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Framingham Heart Study의 Heart Age Predictor를 활용한 한국인 심장나이 추이분석
Change Pattern of Heart Age in Korean Population Using Heart Age Predictor of Framingham Heart Stud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8, 2019년, pp.331 - 343  

조상옥 (삼성서울병원 의무기록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Framingham Heart Study의 심장나이 예측 모형을 활용하여 심장나이의 추이를 관찰하여 한국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5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세~74세 대상자 중 심혈관질환 기왕력이 없고, 모형의 결정요인에 해당하는 자료의 결손이 없는 20,01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해 Framingham Heart Study 비실험실 자료를 이용하는 심장나이 산정 모형을 적용하여 심장나이를 계산하였으며 성별로 심장나이와 실제나이와의 차이, 연령대별 차이, 10년 이상 초과율, 지역별 차이에 대해 연도별 추이를 관찰하였다. 자료분석SAS 9.3으로 수행하였으며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장나이와 실제나이의 평균 차이는 남성은 2005년에 7.8세, 2013년 7.7세, 여성은 2005년 1.2세 2013년 1.2세로 남성이 여성보다 컸고,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나이차이가 많아졌으며, 연도별로 뚜렷한 추이 변화는 없었다. 심장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10년 이상 초과한 비율은 남성은 2005년에 35.0%, 2013년에 34.8%, 여성은 2005년에 17.7%, 2013년에 18.7%로 남성이 여성보다 거의 두 배 정도 높았으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차이가 많이 났다.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남녀 차이가 많았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한국인의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장나이는 미래의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종합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한국인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경고효과와 계도목적으로 현장에서 공중보건 관리에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한국형 심장나이 예측 모형의 개발을 위한 심층 연구도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trends of heart age of Koreans by using the predictor of heart age of the Framingham Heart Study. The subjects were 20,012 adults aged 30~74 years who were enroll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5~2013. They filled ...

Keyword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인 심장나이를 적용하여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예측해본 연구는 아직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ramingham Heart Study(FHS: Framingham Heart Study, 이하 FHS)의 심장나이 예측모형을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이하 KNHANES) 자료에 적용하여 한국인의 심장나이를 산출한 후, 실제나이와 심장나이의 차이에 대한 연도별 추이와 지역적 차이를 관찰해 봄으로서 한국인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에 대해 평가해보고자 한다.
  • FHS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예측 확률 모형은 심혈관발생 여부 및 추적기간(10년)을 종속변수로 하며 성별에 따라 각각 존재한다. FHS의 심장나이 예측 모형은 검사측정치를 이용한 모형과 비실험실자료를 이용한 모형이 있는데, 후자가 전자에 비해 그 우수성이 떨어지지 않음과 동시에 비교적 간단하며[3], 또한 본 연구 자료로 활용할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경우, 과거 측정치 자료에 대한 결측치, 측정값의 오류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자료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실험실 자료를 이용하고자 한다. 비실험실자료를 이용한 모형은 Table 2와 같이 연령, 수축기 혈압, 고혈압 치료약물 복용 여부, 현재 흡연 여부, 당뇨병 유무, BMI 를 변수로 이용하며 식 2, 3과 같다.
  • 본 연구는 Framingham Heart Study 의 심장나이 예측모형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적용하여 한국인의 향후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평가하는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05년부터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30세 이상 74세까지의 대상자로서 심혈관질환 기왕력이 없고 모형의 결정요인에 해당하는 자료의 결손이 없는 20,01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심장나이 개념을 적용하여 10년 후 한국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에 대한 평가를 해보았다. 그 결과, 한국인의 향후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같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50대부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었고 지역별로 편차가 심했다.
  • 그런데 우리는 왜 지금까지 심혈관질환 관리를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았을까? 그 이유는 향후 우리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가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우리에게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지 않았기 때문일 수 도 있다. 이에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의사소통의 도구로 심장나이의 개념을 도입해 볼 것을 제안한다. 심장나이는 임상진료현장에서 임상의가 환자 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향후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Framingham Heart Study의 심장나이 예측 모형을 활용하여 심장나이의 추이를 관찰하여 한국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5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세~74세 대상자 중 심혈관질환 기왕력이 없고, 모형의 결정요인에 해당하는 자료의 결손이 없는 20,01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해 Framingham Heart Study 비실험실 자료를 이용하는 심장나이 산정 모형을 적용하여 심장나이를 계산하였으며 성별로 심장나이와 실제나이와의 차이, 연령대별 차이, 10년 이상 초과율, 지역별 차이에 대해 연도별 추이를 관찰하였다.
심혈관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질병 및 사망원인으로 2016년 WHO보고 자료에 의하면 최근 15년 동안 사망원인 1위 질환이었으며[1], 우리나라에서도 원사인 2, 3위를 차지하는 질환이다[2].  심혈관질환은 만성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동맥질환, 심부전을 포함하는 질환으로[3], 일단 발생하면 완치가 어렵고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심각한 질환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D’Agostino 등은 이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 연령, 성별, 고혈압, 흡연, 이상지질혈증, 당뇨[3] 등을 제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심장나이와 실제나이 평균의 연도별 성별에 따른 추세는 어떠한가? 3으로 수행하였으며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장나이와 실제나이의 평균 차이는 남성은 2005년에 7.8세, 2013년 7.7세, 여성은 2005년 1.2세 2013년 1.2세로 남성이 여성보다 컸고,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나이차이가 많아졌으며, 연도별로 뚜렷한 추이 변화는 없었다. 심장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10년 이상 초과한 비율은 남성은 2005년에 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