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험도 매트릭스를 이용한 어선의 사고 위험도 분석과 사고 주요 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Risk Analysis and Selection of the Main Factors in Fishing Vessel Accidents Through a Risk Matrix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2, 2019년, pp.139 - 150  

원유경 (부산대학교 무역학부) ,  김동진 (부산대학교 무역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해역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 중 어선사고가 약 70 %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는 해양사고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단순히 사고 발생률에 대한 분석과 사고 발생 빈도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사고 저감 대책의 수립과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사고 위험도 예측 및 평가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안전심판원의 최근 5년간의 어선사고 통계에 근거하여 9가지 사고유형에 대한 위험도를 연도별로 비교하였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객관적인 위험도 평가기준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고 유형별 사고 빈도와 사고 피해의 조합을 4사분면 상에 표시하는 2차원 사고 빈도-피해 매트릭스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고 빈도와 사고 피해의 영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위험도 평가 결과는 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안전대책을 마련하는 정책 제안자로 하여금 보다 다양하고 현실적인 사고 저감 대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위험도 평가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각 사고유형에 대한 인적오류를 포함한 사고 원인의 상대적인 빈도 및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사고 유형별로 원인에 따른 차별화된 위험 저감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ough, fishing vessel accidents account for 70 % of all maritime accidents in Korean waters, most research has focused on identifying causes and developing mitigation policies in an attempt to reduce this rate. However, predicting and evaluating accident risk needs to be done before the implemen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 발생한 우리나라 어선사고 통계를 근거로 사고유형을 9가지로 분류하여 사고빈도와 피해를 함께 반영하여 사고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사고 유형별 사고원인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하여, 유형별 주요 사고원인을 선정하고 전체 사고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고원인을 찾고자 한다.
  • 2절에서 산출된 기존의 위험도 분석 결과로는 사고 유형별 위험도 크기와 순위만 알 수 있으며, 유형별 사고 빈도와 피해 정도가 최종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한계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 빈도와 사고 피해의 곱으로 계산하는 기존의 절대적 위험도 산정방식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고 유형별 사고 빈도와 피해 정도를 이용하여 사고 유형별 위험도를 상대 비교하는 위험도 매트릭스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상대적 위험도 분석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제안된 매트릭스 방법을 이용하여 사고 유형별로 사고 발생 요인들 간의 상대적 위험도를 비교하고 주요 사고원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 발생한 우리나라 어선사고 통계를 근거로 사고유형을 9가지로 분류하여 사고빈도와 피해를 함께 반영하여 사고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사고 유형별 사고원인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하여, 유형별 주요 사고원인을 선정하고 전체 사고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고원인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고빈도와 사고피해를 이용한 위험도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사고 유형별 위험도를 상대 비교하고 사고유형별로 주요 사고원인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어선 사고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사고 저감 대책의 수립과 실행을 위하여 위험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기존의 일반적인 위험도 산정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고유형별 위험도뿐만 아니라 사고유형별 원인 간의 위험도를 산정하고 주요 사고 원인을 분석하였다.
  • 본 절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요약하고 종합하였다. Cho etal.
  • 본 절에서는(사고의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실질적인 저감 대책 제안을 위하여) 각 사고유형에 따라 다양한 사고발생원인들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함으로써, 사고유형별 사고원인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해양안전심판원에서 분류한 사고원인을 기준으로 집계된 사고원인별 사고발생건수를 사용하여 사고 원인별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2013)은 우리나라 어선 해양사고 제어요소에 관한 기초연구에서 위험발생 요인을 인명 피해 위험도 정량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어선선원의 사망,실종 저감의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어선 해양사고 유형과 어선 충돌사고를 분석하고 제어요소들을 고찰하였다. Park et al.
  • 분석에 사용된 사고 원인별 사고 발생 빈도에 대한 통계자료는 있으나 사고 원인별 사망자수에 대한 통계자료의 부재로 인하여 사망자수를 직접 반영할 수 없으므로 각 사고 원인별 발생확률로 비례 배분하여 반영하였다. 이는 사고피해를 직접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사고 원인별로 사고빈도와 사고피해를 각각 반영하여 위험도를 파악하고 주요원인을 찾는데 주요 목적을 두었으므로 위험도 매트릭스 방법을 적용하는데 의의를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사고 중 어선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에 대한 국가 정책으로 해양수산부는 2011년 ‘어선 해난사고 예방대책 추진계획’을 시작으로 2013년에는 ‘어업관리 역량강화 종합대책’을 통해 2017년까지 연근해 어선사고와 불법어업행위를 각각 30%씩 감축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8).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어업종사자 관리체계를 향상시키고 어업관리 인프라를 확충하여 어선사고 감축을 위한 노력을 해왔으며 중장기적인 정책추진과 제도적 미비점을 해소하기 위한 관련 법령의 제정도 함께 추진하였다.
사고유형 중 빈도가 가장 높은 유형은 무엇인가? (2017)은 20년간 연근해 운항 선박과 어선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사고유형별 발생빈도를 기반으로 사고의 위험수준을 파악하고 있으며, Kang etal.(2013)은 어선과 비어선을 구분하여 사고유형중 빈도가 가장 높은 유형인 충돌과 기관손상에 대한 원인과 대책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Kim(2016)은 주성분 분석을 통해 사고 요인들 간의 상관성과 주요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해양사고의 특징은 무엇인가? 2017년 우리나라 해양사고는 전해 대비 11 % 정도 증가한 2,582건이며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도 부상자와 실종자를 포함하여 523명으로 2016년 대비 27% 증가하였다. 해양사고는 타 산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와 마찬가지로 인명피해와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며 국가 의 안전수준을 저하시켜 국가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해양사고 중 어선사고는 전체 해양사고의 약 70%를 차지하며 전체 해양사고 발생 경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 H. K. , B. S. Park, D. H. Kang and S. S. Kim(2017), The main factor and counterplan for maritime accidents in Korea,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time Sciences Education, 29(3), pp. 746-759. 

  2. Jang, J. H. , M. J. Kang and D. C. Lee(2009), A Study on the Reason of Marine Accidents - focused on Human Factors, Ergonomics Society of Korea, pp. 495-501. 

  3. Jung, C. H.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by accidents analysis of fishing vessel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time Sciences Education, 30(1), pp. 176-186. 

  4. Kang, I. K. , H. S. Kim, J. C. Kim, B. S. Park, S. J. Ham and I. H. Oh(2013), Study on the maritime casualt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49(1), pp. 29-39. 

  5. Kim, D. J. (2018), A Probabilistic Approach to Forecasting and Evaluating Risk of Fishing Vessel Acci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time Environment & Safety, 24(3), pp. 302-311. 

  6. Kim, S. H. , H. S. Kim, I. K. Kang and W. S. Kim(2017), An analysis on maritime casualties of fishing vessel by FTA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53(4), pp. 430-436. 

  7. Kim, W. S. , J. H. Lee, S. J. Kim, H. S. Kim and Y. W. Lee(2013), A basic study on control factor for the maritime casualties of fishing vesse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49(1), pp. 40-50. 

  8. Kim, Y. S. (2016),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n Marine Casualties Occurred at Korean Littoral Sea in Recent 5 Year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 Education, 28(2), pp. 465-472. 

  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7), Master Implement Plan for Maritime Safety. 

  10. Pillay, A. , C. G. Loughran, J. Wang, A. Wall and T. Ruxton(2004), Formal safety assessment of fishing vessels: Risk and maintenance modelling, Journal of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2004(4), pp. 29-42. 

  11. Park, T. G. , S. J. Kim, Y. S. Chu, T. S. Kim, K. J. Ryu and Y. W. Lee(2018), Reduction plan of maritime casualty for small fishing vess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54(2), pp. 173-180. 

  12. Wang, J. , A. Pillay, Y. S. Kwon, A. D. Wall and C. G. Loughran(2005), An analysis of fishing vessel acciden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7, pp. 1019-10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