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 레이블을 활용한 준지도 학습 기반의 도로노면 파손 탐지
Road Surface Damage Detection Based on Semi-supervised Learning Using Pseudo Labels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8 no.4, 2019년, pp.71 - 79  

전찬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류승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미론적 분할 형태로 합성곱 신경망을 구성하여 도로노면의 파손을 탐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곱 신경망 형태의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입력 이미지와 이에 상응한 레이블된 이미지 데이터셋으로 수집해야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는 굉장히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업을 완화하기 위하여 수도 레이블링을 활용한 준지도 학습 기반의 도로노면 파손 탐지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레이블된 데이터셋과 레이블되지 않은 데이터셋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도로노면 파손을 탐지하는 모델을 업데이트하고, 이를 레이블된 데이터셋만을 활용한 기존 모델과 성능을 비교한다. 주관적인 성능결과, 민감도 부분에서는 조금 저하된 성능을 보였지만, 정밀도 부분에서는 대폭 성능 향상이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F_1-score$ 또한 높은 수치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based on semantic segmentation, road surface damage detection has being studied. In order to generate the CNN model, it is essential to collect the input and the corresponding labeled images. Unfortunately, such collecting pairs of the dataset requir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도 학습의 데이터셋을 모으는 어려움을 완화하고, 도로노면 파손 탐지 기술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수도 레이블링(pseudo labeling)을 활용한 준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기반의 도로 노면 파손 탐지 기술을 제안하고자한다 (Cholaquidis et al., 2018). 준지도 학습이란 레이블된 데이터셋과 레이블 되지 않은 데이터셋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활용하는 방식으로 본 논문에서는 준지도 학습 기법 중에서 수도 레이블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노면 파손 탐지 기술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 반환율 혹은 재현율이라고도 불리며, Fn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의 경우에는 도로노면 파손 부분을 얼마만큼 도로노면 파손 부분이라고 잘 분할하였는가를 제시하는 수치이다. 정밀도의 경우에는 실제 예측한 positive의 수에서 얼마만큼의 Tp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Fp와 관련성이 높다.
  • , 2018). 준지도 학습이란 레이블된 데이터셋과 레이블 되지 않은 데이터셋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활용하는 방식으로 본 논문에서는 준지도 학습 기법 중에서 수도 레이블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노면 파손 탐지 기술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먼저, 레이블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노면 파손을 탐지할 수 있는 신경망 모델을 학습한다.
  • 지도 학습의 입력 및 레이블 데이터셋을 모으는 어려움을 완화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수도 레이블 데이터 셋을 활용한 준지도 학습 기반의 도로노면 파손 탐지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레이블된 데이터셋 만을 활용하여 도로노면 파손을 탐지할 수 있는 신경망 모델을 학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머지 하나의 데이터셋을 검증(validation) 데이터 셋을 활용하는 이유는? 여기서, K-1개의 데이터셋을 학습 데이터셋으로 활용하고, 나머지 하나의 데이터셋을 검증(validation) 데이터 셋으로 활용한다. 검증 데이터셋은 에폭(epoch)에 따른 과적합(overfitting) 여부와 학습 종료시점 등을 제시할수 있는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 K개의 데이터셋 중에서 검증 데이터셋을 어떤 데이터셋으로 활용하는지에 따라서 총 K개의 모델이 생성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검증 데이터셋이 20%로 분배되도록 K를 5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총 5개의 모델을 생성하였다.
CNN 기반의 알고리즘이 어떤 문제 해결에 대해서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추세인가? 그 중에서도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의 하나의 형태라고 할 수 있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기반의 모델은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분류 문제를 다루는 ImageNet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ompetition(ILSVRC)에서도 CNN 기반의 알고리즘 모델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Krizhevsky et al., 2012), 회귀(regression) 문제 (Eigen et al., 2014), 객체 탐지(object detection) (Ren et al., 2017), 의미론적 분할(semantic segmentation) (Badrinarayanan et al., 2016; Long et al., 2015) 등에서 기존의 고전적인 영상처리 알고리즘에 비하여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추세 이다. 이 중에서 의미론적 분할은 입력 이미지 정보에서 픽셀 단위 혹은 인스턴스 단위로 각각의 영역을 고유의 의미를 가지게끔 분할하는 신경망 구조를 가리키며, 합성곱 신경망만을 활용하여 자기부호화기(autoencoder) 형태로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Badrinarayanan et al.
의미론적 분할이란? , 2015) 등에서 기존의 고전적인 영상처리 알고리즘에 비하여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추세 이다. 이 중에서 의미론적 분할은 입력 이미지 정보에서 픽셀 단위 혹은 인스턴스 단위로 각각의 영역을 고유의 의미를 가지게끔 분할하는 신경망 구조를 가리키며, 합성곱 신경망만을 활용하여 자기부호화기(autoencoder) 형태로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Badrinarayanan et al., 2016; L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10.1109/TPAMI.2016.2644615 Badrinarayanan V. , Kendall A. and Cipolla R. (2017), “SegNet: A deep convolutional encoder-decoder architecture for image segmenta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 vol. 39, no. 12, pp.2481-2495. 

  2. Bishop C. (2013),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 Springer, New York, NY. 

  3. 10.1007/s11749-019-00690-2 Cholaquidis A. , Fraimand R. and Sued M. (2018), “On semi-supervised learning,” arXiv:1805.09180v2. 

  4. 10.12815/kits.2018.17.5.55 Chun C. , Shim S. , Kang S. and Ryu S. -K. (201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utomatic pothole detection using ful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 vol. 17, no. 5, pp.55-64. 

  5. Eigen D. , Puhrsch C. and Fergus R. (2014), “Depth map prediction from a single image using a multi-scale deep network,” in Proc. the 27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NIPS) , Montreal, Canada, pp.2366-2374. 

  6. Goodfellow I. , Bengio Y. and Courville A. (2016), Deep Learning , MIT Press, Cambridge, MA. 

  7. 10.1007/978-3-540-31865-1_25 Goutte C. and Gaussier E. (2005), “A probabilistic interpretation of precision, recall and F-score, with implication for evaluation,” in Proc. the 27 th European Conference on Advances in Information Retrieval Research (ECIR) , Santiago de Compostela, Spain, pp.345-359. 

  8. 10.1109/ICSP.2016.7878006 Han W. , Wu C. , Zhang X. , Sun M. and Min G. (2016), “Speech enhancement based on improved deep neural networks with MMSE pretreatment features,” in Proc. the IEEE 13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gnal Processing (ICSP) , Chengdu, China. 

  9. Ioffe S. and Szegedy C. (2015), “Batch normalization: accelerating deep network training by reducing internal covariate shift,” in Proc. the 32 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ICML) , Lille, France, pp.448-456. 

  10. Kim T. and Ryu S. K. (2014), “Review and analysis of pothole detection methods,” Journal of Emerging Trends in Computing and Information Sciences , vol. 5, no. 8, pp.603-608. 

  11. Kingma D. P. and Ba J. L. (2015), “ADAM: a method for stochastic optimization,” in Proc. 3 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ICLR) , San Diego, CA, pp.1-15. 

  12. Krizhevsky A. , Sutskever I. and Hinton G. E. (2012),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Proc. the 27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NIPS) , Lake Tahoe, NV, pp.1097-1105. 

  13. 10.1109/CVPR.2015.7298965 Long J. , Shelhamer E. and Darrell T. (2015),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in Proc.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 Boston, MA, pp.3431-3440. 

  14. Maclin R. and Opitz D. (1999), “Popular ensemble methods: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 vol. 11, no. 1, pp.169-198. 

  15. Nair V. and Hinton G. E. (2010), “Rectified linear units improve restricted boltzmann machines,” in Proc. the 27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ICML) , Haifa, Israel, pp.807-814. 

  16. 10.1109/TPAMI.2016.2577031 Ren S. , He K. , Girshick R. and Sun J. (2017), “Faster R-CNN: towards real-time object detection with region proposal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 vol. 39, no. 6, pp.1137-1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