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of studies related to the temperature of the warm needle for systematic utilization of warm needling techniqu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bases of nine (Pubmed, Science Direct, Cochrane Central, 4 Korean da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of studies related to the temperature of the warm needle for systematic utilization of warm needling techniqu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bases of nine (Pubmed, Science Direct, Cochrane Central, 4 Korean databases, CNKI, CiNii) to analyze temperature-related studies of the warm needle from 2000 to June 2019. Results: A total of 19 papers were included. Of these, 15 were used for mugwort, 2 for high frequency, and 1 for both mugwort and high frequency, and the other one for a ceramic heater. The maximum temperature rises as the amount of moxibustion increases. It is also affected by the density of moxa and the ignition part. There were 16 papers using stainless steel needles and 4 papers using a needle made of gold or silver to compare. In the area of the needle, the closer it is to moxibustion, the hotter it is. Compared to stainless steel needles, gold and silver needles showed almost twice the temperature. The effects of environment and radiant heat should be considered during warm needle procedures. Conclusions: There are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such as warm needle technique materials, methods, measuring parts, measuring instruments, etc. The results were also very diverse. When setting the heating source, ignition part, size of moxibustion, etc. of warm needles, it should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takes safety and validity into account. Considerations fo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radiant heat, etc. of warm needles will be needed when making warm needle apparatu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of studies related to the temperature of the warm needle for systematic utilization of warm needling techniqu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bases of nine (Pubmed, Science Direct, Cochrane Central, 4 Korean databases, CNKI, CiNii) to analyze temperature-related studies of the warm needle from 2000 to June 2019. Results: A total of 19 papers were included. Of these, 15 were used for mugwort, 2 for high frequency, and 1 for both mugwort and high frequency, and the other one for a ceramic heater. The maximum temperature rises as the amount of moxibustion increases. It is also affected by the density of moxa and the ignition part. There were 16 papers using stainless steel needles and 4 papers using a needle made of gold or silver to compare. In the area of the needle, the closer it is to moxibustion, the hotter it is. Compared to stainless steel needles, gold and silver needles showed almost twice the temperature. The effects of environment and radiant heat should be considered during warm needle procedures. Conclusions: There are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such as warm needle technique materials, methods, measuring parts, measuring instruments, etc. The results were also very diverse. When setting the heating source, ignition part, size of moxibustion, etc. of warm needles, it should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takes safety and validity into account. Considerations fo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radiant heat, etc. of warm needles will be needed when making warm needle apparatu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러한 가운데 온침 관련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온침의 주요 기전인 열특성에 기반한 적절한 실험방법에 대한 고찰 및 온침 시술의 온도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온침에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 특히 열적 특성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온침 기기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온침에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 특히 열적 특성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온침 기기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온침의 체계적 활용을 위한 온침의 온도와 관련된 연구들의 연구방법과 결과를 정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고찰 (review) 논문 형식이다.
본 연구는 온침의 체계적 활용을 위한 온침의 온도와 관련된 연구들의 연구방법과 결과를 정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고찰 (review) 논문 형식이다.
제안 방법
쑥뜸 연소 특성 분석을 위해 앞면이 개방되어 있는 방이나 벤치를 이용한 논문이 5편 있었다. 또한 쑥뜸을 이용한 논문에서는 환기를 위해서 fan을 설치하여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실험환경에서 온도는 18~26℃로 상온에서 이루어졌다.
이 중 온침의 열특성에 대해 리뷰한 2011년 논문이 있었는데, 이 논문은 온침의 온도에 중점을 둔 것이 아닌 임상연구와 동물실험연구도 포함하여 나열 식으로 리뷰를 하였다12). 본 논문은 이와 달리 좀 더 온도에 중점을 두어 리뷰가 이루어졌고, 필수적인 검 색 시스템을 빠뜨리지 않고, 논문 검색식 또한 다듬어 정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논문은 이와 달리 좀 더 온도에 중점을 두어 리뷰가 이루어졌고, 필수적인 검 색 시스템을 빠뜨리지 않고, 논문 검색식 또한 다듬어 정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결과 정리에 있어서도 서술형으로 정리하여 요약본을 모아놓은 형식이었던 2011년 논문 대비, 본 논문에서는 표로 정리하여 간결하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달리 좀 더 온도에 중점을 두어 리뷰가 이루어졌고, 필수적인 검 색 시스템을 빠뜨리지 않고, 논문 검색식 또한 다듬어 정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결과 정리에 있어서도 서술형으로 정리하여 요약본을 모아놓은 형식이었던 2011년 논문 대비, 본 논문에서는 표로 정리하여 간결하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3g과 5g의 뜸을 비교해 놓은 논문이 2편 있었지만 대부분의 논문에서는 2g미만의 뜸 무게였다. 3g과 5g의 뜸을 측정한 논문은 모두 침첨을 중심으로 온도를 측정하였다. 침첨을 기준으로 온도를 측정하면 뜸 양을 많이 하여야 온도가 충분히 올라간다.
대상 데이터
2000년부터 2019 년 6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Warm Acupuncture OR Warm Needle) AND (Temperature OR Heat), 온침 AND (온도 OR 열전달)”을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국내외 온침의 온도관련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Pubmed, Science direct,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Mbas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NDSL), Oasis,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CiNii의 검색시스템을 이용하였다. 2000년부터 2019 년 6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Warm Acupuncture OR Warm Needle) AND (Temperature OR Heat), 온침 AND (온도 OR 열전달)”을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2019년 7월 2일에 검색을 시작하여 검색된 533편의 논문에서 문헌 선정 과정은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따라서 2단계에 의해 진행되었다. 1단계는 연구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였다.
검색시스템을 통해 검색된 533편의 논문 외에 hand searching과 검색한 논문의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4개의 논문이 추가되어 총 537편의 논문을 앞서 정한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총 19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이중 국내 논문이 11편, 중국논문이 5편, 대만, 오스트리아, 홍콩 논문이 각각 1편이었다.
검색시스템을 통해 검색된 533편의 논문 외에 hand searching과 검색한 논문의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4개의 논문이 추가되어 총 537편의 논문을 앞서 정한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총 19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이중 국내 논문이 11편, 중국논문이 5편, 대만, 오스트리아, 홍콩 논문이 각각 1편이었다. 그리고 발표연도에 따라 분류하자면 2009년에 4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가열원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최종 선정된 19편의 논문 중 15편은 쑥뜸, 2편은 고주파, 1편은 쑥뜸과 고주파를 모두 다루었고 나머지 1편은 ceramic heater를 사용하였다. 쑥뜸의 모양에 있어서는 총 3 가지 모양이 있고, 원추형이 6편, 원통형이 6편, 구형 이 2편이었고, 2편에서는 쑥뜸의 모양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성능/효과
5cm 떨어진 부위가 3편으로 많았다. 가장 많이 측정된 부위인 침첨의 결과값을 살펴보면, 뜸 무게 1.0g에서 측정된 것이 3편으로 가장 많았고, 이들 최고온도의 평균값은 24.25℃, 그 다음으로 3.0g을 측정한 두 결과값의 평균은 23.45℃, 5.0g을 측정한 두 결과값의 평균은 24.28℃였다. 이들 논문에서의 침의 재질은 모두 스테인리스 침이었다.
. 애주의 밀도가 작을수록 연소 시 최고 온도는 증가하였고, 더 빨리 최고온도에 도달하였다. 하지만, 애주의 밀도에 따른 유효자극시간은 애주의 밀도가 클수록 길어졌으며 유효 자극시간 내 평균온도 또한 애주의 밀도가 커질수록 높았다.
애주의 밀도가 작을수록 연소 시 최고 온도는 증가하였고, 더 빨리 최고온도에 도달하였다. 하지만, 애주의 밀도에 따른 유효자극시간은 애주의 밀도가 클수록 길어졌으며 유효 자극시간 내 평균온도 또한 애주의 밀도가 커질수록 높았다. 이를 통해 밀도가 작으면 뜸이 성기게 분포하기 때문에 빠르게 연소되면서 최고온도가 높아지고, 밀도가 크면 빽빽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천천히 연소되다 보니 최고온도자체는 낮지만, 유효한 온도로 오랫동안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값은 다양한 기준으로 실험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모두 언급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많이 연구된 기준에 대해 요약해보면, 측정 부위에 있어서 뜸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내려갔다. 뜸은 침병에 부착되기 때문에, 침첨으로 갈수록 온도가 내려갔다.
. 침의 재질에 따라 열의 전도율이 매우 달라져, stainless steel침에 비해 금침과 은침은 거의 2배 가까이 높은 온도를 보였다. 따라서 침의 재질에 따른 온도변화의 폭을 알고, 침 재질의 선택에 있어서 신중을 가해야 한다.
따라서 침의 재질에 따른 온도변화의 폭을 알고, 침 재질의 선택에 있어서 신중을 가해야 한다. 침의 크기에 있어서도 길이가 길수록 뜸과의 거리가 멀어져 최고온도가 낮아졌고, 굵기가 굵을수록 열의 전달이 잘 일어나 최고온도가 올라갔다
. 기류를 다룬 논문으로, 기류가 증가할수록 총 열량에서 유효열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고 온침의 온도는 기류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moxa뜸(Artemisia vulgaris로 이루어진 전통애주)의 경우에는 100℃정도 차이가 나고, charcoal(쑥숯) 뜸의 경우는 50℃ 정도 차이가 난다는 결론을 내렸다. 추후 외부 기류와 같은 환경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후속연구
고주파와 세라믹 히터의 경우에는 시간에 따른 온도 그래프가 뜸처럼 peak를 찍고 내려오는 형태가 아니라, 빠르게 최고온도로 올라간 뒤 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된다. 따라서 향후 온침의 가열원이 다양화 될 때 쑥뜸의 특성을 모사하기 위해서는 쑥뜸의 온도변화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뜸을 사용한 온침 논문에 비해 다른 가열원을 사용한 온침의 경우에는 연구가 적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온침의 가열원이 다양화 될 때 쑥뜸의 특성을 모사하기 위해서는 쑥뜸의 온도변화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뜸을 사용한 온침 논문에 비해 다른 가열원을 사용한 온침의 경우에는 연구가 적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침첨을 포함한 생체 내에 자입한 부분에서 일정 온도가 유지되어 충분한 온열자극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뜸과 생체 내에 자입한 부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야 될 것이다. 자입한 부분의 온도를 측정한 논문의 수가 적었기 때문에 향후 추가 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즉, 복사열이 차단된 조건을 취할 경우 실제 온침의 열 전달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다. 향후 연구에 있어서 복사열을 고려한 연구와 온침 기기개 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이 연구는 실험연구가 아닌 수학, 물리학적 분석만으로 이루어진 논문으로 이 연구에서는 뜸에서 나오는 연소에너지의 전도는 바늘 주위의 피부층으로 제한되고 더 깊은 조직에는 온침의 영향이 없었다는 결론을 내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실제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류를 다룬 논문으로, 기류가 증가할수록 총 열량에서 유효열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고 온침의 온도는 기류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moxa뜸(Artemisia vulgaris로 이루어진 전통애주)의 경우에는 100℃정도 차이가 나고, charcoal(쑥숯) 뜸의 경우는 50℃ 정도 차이가 난다는 결론을 내렸다. 추후 외부 기류와 같은 환경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등의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논문이 있었다. 이 논문들은 본 연구에 포함되었으나, 상기항목에 해당하는 결과값은 제외된 것으로 추후 연구에서 임상과 좀 더 연관시켜 연구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온침의 온도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살펴, 추후 온침의 온도 연구와 그 후에 이루어질 온침의 임상연구 등의 다양한 연구에 기여하는 논문이 될 것이다. 또한, 실험방법의 정밀화, 규격화를 시도함으로써 앞으로의 온침의 온도 실험에 있 어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온침의 온도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살펴, 추후 온침의 온도 연구와 그 후에 이루어질 온침의 임상연구 등의 다양한 연구에 기여하는 논문이 될 것이다. 또한, 실험방법의 정밀화, 규격화를 시도함으로써 앞으로의 온침의 온도 실험에 있 어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침(溫鍼) 요법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가?
온침(溫鍼) 요법이란 호침(毫鍼)을 체내에 자입한 후 침병(鍼柄) 또는 침미(鍼尾)에 쑥을 부착하고 불을 붙여 열 자극을 가해 치료하는 방법이다1). 자침을 한 후, 뜸의 온열 자극을 같이 주어 경맥을 통하도록 하 고 기혈을 흐르게 하여, 경락과 기혈이 막힌 것을 치 료한다. 『黃帝內經素問』 調經論篇에서 지금의 온침이 라고 여겨지고 있는 燔鍼이라는 용어가 언급되었고2), 온침이라는 용어는 『傷寒論』에서 최초로 언급되었다 3).
온침(溫鍼) 요법은 무엇인가?
온침(溫鍼) 요법이란 호침(毫鍼)을 체내에 자입한 후 침병(鍼柄) 또는 침미(鍼尾)에 쑥을 부착하고 불을 붙여 열 자극을 가해 치료하는 방법이다1). 자침을 한 후, 뜸의 온열 자극을 같이 주어 경맥을 통하도록 하 고 기혈을 흐르게 하여, 경락과 기혈이 막힌 것을 치 료한다.
온침의 과도한 열 자극으로 인한 화상 등 부작용이 있지만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온침은 과도한 열 자극으로 인한 화상과 침 자극 으로 인한 피하혈종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11). 하지만 온침은 침병에 뜸을 부착시키기 때문에 피부와의 거리가 일반 뜸 치료보다 멀어 화상의 위 험을 줄일 수 있고, 고온으로 달구어 사용하는 화침에 비교하여도 안전성이 높다. 짧은 시간밖에 유침을 못하는 화침에 비해 더 길게 유침할 수 있어 열 전달 시간 또한 길다12). 온침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통증 에 한 치료효과가 있고, 뜸의 온열 자극과 침 자극 을 같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핫팩 이나 뜸, 적외선 치료와 같은 표면적인 가열방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깊은 조직층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