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존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은 각각의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두 가지 크기 (
In this paper, we proposed two methods to automatically generate color images similar to existing images using genetic algorithms.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two different siz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확보한 영상을 이용하여 동일한 흑백 및 컬러 영상을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2가지 기법을 제안하고, 각 기법의 장단점 분석을 통해 어떤 기법이 더욱 효과적인 기법인지를 평가한다. 제2장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기존의 처리 기법들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 3장에서 제안된 2가지 유전자 알고리즘 처리 기법과 실험 방법을 기술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생성을 위한 2가지 유전자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첫 번째 제안 알고리즘은 영상 전체를 하나의 유전자로 모델링하여 진화시키는 것이었으며, 두 번째 제안 알고리즘은 영상을 16 × 16 크기의 서브 영상으로 분할하여 개별적으로 진화시키는 기법이었다.
이 기법에서는 직선의 길이, 기울기 정보만으로 유전자를 매우 간결하게 모델링하였다. 이 기법은 진화 속도가 다른 알고리즘을 이용한 어떠한 기법보다도 처리 속도가 더욱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원본 영상과 유사하게 근접하고자 하는 목적보다는 캐리커쳐와 같은 느낌의 근사 영상을 생성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유전자 알고리즘 | 유전자 알고리즘이란? |
자연의 진화 과정을 모델링하여 구현된 검색 알고리즘
특히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존 영상을 모방하는 혁신적인 기술이 발표된 바 있다 [3][4]. 유전자 알고리즘은 자연의 진화 과정을 모델링하여 구현된 검색 알고리즘이다. 영상 생성을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은 주어진 문제에 대해 주어진 형태로 가능한 솔루션을 표현한 다음 변경하고 관련성이 높은 솔루션을 선택하고 계속 변경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
영상 생성을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 영상 생성을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이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은? |
주어진 문제에 대해 주어진 형태로 가능한 솔루션을 표현한 다음 변경하고 관련성이 높은 솔루션을 선택하고 계속 변경하는 것에 주안점
유전자 알고리즘은 자연의 진화 과정을 모델링하여 구현된 검색 알고리즘이다. 영상 생성을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은 주어진 문제에 대해 주어진 형태로 가능한 솔루션을 표현한 다음 변경하고 관련성이 높은 솔루션을 선택하고 계속 변경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것은 부모 유전자 요소의 지배적인 특성이 번성한 것처럼 적의 진화적 생존에 관한 다윈의 이론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5]. |
분할된 서브 영상으로 구분하여 모델링 | 분할된 서브 영상으로 구분하여 모델링하는것을 지향해야하는 이유는? |
향후 기존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생성하거나 다른 영상으로부터 합성된 영상을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학습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분할하여 유전자를 모델링 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모델링, 선택, 교차, 돌연변이 기법 등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필요
실험 결과, 전체 영상을 분할된 서브 영상으로 구분하여 모델링한 후 진화하는 기법이 전체 영상을 단일 유전자로 모델링하여 진화한다는 것보다 훨씬 정교하고 진화 속도도 빠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기존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생성하거나 다른 영상으로부터 합성된 영상을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학습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분할하여 유전자를 모델링 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모델링, 선택, 교차, 돌연변이 기법 등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