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에 따른 무 발효물의 휘발성 향기 성분 변화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radish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4, 2019년, pp.324 - 329  

김보람 (샘표식품 주식회사) ,  조연정 (샘표식품 주식회사) ,  김문석 (샘표식품 주식회사) ,  허병석 (샘표식품 주식회사) ,  백형희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 발효물의 발효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SPME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였다. 총 46종의 휘발성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함황화합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 전(발효 0일차)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 비율을 보면 함황화합물(95.85%)과 알데하이드(2.61%)가 대부분을 차지했고, 발효 후(발효 2일차)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 비율은 함황화합물(75.53%), 산(11.12%), 알코올(8.44%) 및 알데하이드(1.48%)으로 구성되어 변화가 큼을 알 수 있었다. 발효 후 함황화합물의 총 함량은 18,074.7 ng/g에서 2,996.2 ng/g으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이 성분 중 원재료의 주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di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와 diallyl trisulfide의 함량이 발효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 성분들은 자극적인 함황화합물 특유의 마늘향과 파향을 나타내는 휘발성 화합물로 발효 후 함량이 크게 감소하여 무 발효물의 발효 전후 향미특성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acetic acid는 발효 전 0 ng/g에서 발효 후 441.0 ng/g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알코올은 41.1 ng/g에서 334.9 ng/g으로 발효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2일차에 증가된 acetic acid (441.0 ng/g)와 1-hexanol (139.3 ng/g)은 각각 톡 쏘는 신향, 과일향과 알코올향을 나타내 발효 전후 무 발효물의 향미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radish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were extracted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 total of 45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unfermented radish mo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 발효물을 이용한 동치미 향미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품질지표 성분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무발효물의 향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무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무 발효물의 발효 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을 고체상 미량 추출(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로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 무 발효물의 향미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SPME로 추출한 휘발성 향기성분의 정량은 추출 시 내부 표준물질로 사용한 ethyl benzoate의 피크면적과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피크면적비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이 때 피크면적비와 함량비의 상관계수는 1이라고 가정하였다(Seo 등, 2015; Yoon 등,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Raparus sativus L.)는 어떤 채소인가? 무(Raparus sativus L.)는 겨자과(Crecifer family) 또는 배추과(Brassicaceae family)에 속하는 작물로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며, 국내에서는 배추와 함께 김치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채소 중 하나이다(Lee 등, 2017). 무를 이용한 대표적인 발효 식품인 동치미는 무, 마늘, 파와 소금물을 넣어 발효시킨 김치로 특유의 신선한 신맛으로 기호도가 높다(Lee와 Kim, 2009).
무 발효에 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 가? 무에 대한 연구로는 무의 품종 별 이화학 특성에 대한 연구(Kim 등, 2007) 및 무 뿌리에 대한 연구(Blažević과 Mastelić, 2009)가 보고되었다. 무 발효에 관한 연구로는 동치미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Choi 등, 2015), 동치미의 관능 특성에 대한 연구(Lee와 Kim, 2009) 및 동치미의 묘사분석에 대한 연구(Cho 등, 2015) 등이 보고되었으며, 무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대한 연구로는 발효기간에 따른 감동젓무 김치의 휘발성 성분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Yoon 등, 2008), 함황화합물인 trans-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와 trans-4-(methylthio)butyl isothiocyanate가 무의 특징적 향을 나타내는 성분이라 보고된 바 있다(McGorrin, 2011).
무 발효물의 발효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중 acetic acid과 알코올의 발효 전후 변화는 어떠한가? 또한 이 성분들은 자극적인 함황화합물 특유의 마늘향과파향을 나타내는 휘발성 화합물로 발효 후 함량이 크게 감소하여 무 발효물의 발효 전후 향미특성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acetic acid는 발효 전 0 ng/g에서 발효 후 441.0 ng/ g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알코올은 41.1 ng/g에서 334.9 ng/g으로 발효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 2일차에 증가된 acetic acid (44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