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재정소요 전망 도출을 위한 시계열 모형 수립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ime Series Model for Deriving Financial Outlook of Basic Research Support Programs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27 no.4, 2019년, pp.21 - 48  

윤수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이상경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염경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신애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초연구 분야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양적 확대가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체계적인 투자계획이나 데이터에 기반한 재정소요를 제시하는 연구 및 정책자료가 전무하여 관련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계열 예측모형을 활용하여 기초연구지원사업의 향후 재정소요를 전망하였다. 기초연구분야의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른 단일 종속변수의 값을 예측하는 ARIMA 모형이 아닌, 다변수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ARIMAX 모형을 선택하였다. 모형 적합성 판단을 위해 ARIMAX 모형과 ARIMA 모형의 예측값을 비교한 결과 ARIMAX 모형에서 예측오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ARIMAX 모형에 기반하여 2017년에서 2021년까지 5년 간의 기초연구지원사업 재정소요를 전망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재정소요를 통계적 접근방법인 시계열모형을 적용해 전망한 시범적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과, 단변량이 아닌 다변량을 고려하여 예측력을 개선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현 정부 국정과제인 '기초연구 예산 2배 확대' 등 기초연구 투자의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는 정책기조를 고려할 때 향후 기초연구 투자전략 수립 시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basic research field, quantitative expansion is carried out with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but there is no research and policy data suggesting systematic investment plans or data-based financial requirements yet.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future financial requirements of bas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지원 예산 2배 확대라는 국정과제의 원활한 수행과 이를 위한 투자전략 도출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기초연구지원사업 예산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시계열 예측모형을 활용하여 향후 5년3)간의 기초연구지원사업 재정소요를 전망하고자 한다. 기존의 기초연구 예산계획은 주로 단기적인 시뮬레이션4)을 바탕으로 수립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수립한 모델을 통해 보다 예측력 높은 재정소요 전망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통계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재정소요를 전망하는 기존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통계적 분석방법인 시계열 예측모형을 활용한 시범적 연구로써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예산추계에 많이 활용되는 단변량 모형이 아닌, ARIMAX모형을 활용함으로써 예산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단변량 예측모형에 비해 예측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초연구의 특징은? 오랜 경기침체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을 위한 재도약이 요구되는 시기로, 경제, 환경, 사회적 난제 해결 등의 중장기적 이슈해결 및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주요 방안 중 하나로 창의적인 기초연구1)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기초연구는 타 분야와 달리 투자성과가 도출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활용분야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민간기업 보다는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지원한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은 기초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각국의 특성에 맞는 지원체계를 확립하여 정부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신은정, 2016).
점증주의 이론의 결점을 보완할 이론으로 단절균형이론이 선택된 이유는? 이를 보완하는 대표적인 접근으로 예산의 급진적 변화를 설명하는 단절균형이론을 들수 있다. 점증주의 이론과 유사하게 안정적인 현상을 유지하면서 정치적 변동에 따른 예산 증감률 등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으로 간주되며 점증주의의 발전된 형태로 평가받고 있다(이현숙 외, 2011: 69-70). Jones et al.
기초연구 분야에 필요한 것은? 기초연구 분야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양적 확대가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체계적인 투자계획이나 데이터에 기반한 재정소요를 제시하는 연구 및 정책자료가 전무하여 관련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계열 예측모형을 활용하여 기초연구지원사업의 향후 재정소요를 전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7), "2018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2017.3.14. 

  2.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8), "2019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2018.3.14. 

  3.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4. 김기완.이주호 (2013), "국가연구개발체제 혁신방안 연구: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언". 한국개발 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07. 

  5. 김선근.오완근 (2004), "정부와 민간의 R&D 투자 및 국민소득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미.일 국제 비교", 한국기술혁신학회, 제7권 2호, pp.257-281. 

  6. 김영주 (2014), "계절 ARIMA 모형을 활용한 저가항공 수요예측-국내선 제주권.내륙권 예측 비교 분석-", 관광연구논총, 제26권 제1호(통권38), pp.3-25. 

  7. 김철현.남종오 (2015), "VAR 모형을 이용한 유통단계별 갈치가격의 인과성 분석",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6(1), pp.093-107. 

  8. 문관식.황은혜.신애리 (2016), "기초연구사업 투자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기초연구 추진방안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319-329. 

  9. 미래창조과학부 (각 연도), "과학기술논문(SCI) 분석 연구". 

  10. 박광균.전지성.조주연.정원윤 (2015), "학문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기초연구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11. 박기범.신은정.양현채.정효정.오진숙 (2017), "기초연구 지원 확대의 쟁점과 과제", STEPI insight, Vol 219. 

  12. 박소희.이흥권.이현숙.조윤주.이홍직.김인직.이혜진 (2014), "정부 R&D예산 편성과정의 정책이론적 분석 가능성 탐색", KISTEP 연구보고, 2014-026. 

  13. 박재성 (2015), "GAM 및 ARIMAX 모형을 적용한 대기오염물질의 건강영향 시계열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14. 박종훈.민경찬.김승환.배병수.금종해.공현경.우유미.이유경 (2014), "국내외 여건 변화에 따른 효과적.효율적 기초연구 지원체계 및 맞춤형 기초연구 홍보전략 수립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15. 박준경.이호창 (1985), "경제변수의 시계열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 85-02. 

  16. 송경재.양희민 (2005), "시계열 분석에 의한 국제유가 예측; Nymex-WTI 선물가격을 중심으로". 통계청 통계연구, 제10권 제1호, pp.62-81. 

  17. 신무섭 (2007), "한국 지방자치단체 지출수준의 결정요인". 한국행정논집, 제19권 3호, pp.609-635. 

  18. 신애리.윤수진.함선영.이상경.염경환 (2018), "재정소요 전망에 따른 기초연구분야 중장기 투자포트폴리오 수립 연구", KISTEP 연구보고, 2018-006. 

  19. 신애리.윤수진 (2017), "신정부의 기초연구 투자를 위한 정책제언", KISTEP Issue weekly, 2017-03(통권 제209호). 

  20. 신은정 (2016), "기초연구 지원 동향 및 시사점1:주요 선진국 사례". STEPI 동향과 이슈, 제24호. 

  21. 심우중.김은실. (2010).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정부연구비의 투입대비 성과의 다각적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제13권 1호, pp.1-27. 

  22. 엄익천 (2011), "정부연구개발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34-157. 

  23. 원종욱.성병찬.장인수 (2016), "ARIMAX 모형을 적용한 건강보험지출 장기전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2권 제2호, pp.1-27. 

  24. 유승훈 (2003), "정부 R&D 투자와 민간 R&D 투자의 인과관계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1권 제 2호, pp.175-194. 

  25. 윤성채 (2014), "정부예산결정이론의 적합성 검증", 한국행정논집, 제26권 제2호, pp.135-161. 

  26. 이민형.안두현.박동배.박기범.김계수.박미영.김은실 (2009), "창의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및 지원방안", STEPI 정책연구, 2009-17. 

  27. 이우리 (2013), 시계열분석과 예측 -이해와 응용-, 도서출판 탐진. 

  28. 이우성.박미영.김보현 (2014), "기초.원천연구 투자의 성과 및 경제적 효과분석". STEPI 정책연구, 2014-21. 

  29. 이윤빈.이상남.채수연.김준수 (2015), "학문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개인기초 연구과제 지원 방안 연구", KISTEP 연구보고, 2015-065. 

  30. 이현숙.조성식.고용수.김석필.김정권.박정일.배상태.엄익천.이상현.이흥권.정상기.최미나.김성아.용태석 (2011), "예산결정요인 분석을 통한 정부R&D 재정소요추정 방법론 탐색", KISTEP 연구보고, 2012-048. 

  31. 임길환 (2016), "기초연구지원 R&D 사업평가", 국회예산정책처, 사업평가 16-07(통권 357호). 

  32. 장연수 (2000), "대통령의 정책의지와 부처예산형성에 관한 연구-문민정부 농림수산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4호, pp.59-81. 

  33. 조수현 (2008), "예산결정의 제도적 맥락과 제한된 합리성 : R&D분야의 예산 종합조정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행정, 제18권 제2호, pp.1-24. 

  34. 조수현 (2009), "지방정부사회복지예산 결정의 메커니즘과 구조적맥락". 지방행정연구, 제23권 제2호, pp.101-131. 

  35. 진상기.오철호 (2015), "예산형성 과정에 있어서의 '정치.행정 요인'의 재발견: 한국고등교육 예산의 시계열회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24권 제1호, pp.103-137. 

  36. 최수임.손흥구.김삼용 (2018), "전기 자동차 전력 수요 예측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8-29(5), pp.1137-1153. 

  37. 최영문 (1997), "관광수요예측모형의 예측정확성 평가".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통계청 (각 연도), "소비자물가조사 통계 자료". 

  39. 하규만 (2001), "국민총생산과 연구개발 투자비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1990년대 초반부터", 행정논총, 제39권 제1호, pp.203-211. 

  4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각 연도a),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4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각 연도b),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4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각 연도c),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43. 한국교육개발원 (각 연도), "교육통계연보". 

  44. 한국연구재단 (각 연도), "연구지원통계연보". 

  45. 한국은행 (각 연도), "국민소득". 

  46. 한국은행 (각 연도a), "소비자물가조사". 

  47. 함성득.윤기중 (2002), "한국의 국방비 영향요인의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3호, pp.129-145. 

  48. OECD.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6), "프라스카티 매뉴얼 2015, 연구개발 자료수집과 보고에 관한 지침". 

  49. Chan, K..B. Ripley (2018), Time Series Analysis, Version 1.2. URL: https://cran.r-project.org/web/packages/TSA/ 

  50. Dritsakis, N..P. Klazoglou (2017), Time series analysis using ARIMA models: an approach to forecasting health expenditures in USA, 2019 volume 72, Issue 1-February, pp.77-106. 

  51. Hawes, J. M. (2015), Proceedings of the 1989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AMS) Annual Conference. Springer. 

  52. Jones, B..F. Baumgartner.C. Breuning, C. Wlezien.S. Soroca, M. Foucault.A. Francois.C. Green-Pedersen.C. Koski, P. John.P. Mortensen.F. Varone, and Walgrave (2009), A General Empirical Law of Public Budget: A Comparative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53(4), pp.855-873. 

  53. Pankratz, A. (1991), Forecasting with Dynamic Regression Models. 1st Edition, Wiley-Interscience. 

  54. Swanson, C. J. (2008), Long-Term Financial Forecasting for Local Governments, Goverment Finance Review, pp.60-66. 

  55. Wildavsky, A. (1979), How to Limit Government Spend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6. Williams, D. W..T. D.Calabrese (2016), The status of budget forecasting. Journal of Public and Nonprofit Affairs, 2(2), pp.127-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