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온 소성 굴 패각의 피복에 의한 연안 오염 퇴적물의 성상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Sediment Properties Caused by a Covering of Oyster Shells Pyrolyzed at a Low Temperature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1, 2019년, pp.74 - 80  

김형철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우희은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정일원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오석진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이성호 ((주)생태기술) ,  김경회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저온 소성 굴 패각의 재활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메조코즘 실험을 통해 저온 소성 굴 패각의 피복에 따른 연안 오염 퇴적물의 성상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350^{\circ}C$에서 소성시킨 굴 패각을 연안 오염 퇴적물에 피복하여 직상수와 간극수의 성상변화를 분석하는 메조코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굴 패각의 피복에 의해 수층과 퇴적층이 분리되었기 때문에 직상수의 산화환원전위(ORP) 증가 및 DIN 중의 $NH_3-N$의 비율의 감소가 실험구에서 관측되었다. 실험구의 DIP의 농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굴 패각의 피복에 의한 퇴적물의 총유기탄소(TOC)는 감소하였으며, 산휘발성황화물(AVS)은 저온 소성 굴 패각의 황화물 흡착 능력으로 인해 최대 50 %까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저온 소성 굴 패각은 연안 오염 퇴적물의 정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재료인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yrolyzed oyster shells at a low temperature ($350^{\circ}C$) were applied for a mesocosm experiment to confirm resulting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sediment. After creating a covering of oyster shells, an increase in ORP and decrease in ammonia in the overlying water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저온 소성 굴 패각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연안 오염 퇴적물에 350 °C에서 소성시킨 굴 패각을 피복하여 퇴적물의 성상을 조사하였다. 저온 소성 굴 패각의 피복에 의해 퇴적층 용출이 차단되면서 연안 퇴적물의 환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저온 소성 굴 패각의 재활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써 저온 소성 굴 패각의 피복에 따른 연안 퇴적물의 성상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물 기원의 오염물질의 특징은? 유기물 기원의 오염물질은 수질을 직접적으로 오염시킬 뿐 아니라, 연안 저서에 퇴적되어 유기물의 재부상 및 지속적인 영양염 용출을 발생시켜 연안 오염원 중 하나로 작용한다(Cho et al., 2010).
굴 패각은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가? 굴 패각은 굴의 전체 중량 중 약 93 %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연간 약 28만 톤의 굴 패각 폐기물이 생산되고 있다. 굴 패각은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로 지정되어 있어서 단 10 %만이 폐화석 비료나 공업원료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대부분 매립(39 %)되거나 해안에 불법으로 야적(51 %)되고 있다(Lee, 2004). 매립 및 야적된 굴 패각은 악취를 발생시키고 주변경관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
굴 패각이 불법으로 야적될 경우 수질에 발생시키는 폐해는? 매립 및 야적된 굴 패각은 악취를 발생시키고 주변경관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굴 패각에 잔존해있는 유기물과 중금속 등이 침출수를 통해 지반 및 연안으로 유입될 경우, 수질오염의 오염원이 된다(Sung and 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10.1016/j.biortech.2009.03.075 Asaoka, S., T. Yamamoto, S. Kondo and S. Hayakawa(2009), Removal of hydrogen sulfide using crushed oyster shell from pore water to remediation organically enriched coastal marine sediments, Bioresource Technology, Vol. 100, pp. 4127-4132. 

  2. 10.1371/journal.pone.0060243 Chen, J., Y. Cai, M. Clack and Y. Yu(2013), Equilibrium and kinetic studies of phosphate removal from solution onto a hydrothermally modified oyster shell material, Material Science Forum, Vol. 787, pp. 128-134. 

  3. Cho, D., H. J. Bae, J. Y. Lee and S. H. Kwon(2010), Environmental change and its enhancement of a bay sediment by using microbial and chemical treatment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9, No. 11, pp. 1355-1362. 

  4. 10.1016/j.jece.2016.11.027 Hermassi, M., C. Valderrama, N. Moreno, O. Font, X. Querol, N. H. Batis and J. L. Cortina(2017), Fly ash as reactive sorbent for phosphate removal from treated waste water as a potential slow release fertilizer,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Vol. 5, pp. 160-169. 

  5. 10.1016/j.jhazmat.2009.06.105 Hsu, T. C.(2009), Experimental assessment of adsorption of Cu2+ and Ni2+ from aqueous solution by oyster shell powder, Hazardous Material, Vol. 171, pp. 995-1000. 

  6. 10.4191/kcers.2016.53.4.429 Huh, J. H., Y. H. Choi, C. Ramakrishna, S. H. Cheong and J. W. Ahn(2016), Use of calcined oyster shell powders as CO2 adsorbent in algae-containing water, Korean Ceramic Society, Vol. 53, No. 4, pp. 429-434. 

  7. Jung, J. H., K. S. Yoo, H. M. Kim and H. K. Lee(2007), Reuse of waste oyster shell as a SO2/NOx removal adsorbent,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 13, No. 4, pp. 512-517. 

  8. Kim, E. H., N. C. Sung and S. H. Jang(1997), A study on recycling of waste oyster shells as seed crystals in phosphorous crystallization proces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Vol. 23, No. 4, pp. 133-138. 

  9. Kim, G., W. Jeong and S. Choe(2006), Sand capping for controlling phosphorus release from lake sediment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6, pp. 125-130. 

  10. 10.7846/JKOSMEE.2018.21.1.40 Kim, K., K. Kim, I. C. Lee and T. Hibino(2018), Changes in performance of granulated coal ash on remediation of coastal sedi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ol. 21, No. 1, pp. 40-45. 

  11. Korea Maritime Institute Fisheries Outlook Center(2017), http://www.foc.re.kr/web/obstats/stats.do?rbsIdx=87. 

  12. 10.1016/j.resconrec.2003.08.005 Kwon, H. B., C. W. Lee, B. S. Jun, J. D. Yun, S. Y. Weon and B. Koopman(2003), Recycling waste oyster shell for eutrophication control,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Vol. 41, pp. 75-82. 

  13. 10.1016/j.jclepro.2008.11.019 Lee, C. W., H. B. Kwon, H. P. Jeon and B. Koopman(2009), A new recycling material for removing phosphorus from water,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17, pp. 683-687. 

  14. 10.7837/kosomes.2017.23.6.699 Lee, G., D. W. Hwang, H. Hwang, J. H. Park, H. C. Kim and J. N. Kwon(2017), Distribution and pollution status of organic matter and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 around Goseong Bay, a shellfish farming area,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3, No. 6, pp. 699-709. 

  15. Lee, H. S.(2004),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rbicula japonica and Ostrea virginic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ol. 30, No. 5, pp. 427-431. 

  16.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3), Republic of Korea, http://www.mof.go.kr/article/view.do?articleKey=24046&boardK ey=35 

  17. 10.1007/s11356-015-4612-6 Moon, D. H., M. Wazne, K. H. Cheong, Y. Y. Chang, K. Baek, Y. S. Ok and J. H. Park(2015), Stabilization of As-, Pb-, and Cu-contaminated soil using calcined oyster shells and steel slag,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International, Vol. 22, No. 14, pp. 11162-11171. 

  18. 10.1016/j.psep.2015.09.006 Oladoja, N. A., R. O. A. Adelagun, A. L. Ahmad and I. A. Ololade(2015), Phosphorus recovery from aquaculture wastewater using thermally treated gastropod shell,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Vol. 98, pp. 296-308. 

  19. Park, S. Y.(2008), The characteristics of acid volatile sulfide formation in the sediment of Seonakdong river, Master Dissertation, Busan University. 

  20. 10.5389/KSAE.2010.52.6.125 Sung, C. Y. and Y. I. Kim(2010), Strength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Polymer Concrete Utilizing Oyster Shell Powder as a Fill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e Engineers, Vol. 52, No. 6, pp. 125-134. 

  21. 10.7837/kosomes.2018.24.2.196 Woo, H. E., K. Kim, I. C. Lee and K. Kim(2018), A study on phosphate removal efficiency by pre-treatment conditioning of oyster sh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4, No. 2, pp. 196-202. 

  22. 10.1016/j.marpolbul.2012.08.002 Yamamoto, T., S. Kondo, K. H. Kim, S. Asaoka, H. Yamamoto, M. Tokuoka and T. Hibino(2012), Remediation of muddy tidal flat sediments using hot air-dried crushed oyster shell,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64, No. 11, pp. 2428-2431. 

  23. 10.1016/S0956-053X(02)00159-9 Yoon, G. L., B. T. Kim, B. O. Kim and S. H. Han(2003), Waste Management, Vol. 23, pp. 825-834. 

  24. 10.1016/j.jcis.2010.06.033 Yu, Y., R. Wu and M. Clark(2010), Phosphate removal by hydrothermally modified fumed silica and pulverized oyster shell,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350, pp. 538-543. 

  25. Zhong, B. Y., C. F. Zhou and Y. Yu(2012), Structure and property characterization of oyster shell cementing material, Structural Chemistry, Vol. 31, No. 1, pp. 85-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