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장줄을 이용한 가구 제작에 관한 연구는 전통가구 제작의 문목의 문양을 돋보이게 하는 시문기법의 하나로 임진왜란 이후 통영의 12공방의 하나인 소목방에서 시문기법으로 사용한 호장줄기법을 고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 59호로 지정되었던 천상원으로 전승되어 오면서 삼호장, 오호장, 성퇴뇌문, 홑귀뇌문, 겹귀뇌문으로 발전되면서 해상을 통해 마산, 울산, 광양 등지로 전파되고 육로로 내륙으로 전파되면서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지역의 통영, 마산, 울산과 전라지역의 광양, 동복의 소목가구에 시문된 호장줄의 제작 기법 및 특징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여 점차 소멸되어가는 전통 기법의 재조명을 통하여 전통기법에 대한 전승과 계승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호장줄을 이용한 가구 제작에 관한 연구는 전통가구 제작의 문목의 문양을 돋보이게 하는 시문기법의 하나로 임진왜란 이후 통영의 12공방의 하나인 소목방에서 시문기법으로 사용한 호장줄기법을 고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 59호로 지정되었던 천상원으로 전승되어 오면서 삼호장, 오호장, 성퇴뇌문, 홑귀뇌문, 겹귀뇌문으로 발전되면서 해상을 통해 마산, 울산, 광양 등지로 전파되고 육로로 내륙으로 전파되면서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지역의 통영, 마산, 울산과 전라지역의 광양, 동복의 소목가구에 시문된 호장줄의 제작 기법 및 특징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여 점차 소멸되어가는 전통 기법의 재조명을 통하여 전통기법에 대한 전승과 계승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on furniture making based on Hojangjul, which is an engraving technique that highlights the wooden patterns of traditional furniture. Somokbang, one of the 12 workshops in Tongyeong, has used Hojangjul as an engraving technique since Imjinwaeran. It was inherited by the ...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on furniture making based on Hojangjul, which is an engraving technique that highlights the wooden patterns of traditional furniture. Somokbang, one of the 12 workshops in Tongyeong, has used Hojangjul as an engraving technique since Imjinwaeran. It was inherited by the late Cheon Sang-won, who was No. 59 of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developed into Samhojang, Ohojang, Seongtoinoimun, Hotguinoimun, and Gyeopguinoimun. It was then spread to Masan, Ulsan, and Gwangyang via marine routes and further into the inland areas via land routes, developing in various patterns and form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d examined the making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Hojangjul engraved in joinery furniture in Tongyeong, Masan, and Ulsan in the Gyeongsang region and Gwangyang and Dongbok in the Jeolla region, thus shedding new light on the traditional techniques that have been gradually disappearing and promoting the transmissio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techniques.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on furniture making based on Hojangjul, which is an engraving technique that highlights the wooden patterns of traditional furniture. Somokbang, one of the 12 workshops in Tongyeong, has used Hojangjul as an engraving technique since Imjinwaeran. It was inherited by the late Cheon Sang-won, who was No. 59 of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developed into Samhojang, Ohojang, Seongtoinoimun, Hotguinoimun, and Gyeopguinoimun. It was then spread to Masan, Ulsan, and Gwangyang via marine routes and further into the inland areas via land routes, developing in various patterns and form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nd examined the making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Hojangjul engraved in joinery furniture in Tongyeong, Masan, and Ulsan in the Gyeongsang region and Gwangyang and Dongbok in the Jeolla region, thus shedding new light on the traditional techniques that have been gradually disappearing and promoting the transmissio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techniques.
한국의 전통가구는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자연 환경에 따라 재료와 기법, 형태가 독특한 성격을 지닌 양식으로 전승 발전하여 오고 있다. 특히 전통가구의 제작 기법 가운데 호장줄을 이용한 가구 제작은 임진왜란 당시 통제영 산하의 12공방 가운데 하나인 소목방을 중심으로 제작된 장롱의 형태가 통영지방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오고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