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해조류 부산물의 유효이용을 위한 산업화방향 연구
Study on Industralization Strategy for Efficient Reuse of Seaweed By-products 원문보기

水産經營論集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50 no.4, 2019년, pp.1 - 9  

강종호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수산경영학과) ,  김우수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수산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weed by-products have been dumped into the sea and induced marine pollution. However, they can be recycled as a valuable natural resources. Approximately 240,000 tons of sea mustard and kelp by-products were estimated to be producted during the last three years. The estimate corresponds 6.7%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먼저 해조류 부산물에 관한 동향을 정리하였으며, 다음으로 부산물의 발생량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해조류 부산물의 산업화방향에 대해 필자의 의견을 정리하였다. 연구자료의 한계로 연구 대상은 미역과 다시마로 한정하였음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상의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해조류 부산물의 산업화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해조류 부산물에 관한 동향을 정리하였으며, 다음으로 부산물의 발생량을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부산물의 산업화를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1단계는 해조류 부산물 처리기반의 조성, 2단계는 부산물의 식품산업화, 3단계는 부산물의 바이오 산업화이다.
  • 식품으로서의 가치뿐만이 아니라 사료(생사료, 배합사료), 간척지 비료, 천연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 화장품이나 기타 산업적 이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이다. 여기에서는 해조류 부산물의 산업화방향으로 처리기반 조성과 식품 및 바이오산업 등의 활용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폐기율은 다음과 같다. 다시마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10%, 미역은 9.6%를 가정하였다. 미역의 폐기율은 수분 감모량 80%, 건미역의 잔존중량 5.
  • 이는 음식물쓰레기를 바다에 투기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둘째, 자원 재활용이다. 해조류의 생산량이 많은 만큼, 부산물의 발생량도 많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산부산물의 처리에 관한 법률에는 무엇이 있는가? 수산부산물의 처리에 관한 법률로는 「폐기물관리법」과 「해양환경관리법」이 있다. 「폐기물관리법」 제2조에서 ‘폐기물1)ʼ을 정의를 하고 있으며, 수산부산물은 폐기물과 폐기물에 속하지 않는 부산물로 구분될 수 있다.
해조류 양식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처리 실정은 어떠한가? 가공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은 폐기물로써 적절히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양식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은 현장에서 바로 해양 투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완도와 고흥 등의 해조류 주산지에서 해조류 부산물의 재활용 사업을 2000년대 후반부터 시행하고 있지만, 완전한 처리는 되지 않고 있다.
해조류 양식생산과 가공단계에서 부산물 발생 원인은? 부산물의 발생 원인은 두가지이다. 첫째는 양식장의 출하단계에서 상품화가 어려운 부분을 제거하면서 발생하는 것과 어기 종료 후 시설의 철수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다. 둘째는 가공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다. 특히 미역의 경우는 줄기와 미역귀 등 일부만 상품화되면서 버려지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아 부산물의 발생량이 많은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강종호 (2001), 미역양식업 가격안정지지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 KMI 기본연구, 2001. 12, 79-81. 

  2. 김대영.이정삼 (2016), "수산부산물의 발생 처리 실태 및 산업화방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7 (2), 568-569. 

  3. 류정곤 외 (2009), 해조류양식의 바이오산업화를 위한 전략과 정책방향, KMI 기본연구, 2009. 12, 61-63. 

  4. 완도군 (각 년도), 군정 주요업무계획. 

  5. 이정삼 외 (2013), 수산부산물의 친환경 이용 및 산업화 전략 연구, KMI 기본연구, 2013. 12, 15-22. 

  6. 이헌동.백진화 (2014), 수산물 자급률 산정 및 개선과제, KMI 현안분석, 2009. 12, 54, 58.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식품수급표, 2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