김두섭, 2013, 주관적 계층의식과 사회자본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3(2), pp.401-430. 

  4. 김현정, 2016, 소득불평등 인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계층상승 가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5(2), pp.559-586. 

  5. 홍성훈, 2012, 소득계층 인식과 정치적 성향이 개인의 환경보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원.환경경제연구, 21(3), pp.717-741. 

  6. 백다미, 2017, 계층상승 사다리에 대한 국민인식 설문조사, 이슈리포트, 2017(9), pp.1-16. 

  7. 손미아, 2002, 직업, 교육수준 그리고 물질적 결핍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35(1), pp.76-82. 

  8. 신호성.이수형.추장민, 2009, 표준화사망비와 지역결핍지수의 상관관계: 지역사회 통합결핍지수 개발, 예방의학회지, 42(6), pp.392-404. 

  9. 이규환.서승제, 2009, 서울시 자치구간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강남 3 구와 강북 3 구의 비교, 한국공공관리학보, 23(4), pp.357-381. 

  10. 이병훈, 2017,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한국사회정책, 24(2), pp.157-179. 

  11. 이웅.임란, 2014, 박탈경험과 불평등인식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4(4), 93-122. 

  12. 이창근.강현철, 2017, 경기도의 생활인프라 격차 분석 연구, 한국지방행정학보, 14(1), pp.173-187. 

  13. 이하영.이수영, 2016, 사회계층이 국민의 희망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계층상승 가능성과 정부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5(3), pp. 325-356. 

  14. 이재완, 2013, 계층이동 사다리가 사회신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3), pp.189-223. 

  15. 여유진, 2017, 박탈의 실태 진단 및 사회통합에 대한 함의, 보건복지포럼, 245, pp.50-58. 

  16. 조명래, 2011, 만들어진 '공간 불평등', 지역격차, 월간 복지동향, 157, pp.4-9. 

  17. 조옥라, 1988, [특집: 한국사회의 저항운동-사회분야 2] 도시빈민의 사회 경제적 특징과 지역운동, 현상과인식, 12(1), pp.42-59. 

  18. 정백근.정갑열.김준연.문옥륜.이용환.홍영습.윤태호, 2006, 우리나라에서의 지역의 물질적 결핍수준과 15-64세 인구 표준화사망비의 관계, 예방의학회지, 39(1), pp.46-52. 

  19. Andrews, D., Green, C., and Mangan, J., 2004, Spatial inequality in the Australian youth labour market: The role of neighbourhood composition, Regional studies, 38(1), pp.15-25. 

  20. Appadurai, A., 2004, The capacity to aspire: culture and the terms of recognition, in: Rao V. and Walton M.(eds.), Culture and public ac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1. Bauman, Z., 2013, Liquid times: Living in an age of uncertainty, John Wiley & Sons. 

  22. Bjornskov, C., Dreher, A., Fischer, J. A., Schnellenbach, J., and Gehring, K., 2013, Inequality and happiness: When perceived social mobility and economic reality do not match.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91, pp.75-92. 

  23. Black, S.E., Devereux, P. J., and Salvanes, K. G., 2005, The more the merrier? The effect of family size and birth order on children's education, The quarterly journal ef Economics, 120(2), pp.669-700, 

  24. Brule G. and Maggino F., 2017, Towards more complexity in subjective well-being studies, in: Brule G. and Maggino F.(eds.), Metrics of subjective well-being: Limits and improvements, Springer. 

  25. Calder, A., and Cope, R., 2005, Breaking barriers: Reaching the hardest to reach, Princes Trust. 

  26. Callan, M. J., Kim, H., Gheorghiu, A. I., and Matthews, W. J., 2017, The interrelations between social class, personal relative deprivation, and prosociality,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8(6), pp.660-669. 

  27. Carstairs, V., and Morris, R., 1990, Deprivation and health in Scotland, Health bulletin, 48(4), pp.162-175. 

  28. Carpiano, R. M., 2006, Toward a neighborhood resourcebased theory of social capital for health: Can Bourdieu and sociology help?, Social science & medicine, 62(1), pp.165-175. 

  29. Corrigan, P., 2004, How stigma interferes with mental health care, American psychologist, 59(7), pp.614-625. 

  30. Corrigan, P. W., Larson, J. E., and Ruesch, N., 2009, Self-stigma and the "why try" effect: impact on life goals and evidence-based practices, World psychiatry, 8(2), pp.75-81. 

  31. Cottle, S., 1994, Stigmatizing handsworth: Notes on reporting spoiled space,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11(3), pp.231-256. 

  32. Darcy, M., and Gwyther, G., 2012, Recasting research on 'neighbourhood effects': A collaborative, participatory, trans-national approach, in: van Ham M., Manley D., Bailey N., Simpson L., and Maclennan, D.(eds.), Neighbourhood effects research: New perspectives, Springer. 

  33. Diener, E., and Suh, E., 1997, Measuring quality of life: economic, social, and subjec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40, pp.189-216. 

  34. Doyle, D. M., and Molix, L., 2015, Social stigma and sexual minorities' romantic relationship functioning: A meta-analytic review,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1(10), pp.1363-1381. 

  35. Gaviria, A., Graham, C., and Braido, L. H., 2007, Social mobility and preferences for redistribution in Latin America [with comments], Economia, 8(1), pp.55-96. 

  36. George, E., Chattopadhyay, P., and Zhang, L. L., 2012, Helping hand or competition? The moderating influence of perceived upward mo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lended workgroups and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Organization science, 23(2), pp.355-372. 

  37. Goffman, E., 1963,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Prentice-Hall. 

  38. Graham, C. L., and Pettinato, S., 2004, Happiness and hardship: Opportunity and insecurity in new market economies, Brookings Institution Press. 

  39. Gregory, R., Slovic, P., and Flynn, J., 1996, Risk perceptions, stigma, and health policy, Health & place, 2(4), pp.213-220. 

  40. Grintsova, O., Maier, W., and Mielck, A., 2014, Inequalities in health care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by individual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regional depriv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3(1), 43. 

  41. Gustafson, P., 2001., Meanings of place: Everyday experience an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1), pp.5-16. 

  42. Kelley, S. M., and Kelley, C. G., 2009, Subjective social mobility: data from 30 nations, in: Haller, M., Jowell, R. and Smith, T.(eds.), Charting the Globe: The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1984-2009, Routledge. 

  43. Macintyre, S., and Ellway, A., 2000, Ecological approaches: rediscovering the role of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in: Berkman, L. F., & Kawachi, I.(eds), Social Epidem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4. Markowitz, F. E., 1998, The effects of stigma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9(4), pp.335-347. 

  45. Messer, L.C., Laraia, B.A., Kaufman, J.S. et al., 2006,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neighborhood deprivation index, Journal of urban health, 83, pp.1041-1062. 

  46. Osterling, K. L., 2007, Social capital and neighborhood poverty: Toward an ecologically-grounded model of neighborhood effect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16(1-2), pp.123-147. 

  47. Parkin, F., 1971, Class inequality and political order: Social stratification in capitalist and communist societies, New York. 

  48. Rosenfield, S., 1997, Labeling mental illness: The effects of received services and perceived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2(4), pp.660-672. 

  49. Runciman, W. G., 1966, Relative deprivation & social justice: Study attitudes social inequality in 20th century England,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17(4), pp.430-434. 

  50. Stafford, M., and Marmot, M., 2003, Neighbourhood deprivation and health: does it affect us all equall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2(3), pp.357-366. 

  51. Stevenson, H. C., McNeil, J. D., Herrero-Taylor, T., and Davis, G. Y., 2005, Influence of perceived neighborhood diversity and racism experience on the racial socialization of Black youth, Journal of black psychology, 31(3), pp.273-290. 

  52. Townsend, P., 1979, Poverty in the United Kingdom: a survey of household resources and standards of living, Penguin Books. 

  53. Townsend, P., 1987, Deprivation, Journal of social policy, 16(2), pp.125-146. 

  54. Wacquant, L., 2007, Territorial stigmatization in the age of advanced marginality, Thesis eleven, 91(1), pp.66-77. 

  55. Wagner, M. E., Schubert H. J. P., and Schubert, D. S. P., 1985, Family Size Effects: A Review,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6(1), pp.65-78. 

  56. Walker, I., and Pettigrew, T. F., 1984, Relative deprivation theory: An overview and conceptual critique,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3(4), pp.301-310. 

  57. White, H. L., Matheson, F. I., Moineddin, R., Dunn, J. R., and Glazier, R. H., 2011, Neighbourhood deprivation and regional inequalities in self-reported health among Canadians: Are we equally at risk?, Health and place, 17(1), 361-369. 

  58. Williams, C. T., and Latkin, C. A., 2007,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personal network attributes, and use of heroin and cocain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2(6), pp.S203-S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