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족부 족관절 질환 환자에서 전자식 족부 기능 지수의 인증: 임의 배정, 전향적, 다기관 연구 Validation of Electronic Foot Function Index in Patients with Foot and Ankle Disease: A Randomized,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원문보기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onic foot function index (eFFI) through a prospective, random based, multi-institutional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227 patients ranging in age from 20 to 79 years, visited for surgery in different 15 institutes, and agreed to vo...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onic foot function index (eFFI) through a prospective, random based, multi-institutional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227 patients ranging in age from 20 to 79 years, visited for surgery in different 15 institutes, and agreed to volunteer. The patien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a paper-based evaluated group (n=113) and tablet-based evaluated group (n=114). The evaluation was done on the day of hospital admission and the method was changed on the second day of surgery and re-evaluated. PADAS 2.0 (https://www.proscore.kr) was used as an electronic evaluation program.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and sex in both groups.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evaluation revealed an eFFI ICC of 0.924, showing that both results were similar. The evaluation time was shorter in the tablet-based group than the paper-based group (paper vs tablet, $3.7{\pm}3.8$ vs $2.3{\pm}1.3minutes$). Thirty-nine patients (17.2%) preferred to use paper and 131 patients (57.7%) preferred the tablet. Fifty-seven patients (25.1%) found both ways to be acceptable. Conclusion: eFFI through tablet devices appears to be more constant than the paper-based program. In addition, it required a shorter amount of time and the patients tended to prefer the tablet-based program. Overall, tablet and cloud system can be beneficial to a clinical study.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onic foot function index (eFFI) through a prospective, random based, multi-institutional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227 patients ranging in age from 20 to 79 years, visited for surgery in different 15 institutes, and agreed to volunteer. The patien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a paper-based evaluated group (n=113) and tablet-based evaluated group (n=114). The evaluation was done on the day of hospital admission and the method was changed on the second day of surgery and re-evaluated. PADAS 2.0 (https://www.proscore.kr) was used as an electronic evaluation program.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and sex in both groups.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evaluation revealed an eFFI ICC of 0.924, showing that both results were similar. The evaluation time was shorter in the tablet-based group than the paper-based group (paper vs tablet, $3.7{\pm}3.8$ vs $2.3{\pm}1.3minutes$). Thirty-nine patients (17.2%) preferred to use paper and 131 patients (57.7%) preferred the tablet. Fifty-seven patients (25.1%) found both ways to be acceptable. Conclusion: eFFI through tablet devices appears to be more constant than the paper-based program. In addition, it required a shorter amount of time and the patients tended to prefer the tablet-based program. Overall, tablet and cloud system can be beneficial to a clinical stud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는 전향적, 임의 배정, 다기관 연구를 통해 족부 족관절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electronic FFI (eFFI)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나아가 다기관 연구에서의 ePRO의 타당성 및 유리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 주도, 전향적, 임의 배정, 다기관 임상연구로 족부 족관절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ePRO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족부 족관절 질환에 대한 수술적인 치료를 위해 15개 참여 연구기관에 입원한 20∼79세 환자 중에서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2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족부 족관절 분야에서 사용되는 ePROM을 다기관연구에 적용한 첫 번째 논문이다.
가설 설정
하지만 다수의 연구자가 참여하여 장기간에 걸친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참여한 연구원들의 연구 의욕을 처음과 같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가 어렵다.8) 이러한 단점은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피드백이 가능한 ePRO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장점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안 방법
3,4)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걸음 더 나아가 전자식 환자보고평가결과 수집도구(electronic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ePROM)를 다기관 연구에 적용하였다.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피험자들에게 봉인된 봉투(sealed envelope) 방법을 이용하여 ‘종이 PRO 선 시행군’과 ‘ePRO 선 시행군’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배정하였다.
다음으로, 종이 PRO 및 ePRO의 선호도(usability)를 평가하기 위해 교차 평가 종료 후 “종이와 태블릿 평가지 중 어떤 방식이 사용 하기에 더 쉬웠습니까(종이, 태블릿, 차이 없음)”와 같은 질문에 대해 답을 구한 뒤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환자를 무작위 추출 (randomization)하여 ‘종이 PRO 선 시행군(n=113)’과 ‘ePRO 선 시행군(n=114)’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피험자는 입원 당일 배정된 시행군에 따라 종이 또는 전자식 평가를 시행하였고, 선 시행한 평가에 대한 기억 또는 학습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교차 평가 간의 시간 간격을 충분히 두어 하룻밤을 자고 난 뒤 2일째 수술 전 평가 방법을 바꾸어 재평가하였다. 단, 시간 간격이 너무 길어 환자의 상태가 달라지는 오류를 피하기 위해 교차 평가 간 간격은 24시간 이내로 하였다.
단, 시간 간격이 너무 길어 환자의 상태가 달라지는 오류를 피하기 위해 교차 평가 간 간격은 24시간 이내로 하였다. 이후, 결과 보고와 함께 종이 PRO 값과 ePRO 값의 차이를 계산하였다(Fig. 1).
본 연구의 방법으로, 연구자는 피험자의 선정 기준 및 제외 기준을 평가하여 연구 참여 가능 여부를 판단한 뒤 피험자는 연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듣고 참여 여부를 결정하게 하였다.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피험자들에게 봉인된 봉투(sealed envelope) 방법을 이용하여 ‘종이 PRO 선 시행군’과 ‘ePRO 선 시행군’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배정하였다. 피험자는 입원 당일, 자신이 배정된 군에 따라 종이 PRO 혹은 ePRO 평가를 시행하였고, 하룻밤을 자고 난 다음날, 수술 시행 전에 다른 평가 방식으로 바꾸어 시행하였다. 종이 PRO 및 ePRO를 통해 얻은 결과 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두 군의 결과 차이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피험자는 입원 당일, 자신이 배정된 군에 따라 종이 PRO 혹은 ePRO 평가를 시행하였고, 하룻밤을 자고 난 다음날, 수술 시행 전에 다른 평가 방식으로 바꾸어 시행하였다. 종이 PRO 및 ePRO를 통해 얻은 결과 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두 군의 결과 차이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또한, 종이 PRO 및 ePRO를 시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각 PRO 시행 시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종이 PRO 시행 시 FFI를 시행하는 데 소요된 시간을 연구자가 측정하여 기록하였고, ePRO의 경우 소요 시간이 자동으로 저장되므로 연구자가 별도로 측정하지 않았다.
또한, 종이 PRO 및 ePRO를 시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각 PRO 시행 시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종이 PRO 시행 시 FFI를 시행하는 데 소요된 시간을 연구자가 측정하여 기록하였고, ePRO의 경우 소요 시간이 자동으로 저장되므로 연구자가 별도로 측정하지 않았다.
종이 PRO 및 ePRO 시행 소요 시간 및 결과 값과 피험자의 선호도를 관찰하였으며 그 외 임상적인 관찰 항목이나 검사 항목은 없었다.
기존의 다른 연구에서는 최소 48시간의 간격을 두거나9) 1주 이상의 간격을 두었다.10) 또는 다른 종류의 ePRO를 동시에 시행하여 기억하기 쉽지 않도록 하였다.4) 본 연구에서는 시간 간격이 너무 길어 환자의 상태가 달라지는 오류를 피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교차 시험 간 간격을 24시간 이내로 한 것이 한계점이다.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환자를 무작위 추출 (randomization)하여 ‘종이 PRO 선 시행군(n=113)’과 ‘ePRO 선 시행군(n=114)’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족부 족관절 질환에 대한 수술적인 치료를 위해 15개 참여 연구기관에 입원한 20∼79세 환자 중에서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2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피험자 총 227명 중에서 39명(17.2%)은 종이를, 131명 (57.7%)은 태블릿을 각각 선호하였으며, 57명(25.1%)은 차이 없음으로 대답하였다(Table 3)
데이터처리
환자 선호도는 비모수적 통계방법인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IBM SPSS Statistics 19.0 (IBM Corp., Armonk, NY, USA)를 사용하였다.
유효성 평가에 대한 통계 분석 방법으로는 per-protocol analysis를 원칙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종이 PRO 및 ePRO로 측정한 평가 점수를 1차 유효성 변수로 급내 상관 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유효성 평가에 대한 통계 분석 방법으로는 per-protocol analysis를 원칙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종이 PRO 및 ePRO로 측정한 평가 점수를 1차 유효성 변수로 급내 상관 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ICC의 범위는 0.
840의 ICC값이 도출되었으므로 본 연구의 ICC 수치가 기존 값의 오차 범위 5% 안에 들어갈 경우 본 연구는 타당하다고 해석하였다.4) 종이 PRO 및 ePRO 평가 시 소요 시간, 사용 가능성(acceptability) 항목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p값이 0.
이론/모형
6) 또한 이번 연구는 종이와 전자기기를 이용한 PRO를 동시에 비교하였는데, Kim 등4)의 논문에 따르면 FAOS보다 FFI가 기입 방법 간 일치도가 더 높다고 하였다. 이번 연구는 다기관 공동 임상 시험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5개의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FAOS 방식에 비해 시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는 FFI의 경우가 다기관 자료를 정리함에 있어 오류가 적어 본 연구에서는 FFI를 이용하였다.
성능/효과
3) 또한, PADAS에 탑재된 여러 가지 평가지 중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FFI는 한글 번역본 인증이 완료된 평가지이다.5)
227명의 피험자 중 ICC를 통해 PRO와 ePRO 평가 결과 값의 일치도를 조사한 결과, FFI 평가지와 eFFI 평가지 간의 ICC는 0.924 (95% confidence interval [CI] 0.898∼ 0.944, p0.80 이상의 강한 일치도를 보였다(Table 1).
종이 평가지로 시행한 설문의 경우 3.7±3.8분이 소요되었고 태블릿을 이용한 설문은 2.3±1.3분이 소요되어 평균적인 설문시간은 태블릿이 종이 평가지에 비해 62.2% 적게 걸림을 알 수 있었다.
FFI의 경우 종이 FFI는 3.7±3.8분, 전자식 eFFI에서 2.3±1.3분(p<0.001)으로 평균적으로 1.4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평가 소요 시간의 조사에서, 종이 PRO에 비해 태블릿을 통한 ePRO에서 더 짧은 시간을 소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FFI의 경우 종이 FFI는 3.
선호도 조사 결과, ePRO 선 시행군에서는 총 114명 중 27명 (23.7%)이 종이 평가지를 선호하였고, 55명(48.2%)이 태블릿을 통한 전자식 평가지를 선호하였으며, 32명(28.1%)이 차이가 없다고 대답하였다. 종이 PRO 선 시행군에서는 총 113명 중 12명(10.
본 연구에서는 종이 PRO에 비해 태블릿을 이용한 ePRO가 환자 입장에서 더 적은 시간이 소요됨이 확인되었다. 종이 평가지로 시행한 설문의 경우 3.
이 연구에서 두 방법 간에 선호도의 차이는 종이(39명, 17.2%)에 비해 태블릿(131명, 57.7%)을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기존의 연구 결과에 부합하였다.7)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태블릿을 먼저 시행한 환자군(55명, 48.
7%)을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기존의 연구 결과에 부합하였다.7)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태블릿을 먼저 시행한 환자군(55명, 48.2%)에 비해 종이를 먼저 시행한 환자군(76 명, 67.3%)에서 태블릿 선호도가 더욱 높았다.
또한, FFI에 있어 PRO와 ePRO 간의 검사 결과가 높은 일치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FI 평가지와 eFFI 평가지 간의 ICC는 0.
80 이상의 높은 일치도를 보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FFI와 eFFI가 서로 같은 결과 값을 지니므로 기존 FFI 자료에 연계하여 eFFI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현재 족부 족관절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평가로는 FFI가 있으며 이는 신뢰도가 이미 밝혀진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종이 설문지를 이용한 방법과 전자기기를 이용한 방법 간의 수집한 결과가 일치함을 밝히게 되었다.
이는 특히 본 연구와 같은 다기관 연구일 경우 연구기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지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연구에서는 환자가 FFI를 작성하는 데 걸리는 소요 시간이 전자기기 평가지를 사용한 경우 평균적으로 1.4분 적게 걸린 것으로 측정되어 효율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확인되었다.
두 번째, PRO와 ePRO 검사 간의 시간 간격을 24시간 이내로 하여 환자의 기억에 의한 일치도의 과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기존의 다른 연구에서는 최소 48시간의 간격을 두거나9) 1주 이상의 간격을 두었다.
태블릿을 이용한 eFFI는 종이 평가지를 이용한 결과 값과 비교 해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더 짧은 평가 소요 시간과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태블릿과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본 평가 시스템은 임상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FI 평가지와 eFFI 평가지 간의 ICC는 0.924 (95% CI 0.898∼0.944,p0.80 이상의 높은 일치도를 보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후속연구
2% 적게 걸림을 알 수 있었다. 두 방법 간의 소요 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다르지만4) 이는 환자군의 차이 및 조사자의 태블릿 사용 방법 설명 방식에 의한 차이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전자기기 기반 임상시험은 제작 및 인쇄에 따른 시간과 비용, 자료 수집 및 정리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고 직접 웹 증례 기록서에 입력함으로써 기록 및 입력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자료는 실시간으로 검증될 수 있으며 빠른 시간 내에 자료가 수정되어 타당하고 정확한 자료 정리가 가능하고 진행 상황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특히 본 연구와 같은 다기관 연구일 경우 연구기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지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산시스템을 이용한 임상시험 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며, 저렴하게 연구와 임상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0) 또는 다른 종류의 ePRO를 동시에 시행하여 기억하기 쉽지 않도록 하였다.4) 본 연구에서는 시간 간격이 너무 길어 환자의 상태가 달라지는 오류를 피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교차 시험 간 간격을 24시간 이내로 한 것이 한계점이다.
11) 그 외에 개별 임상시험기관 내의 네트워크 가용성, 전자기기와 네트워크를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자료의 유출과 같은 보안 문제, 서로 다른 연구기관 사이의 전자자료 호환 문제 등의 기술적인 문제와 사용자들의 인식 개선 및 연구관리기관의 제도적인 문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태블릿을 이용한 eFFI는 종이 평가지를 이용한 결과 값과 비교 해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더 짧은 평가 소요 시간과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태블릿과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본 평가 시스템은 임상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보고평가결과(patient-reported outcome, PRO)란?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 따르면, 환자보고평가결과(patient-reported outcome, PRO)란 환자의 답변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 없이 직접적으로 환자에게서 얻어진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기록을 말한다.1) 즉, 어떤 질환이나 치료의 결과와 관련된 증상, 기능, 만족도 등에 대해 환자 스스로 평가하여 점수화한 값이다.
FFI에서 종이를 이용한 기입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전공 분야 및 세부 분과별로 다수의 PRO 평가 시스템이 존재하며 그 중 족부 족관절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평가로는 족부 기능 지수(foot function index, FFI)가 있다(Appendix 1). 그러나 종이 설문지를 사용하는 방법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제대로 시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답변 누락, 평가지 분실 등으로 인한 데이터 소실의 우려도 있다. 이에 비해 태블릿(tablet)을 이용한 전자식 평가 방법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 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크게 줄이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태블릿(tablet)을 이용한 전자식 평가 방법의 장점은?
그러나 종이 설문지를 사용하는 방법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제대로 시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답변 누락, 평가지 분실 등으로 인한 데이터 소실의 우려도 있다. 이에 비해 태블릿(tablet)을 이용한 전자식 평가 방법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 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크게 줄이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문헌 (11)
J Orthop Res Gagnier 35 2098 2017 10.1002/jor.2360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