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냉수대 발생역의 장기 변동 분석
Long-term Trend Analysis of Cold Waters along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5, 2019년, pp.581 - 588  

김주연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한인성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안지숙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박명희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동해안 냉수대 해역의 바람의 세기 및 방향과 수온의 장기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바람분석 결과, 과거 22년(1997년~2011년)과 최근 7년(2012년~2018년)을 비교해 보면 여름철 동안 과거에 비해 최근에 남풍계열 바람의 빈도가 줄었고, 풍속도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6월의 바람은 남풍계열 바람의 빈도와 풍속이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7월과 8월에 주로 나타난 냉수대 시기가 빨라졌다고 분석되었다. 최근 7년 사이 강릉(EN) 해역에서 $0.5^{\circ}C{\sim}1.8^{\circ}C$의 수온 상승을 보였으며, 영덕(EC)과 기장(ES)은 $0.1^{\circ}C{\sim}0.3^{\circ}C$의 수온 상승을 보였다. 평년(1990년~2011년, NOAA/AVHRR 위성수온자료) 대비 최근 7년의 냉수대 출현일은 영덕과 기장에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고, 강릉은 상대적으로 냉수대 출현일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강릉, 영덕, 기장 해역에서 6월에 냉수대 출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냉수대 발생 해역과 시기에 변화가 발생 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주변의 여름철 동아시아 몬순의 약화가 냉수대의 발생원인인 풍향과 풍속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ong-term trend analysis of cold water masses along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was performed during summer, based on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ata. Wind data collected over a 22-year period (1997-2011) were compared with another set of data collected ove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냉수대의 장기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여름철 동해안 냉수대 해역에서 발생된 바람의 세기 및 방향과 수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냉수대는 여름철 연안역에 주변 해역보다 수온이 5℃ 이상 차가운 해수가 출현하는 경우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냉수대 출현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년 위성 수온자료 대비 최근 7년(2012년 ~ 2018년)간 5월에서 8월 사이 RISA 수온자료가 5℃ 이상 낮아진 시기(이하 냉수대 출현일)를 파악하여 분석하였다(Table 2). 월별로 보면, 7월에 219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8월(118일) > 6월(42일) > 5월(11일)순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동해 냉수대를 일으키는 남풍계열 바람의 장기 변동 경향을 분석하고 냉수대 발생역의 수온변화를 연구하였다. AWS/ASOS에서 관측된 22년(1997년~2018년)간 냉수대 발생 시기(5월 ~ 8월)의 바람의 변화는 과거 15년(1997년~2011년)은 지점별, 월별의 차이는 있었으나 대체로 약 50 % 내외의 남풍계열 바람이 불었으며 바람의 빈도는 증가추세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여름철 동해안 냉수대 해역 연구를 위해 자료를 분석했을 때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결론적으로 동해 냉수대를 일으키는 바람의 방향이 기압배치의 변화와 몬순의 약화로 인해 패턴이 변하였고, 남풍계열 바람이 주로 불었던 7월과 8월보다는 6월에 빈도가 증가되는 추세를 나타내며 풍속 또한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바람의 변화는 최근 7년 동안 동해 연안역의 냉수대 출현 해역에도 영향을 미쳐 영덕과 기장의 냉수대 출현일수가 줄어드는 반면, 상대적으로 냉수대 출현일수가 적은 강릉이 상승추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냉수대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냉수대는 여름철 연안역에 주변 해역보다 수온이 5℃ 이상 차가운 해수가 출현하는 경우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냉수대 출현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년 위성 수온자료 대비 최근 7년(2012년 ~ 2018년)간 5월에서 8월 사이 RISA 수온자료가 5℃ 이상 낮아진 시기(이하 냉수대 출현일)를 파악하여 분석하였다(Table 2).
여름철 동해역에서의 냉수대는 언제 발생하는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여름철 동해역에서의 냉수대는 남서풍이 7일 이상 평균풍속 3 m/sec 혹은 3일 이상 평균풍속 4 m/sec 일 때 발생하며 주로 봄~여름 시기에 주로 발생한다(Seung, 1974; Lee, 1983; Byun 1989; Lee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yun, S. K. (1989), Sea surface cold water near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Wind effect, Journal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4, No. 3, pp. 121-131. 

  2. 10.3796/KSFT.2015.51.2.212 Choi, Y. K. (2015), Upwelling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East Sea in July, 201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ol. 51, No. 2, pp. 212-220. 

  3. 10.7837/kosomes.2016.22.7.836 Choo, H. S. (2016), Variation and Structure of the Cold Water Around Ganjeol Point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22, No. 7, pp.836-845. 

  4. Hori, M. E. and H. Ueda (2006), Impact of global warming on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as revealed by nine coupled atmosphere-ocean GCM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3, pp. 2-5. 

  5. Hwang, J. D. , Y. H. Lee, J. M. Shim, S. H. Youn, H. G. Jin, Y. S. Kim, K. Y. Kwon and S. C. Yoon (2008), Physical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in Hupo Coastal area during Summer and Autumn, 2007,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41, No. 6, pp. 505-510. 

  6. Kim, J. Y. , I. S. Han and J. S. Ahn (2018), Correlation Analysis of UA Using Wind Data of AWS/ASOS and SST in Summer in the East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24, No. 6, pp. 773-784. 

  7. Lee, D. K. , J. I. Kwon and S. B. Hahn (1998), The Wind Effect on the Cold Water Formation Near Gampo-Ulgi Coast.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1, No. 3, pp. 359-371. 

  8. Lee, J. C. (1983), Variations of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ssociated wind-induced upwelling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Journal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18, pp. 149-160. 

  9. Lee, J. C. (2011), Upwelling-Response of the Cold Water off Haeundae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6, No. 4, pp. 206-211. 

  10. Lee, Y. H. , J. H. Shim, S. W. Kim and J. M. Shim (2017), Intensity of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 and its Effects on Marine Culturing Farms Along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pp. 188-189. 

  11. Li, H. , A. Dai, T. Zhou and J. Lu (2010), Responses of East Asian summer monsoon to historical SST and atmospheric forcing during 1950-2000, Climate Dynamics, Vol. 34, pp. 501-514. 

  12. Seung, Y. H. (1974), A dynamic consideration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August. Journal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9, pp. 52-58. 

  13. Shin, C. W. (2019) . Change of Coastal Upwelling Index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24, No. 1, pp. 79-97. 

  14. Yang, H. S. , S. J. Oh, H. P. Lee and C. H. Moon (1998), Distributio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Gampo Upwelling Area of the Southwestern East Sea. Journal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33, No. 4, pp. 157-167. 

  15. 10.1016/j.jmarsys.2009.02.014 Yoo, S. and J. Park (2009), Why is the southwest the most productive region of the East Sea/Sea of Japan. Journal of Marine Systems, Vol. 78. pp. 301-315. 

  16. Yoon, S. and H. Yang (2016),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Cold Water Zone in the East Sea Using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2, No. 6, pp. 703-7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