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그래픽 시뮬레이터에서 사이렌 소리 자극에 따른 청각 자극의 마스킹 효과
The Ability of Auditory Stimuli to Mask Siren Sounds in a Vehicle Graphic Simulator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2 no.3, 2019년, pp.47 - 54  

박정순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김규범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조형석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김경래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김형준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민병찬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운전 중 외부 소음으로 유발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심박변화율의 상관관계 분석의 선행연구와 음원의 주파수에서 운전자로 하여금 안정상태를 유발하는 음악과 소음 발생 시 심전도의 변화 가 있는 지의 여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다. 매년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가 외부 소음으로부터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자동차 운전 시 외부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는 불안, 면역약화, 우울, 심장 질환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외부 소음으로부터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자동차 시뮬레이터를 실시하여 여러 가지 청각 자극을 주어 운전자가 반응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RM-ANOVA (Repeated Measures-ANOVA) 통계분석 결과, 집단별 유의차가 인정되었다(ρ<0.05). 사후 검정을 통해 어떤 요인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사후검정 결과는 요인1(안정)과 요인2(시뮬레이션운전), 요인1(안정)과 요인3(운전+경찰사이렌), 요인1(안정)과 요인4(운전+경찰사이렌+음악)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감신경계 활성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운전+경찰사이렌+음악을 실시한 요인 4이며, 다음으로 운전+경찰사이렌인 요인 3이며, 다음으로 운전을 실시한 요인 2, 마지막으로 안정기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운전 중 경찰 사이렌 소리를 들려주어도 심전도의 변화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사이렌 소리에 안정된 주파수의 음악을 들려주어도 심전도의 변화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ρ<0.01). 향후 연구에서는 운전 중 심전도의 안정을 찾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음악을 들려주어서 심전도가 안정화되는 음악을 찾는 연구방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previous studie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as a method to reduce the stress caused by outside noise during driving, and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electrocardiographic changes when drivers play music, which provides a stable sound source amid the noi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9). 그래서 스트레스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고 운전자의 안전도를 향상 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 그리하여 외부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자동차 시뮬레이터를 실시하여 청각 자극을 주어 운전자가 반응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심전도가 안정적인 음악과 소음 발생 시의 심전도의 변화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 본 연구를 통하여 청각자극의 마스킹효과에 대해 탐색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사이렌 소리에 다른 자극을 동시에 주는 방법과 소음의 강도를 조절하여 심전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그리하여 외부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자동차 시뮬레이터를 실시하여 청각 자극을 주어 운전자가 반응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심전도가 안정적인 음악과 소음 발생 시의 심전도의 변화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가설 설정

  • 귀무가설(H0)이 기각되어 네 집단의 분산은 다르다(구형성 불만족)고 할 수 있다. 유의확률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은 무엇이 있는가? 소음에 의한 스트레스는 우울, 불안, 심장질환, 면역약화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킨다(Obelenis, 2007; Samad & Haleem, 2007; Zheng, 2007). 특히 스트레스에 의한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적 질환은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소음에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Choe et al.
바로크 음악을 들으면 긴장 이완도가 커지는 이유는? 음원 중에서 사람에게 안정감을 주는 음원은 규칙적이고 일정한 박자가 반복되어 심리적 안정 상태를 유지시키고 집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그중에서 고전주의 중에서 바로크 음악을 들으면 긴장 이완도가 크다고 한다(Ryu, 2001).
Tomas(1990)가 정의한 마스킹이란 무엇인가? 외부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소음의 마스킹 효과가 있다. Tomas(1990)에 따르면 마스킹을 “어떤 소리에 의해 다른 소리가 불분명해지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소리에 노출되어 있을 때 그 중 하나는 다른 하나에 의해 잘 들리지 않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다. 마스킹은 큰소리에 의해서 작은 소리의 가청 한계가 상승한다는 것으로 잘 설명되어 질 수 있다(Loew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 D. S. (2002). Analysis of masking effect of road traffic noise by hydroponics facility. Korean Forest Recreation Museum, 6(4), 9-19. 

  2. Bae, N. E., & Choi, I. A. (2018). The Effect of the Noise Level on the stress hormones during aerobic exercis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905-914. 

  3. Broadbent, D, E. (1979). Human Performance and Noise, in C. M. Harris(ed), Handbook of noise control, McGraw-Hill. 

  4. Choe, U. G., Lee, G. S., Jeong, H. Y., Lee, Y. C., Son, J. H., Lee, B. H., Byeon, G. H., & Sim, I. S. (2007). Stress response to low frequency noise in hin rats. Emotional Science, 10(3), 411-418. 

  5. Kim, J. K., Park, N. H., Jang, G. S., & Ko, I. J. (2008). Auditory impulse by relaxed on Heart rate pattern guidance. Korea HCI symposium, 158-162. 

  6. Kim, J. K., Park, N. H., Jang, G. S., & Ko, I. J. (2008). Correlation analyst of music frequence and heart rate variability. Korea Computer Information Association No 28 Summer symposium, 338-341. 

  7. Kim, S. S., & Hong, Y. S. (1999). The Stress Hormones Responses Following Music Sound Levels during Aerobic Dance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65-675. 

  8. Ko, D. S., & Kim, H. (1993).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car alarm (Klaxon) sound. Mokwon University, 21, 161-17. 

  9. Kwon, S. P. (1985). Environmental Science. Hyungseul publishing, 227, 272-278. 

  10. Lee, S. C. (1991). Communicating during car horn and driving. Journal of Traffic Safety Research, 10, 19-27. 

  11. Lee, N. H., Park, Y. M., & Seon, U. O. (2001). A Study on Improvement of Prediction of Road Traffic Noise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ore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Journal, 10(4), 297-304. 

  12. Lowen, & Laura j. Petter suedfeld. (1992). Cognitive and Arousal Effects of masking office noise. Environment and behavior, 24(3), 381-395. 

  13. Min, C. K. (2013). Study on the masking effect of olfactory stimuli and the effect of highly concentrated oxygen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a graphic driving simulator. (Master's thes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4. Min, C. K., Ji, D. H., Ko, B. S., Kim, J. S., Lee, D. H., Ryu, T. B., Shin, M. S., Chung, S. C., Min, B. C., & Kang, J. K. (2012). The masking effect according in olfactory stimulus on horns stimulus while driving in graphic driving simulator.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35(4), 227-234. DOI:10.11627/jkise.2012.35.4.227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2018). National Statistical Yearbook. 

  16. Nantais, K. M., & Schellenberg, E. G. (1999). The Mozart Effect: An Artifact of preference. Psychological Science, 10, 370-373. 

  17. Obelenis, V., & Malinauskiene, V. (2007).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factors o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Medicina (Kaunas), 43(2), 96-102. 

  18. Poulton, E. C. (1979). Composite model for human performance in continuous noise. Psychlogical Review, 86(4), 361-375. 

  19. Rausher, F. H., Shaw, G. L., & Ky, K. N. (1993). Music and Spatial task Performance. Nature, 365, 611. 

  20. Ryu, R. (2001). The effect of subliminal music on tension relaxation, Graduate School of Music Therapy.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Samad, N., & Haleem, D. j. (2007). Serotonin-1A receptor responsiveness in stress and following adaptation to stress. Pakist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20(2), 115-119. 

  22. Son, D. H. (1991). Impact of noise on human body, Donga Science. Science Donga, 67, 103-107. 

  23. Tomas D. Rossing. (1990). The science of sound, Addison wesley publish company. 

  24. Youn, T., Park, H. J., Kim, E. J., & Jeong, D. U. (2000). Effects of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pplication on sympathetic activation: Power spectrum analysis of electrocardiogram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13(1), 43-50. 

  25. Yun, D. E., Lee, M. U., & Kim, S. G. (2006). Analysis of music appreciation learning effect using pulse chang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llected paper Volume 4 No 2,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792-795. 

  26. Zheng, K. C., & Ariizumi, M. (2007). Modulations of immune functions and oxidative status induced by noise stress. Jourmal of Occupational Health, 49(1), 3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