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층식 모듈러주택의 시공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품질관리 중점사항 제안
Suggestions for Quality Management through Analysis of Construction Process of Multi-layer Modular Housing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10 no.3, 2019년, pp.67 - 75  

손정락 (토지주택연구원) ,  이동건 (토지주택연구원) ,  방종대 (토지주택연구원) ,  김진원 (토지주택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dular construction means that more than 70% of the parts such as walls, windows, electrical wiring, facility piping, bathrooms, and kitchen appliances are pre-assembled at the factory and transported to the sit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than general construction work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LH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된 “모듈러주택 공정관리 표준화기법 발굴에 관한 연구” 과제의 성과를 기초로 작성하였다.
  •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모듈러주택 시장은 활성화되지 않아 제작업체들이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으며, 모듈러 생산품질은 공장제작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현장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절에서는 발주처나 건축주들이 모듈러 공사의 기획 및 설계 단계에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실제 모듈러 시공사례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품질관리 중점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듈러 공사의 품질관리 중점사항은 모듈러 공장제작, 현장조립, 현장 마감 단계로 분류하였으며, 천안시。현장의 공사 관리상의 문제점과 공사단계별 주요 체크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Table 3과 같이 도출하였다.
  • 마감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주택의 공사단계별 모니터링을 통해 시공 프로세스를 조사하고, 주요 문제점 분석을 통한 품질관리 중점사항을 도줄하고자 한다.
  • 하지만 국내에서 모듈러주택은 아직까지 공급사례가 많지 않으며, 모듈러 제작업체별 공업화주택 인정범위가 서로 달라 모듈러 구성재료 및 시공방법 등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주택 건설공사의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모듈러 공장제작, 현장 조립, 현장마감 단계에 발생하는 주요 문제점을 파악하고, 품질관리 중점사항을 도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균태(2011), "도시형생활주택을 위한 모듈러 주택시공의 타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구조계, 31(1): 155-156. 

  2. 김진성, 김형근, 류국무(2017), "도심지 소규모 모듈러주택 계획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7(1): 975-976. 

  3. 문영아, 김미경, 박미정(2013), "주거용 단일유닛 모듈러의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9(10): 65-73. 

  4. 이영호, 이두헌, 김균태(2012), "유닛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초기 단계에서의 고려사항",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3(6): 133-142. 

  5. 전영훈, 김균태, 이영(2015), "국내 모듈 주택 사례분석을 통한 설계품질 향상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31(6): 23-31. 

  6. 조봉호, 김홍진, 고광호(2007), "모듈러 건축 시스템의 기술개발 동향 및 적용 사례", 한국강구조학회지, 19(1): 112-119. 

  7. 황현준, 정찬우(2016), "모듈러 주거시설의 단위유닛 제작품질 확보를 위한 공장제작도서 개선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7(6): 137-144. 

  8.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query%EC%A3%BC%ED%83%9D%EB%B2%95#J51: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