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사이베리의 향기성분 특성 연구
Aroma Characteristics of Acai Berry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2, 2016년, pp.122 - 127  

임승희 (단국대학교 융합기술대학 식품공학과) ,  남희섭 (동원 F&B) ,  백형희 (단국대학교 융합기술대학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사이베리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SAFE와 LLCE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GC-MS와 GC-O로 분석하였다. 아사이베리에서 공통적으로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2-phenylethanol, (Z)-3-hexenol과 benzyl alcohol 등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8-hydroxy linalool과 maltol은 LLCE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사이베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알코올류가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아사이베리의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이라고 생각된다. 아사이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 중 ${\beta}-damascenone$은 SAFE에서 $log_2FD=4$와 LLCE에서 $log_2FD=1$을 나타냈으며 장미향과 베리향 특성을 나타내어 아사이베리의 특징적인 향에 기여하는 중요한 화합물이라 생각된다. 또한 trans-linalool oxide, (Z)-3-hexenol과 2-phenylethanol 등이 아사이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olatile compounds and aroma-active compounds from acai berry (Euterpe oleracea). Volatiles were isolated by high vacuum distillation using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 (SAFE) and liquid-liquid continuous extraction (LLCE). To identify the ch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사이베리의 향 특성을 밝히고자 아사이베리의 휘발성 향기성분과 향 활성 화합물을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과 liquid-liquid continuous extraction 같은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하고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아사이베리를 이용한 제품개발 시 향 관련 품질 개선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가설 설정

  • 휘발성 향기성분 농도는 추출 시 내부표준물질로 사용한 3-heptanol의 피크면적과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피크면적의 피크면적비로 다음 식에 의해 정량하였다. 이때 피크면적비와 중량비의 상관계수는 1이라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ang J, Li Z, Wu T, Jensen GS, Schauss AG, Wu X. Anti-oxidant capacities of flavonoid compounds isolated from acai pulp (Euterpe oleracea Mart.). Food Chem. 122: 610-617 (2010) 

  2. Marcason W. What is the acai berry and are there health benefits? J. Am. Diet. Assoc. 109: 1968 (2009) 

  3. Jeong CH, Choi SG, Heo HJ.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75-1381 (2008) 

  4. Spada PDS, Dani C, Bortolini GV, Funchal C, Henriques JAP, Salvador M. Frozen fruit pulp of Euterpe oleraceae Mart. (Acai) prevents hydrogen peroxide-induced damage in the cerebral cortex, cerebellum, and hippocampus of rats. J. Med. Food 12: 1084-1088 (2009) 

  5. Hertog MGL, Feskens EJM, Kromhout D. Antioxidant flavonol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Lancet 349: 699 (1997) 

  6. Schauss AG. Acai (Euterpe oleracea Mart.): A macro and nutrient rich palm fruit from the Amazon rain forest with demonstrated bio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pp. 479-490. In: Bioactive Foods in Promoting Health. Watson RR, Preedy VR(eds).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2010) 

  7. Schauss AG, Wu X, Prior RL, Ou B, Huang D, Owens J. Agarwal A, Jensen GS, Hart AN, Shanbrom E. Antioxidant capacity and other bioactivities of the freeze-dried Amazonian palm berry, Euterpe oleraceae Mart. (acai). J. Agr. Food Chem. 54: 8604-8610 (2006) 

  8. Jensen GS, Wu X, Patterson KM, Barnes J, Carter SG, Scherwitz L, Beaman R, Endres JR, Schauss AG.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apacities of an antioxidant-rich fruit and berry juice blend. Results of a pilot and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study. J. Agr. Food Chem. 56: 8326-8333 (2008) 

  9. Chung HJ. Physiological activity of acai berry (Euterpe oleracea Mart.) extracted with different solvents. J. Korean Soc. Food Cult. 27: 75-81 (2012) 

  10. Kraujalyte V, Leitner E, Venskutonis PR. Characterization of Aronia melanocarpa volatiles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HS-SPME),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 (SDE), and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methods. J. Agr. Food Chem. 61: 4728-4736 (2013) 

  11. Belitz HD, Grosch W. Fruits and fruit products. pp. 748-800. In: Food Chemistry. 2nd ed. Belitz HD, Grosch W (ed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NY, USA (1999) 

  12. Klesk K, Qian M, Martin RR.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of cv. Meeker (Rubusidaeus L.) red raspberries from Oregon and Washington. J. Agr. Food Chem. 52: 5155-5161 (2004) 

  13. Flamini R. Some advances in the knowledge of grape, wine and distillates chemistry as achieved by mass spectrometry. J. Mass Spectrom. 40: 705-713 (2005) 

  14. Selli S, Canbas A, Varlet V, Kelebek H, Prost C, Serot T. Characterization of the most odor-active volatiles of orange wine made from a Turkish cv. Kozan (Citrus sinensis L. Osbeck). J. Agr. Food Chem. 56: 227-234 (2008) 

  15. Mordi RC, Walton JC, Burton GW, Hughes L, Ingold KU, Lindsay DA. Exploratory study of ${\beta}$ -carotene autoxidation. Tetrahedron Lett. 32: 4203-4206 (1991) 

  16. Semmelroch P, Laskawy G, Blank I, Grosch W. Determination of potent odorants in roasted coffee by stable isotope dilution assays. Flavor Frag. J. 10: 1-7 (1995) 

  17. Klesk K, Qian M.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of cv. Marion (Rubus spp. hyb) and cv. Evergreen (R. laciniatus L.) blackberries. J. Agr. Food Chem. 51: 3436-3441 (2003) 

  18. Ong PKC, Acree TE, Lavin EH. Characterization of volatiles in rambutan fruit (Nephelium lappaceum L.). J. Agr. Food Chem. 46: 611-615 (1998) 

  19. Braell PA, Acree TE, Butts RM. Zhou PG. Isolation of nonvolatile precursors of ${\beta}$ -damascenone from grapes using charm analysis. pp. 75-84. In: Biogeneration of Aromas. Parliment TH, Croteau R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1986) 

  20. Cunningham DG, Acree TE. Barnard J, Butts RM, Braell PA. Charm analysis of apple volatiles. Food Chem. 19: 137-147 (1986) 

  21. Buttery RG. Teranishi R, Ling LC, Turnbaugh JG. Quantitative and sensory studies on tomato paste volatiles. J. Agr. Food Chem. 38: 336-340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