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선 메시 구조에서의 절체 성능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설계 기법
Topology Design Optimization for Improving Fail-over Performance in Wired Mesh Network 원문보기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IEMEK Journal of embedded systems and applications, v.14 no.4, 2019년, pp.165 - 175  

황종수 (LIGNex1) ,  장은정 (LIGNex1) ,  이원오 (LIGNex1) ,  김종혁 (LIGNex1) ,  김희언 (LIGNex1)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tworks use relatively slow heartbeat mechanisms, usually in routing protocols, to detect failures when there is no hardware signaling to help out. The time to detect failures available in the existing protocols is no better than a second, which is far too long for some applications and represents ...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그림 1과 같은 메시 구조의 시스템에서 고가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절체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시험을 통하여 제안한 프로토콜의 절체 성능을 검증한다. I장에 이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고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파샬 메시 구조를 가진 시스템의 링크 장애 시, 절체시간을 감소시켜 절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링크 장애를 빠르게 감지하는 BFD 프로토콜과 라우팅 프로토콜의 조합을 설계하였다. OSPF 프로토콜과 EIGRP에 BFD 프로토콜 적용에 따른 절체 성능은 결합 전과 비교하여 각각 2.
  • 라우팅 네트워크 구조는 크게 파샬 메시 (partial mesh), 허브&스포크 (hub&spoke), 풀 메시 (full mesh) 네트워크 구조로 나뉜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네트워크 구조에서 각 프로토콜의 절체성능을 시험하고, 동일 프로토콜 사용 시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절체 성능 시험 변화를 시험하였다. 동일 네트워크 구조에서 프로토콜에 따른 절체성능 시험은 파샬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여 시험하였고,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프로토콜의 절체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허브&스포크 네트워크 구조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시험하였다 [9].
  • 본 논문에서는 루프 (loop)를 방지하고 절체시간을 줄이는 프로토콜 중 RSTP (Rapid Spanning-Tree Protocol),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EIGRP (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플렉스 링크 (Flex link), BFD(Bidirectional Forwarding Detection)에 대하여 분석한다.
  • 10G 망에서 1초간 장애는 많은 데이터 손실이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가 발생할 때의 데이터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링크 장애를 빠르게 감지하는 BFD 프로토콜과 OSPF 프로토콜 및 EIGRP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 본 논문에서는 절체 성능을 스위칭 프로토콜인 플렉스 링크 프로토콜과 비교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플렉스 링크 프로토콜과 같은 스위칭 프로토콜은 절체시간이 매우 짧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절체시간 결정에서 네트워크 장애 감지 및 라우팅 상태 반영을 위해 사용되는 타이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는 각각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구현되며, 사용되는 타이머는 다음과 같다. 연결이 유요한지 점검하는 keep-alive 타이머, 특정 시간 동안 다른 라우터가 전송하는 라우팅 정보를 받아들이지 않는 홀드다운 (hold-down) 타이머, 네트워크 변경정보를 수신한 다음 라우팅 계산을 시작하는 SPF (shortest-path first) delay 타이머, SPF 알고리즘을 계산 후 다음 계산까지의 휴지 시간인 SPF hold 타이머, 인접 라우터의 상태를 공유하는 헬로 (hello) 타이머 등이 있고 이러한 타이머들이 절체시간을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를 사용하는 메시 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절체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위치 프로토콜 설계가 중요하다.
절체시간이란? 절체시간은 네트워크의 업/다운 등의 변화가 일어나고, 이러한 변화가 반영된 새로운 라우팅 테이블 (또는 네트워크 구조 테이블)을 만드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물론 절체시간이 짧을수록 우수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STP는 경로 재구성에 얼마나 시간이 필요한가? STP (Spanning Tree Protocol)는 여러 개의 이더넷 (ethernet) 연결을 마치 하나의 이더넷 연결과 같이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STP는 경로 재구성에 약 30초의 시간이 필요하며, 그동안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다. RSTP는 STP의 재구성 시간을 100 밀리초 이하로 감소시켰으며, STP를 대체하는 단일 표준이 되었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