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의 손상도 평가
Assessment of Damage for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in Gyeongju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299 - 305  

이젬마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전방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의 손상 유형은 역사적, 예술적 가치 저하뿐만 아니라 암석 풍화도 가속화 시킬 수 있으므로 보존을 위한 적절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석탑 보존은 선조들이 남긴 원형을 유지하여 후대에 전해주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 과정에서는 손상 상태에 관한 기록을 포함하며 향후 확인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석탑 손상도 평가는 보존연구와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보존처리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예방적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 이 석탑의 정량적 손상도 평가 결과, 전체 면적 대비 생물 피도 159 %, 화학적 원인 114 %, 물리적 원인 16 % 점유율을 보인다. 또한 서측 방향에서는 일조량과 암석의 팽창수축 영향으로 손상 범위가 95 % 나타났다. 기단부와 탑신부에서는 다른 부재대비 높은 손상률과 복합적 손상 패턴이 관찰된다. 반면에 상륜부는 1970년대 신석재로 복원하여 원 부재 대비 야외노출 시간이 짧기 때문에 보존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보존과정에서는 세척처리를 통해 생물 종의 오염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물리적 파손 부재는 접합처리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석탑은 향후 재 손상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안전점검 모니터링과 예방적 보존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amage factors of the three­storey stone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in Gyeongju could cause a reduction in the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and accelerate the deterioration of the stone, an appropriate solution is needed. The aim of stone conservation is to conserve the original shap...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탑은 1300여 년 역사를 자랑하며 신라 삼층석탑의 정형을 확립한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기념비적인 탑이다. 문화재를 보존하는 것은 그 원형을 유지하여 선조들이 물려준 모습으로 후대에 전해주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 과정에서는 손상 현황과 보존 과정 등 상세한 기록을 포함하여 향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손상 유형별 범례 기준과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정량적 손상도 평가를 하였다. 이 연구가 석탑의 원형과 가치 보존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하지만 포괄적인 원형 보존 개념으로 진정성, 연속성, 장소성을 포함한 확장된 원형 개념은 전통과 현대 기술 속에서 최선의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사료된다. 이 과정에서 손상도 평가는 손상 양상을 파악하여 향후 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비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보존 관련 현황과 연구 자료뿐만 아니라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탑 보존의 목적은 무엇인가?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의 손상 유형은 역사적, 예술적 가치 저하뿐만 아니라 암석 풍화도 가속화 시킬 수 있으므로 보존을 위한 적절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석탑 보존은 선조들이 남긴 원형을 유지하여 후대에 전해주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 과정에서는 손상 상태에 관한 기록을 포함하며 향후 확인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의 정량적 손상도 평가 결과는? 특히 석탑 손상도 평가는 보존연구와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보존처리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예방적 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 이 석탑의 정량적 손상도 평가 결과, 전체 면적 대비 생물 피도 159 %, 화학적 원인 114 %, 물리적 원인 16 % 점유율을 보인다. 또한 서측 방향에서는 일조량과 암석의 팽창수축 영향으로 손상 범위가 95 % 나타났다. 기단부와 탑신부에서는 다른 부재대비 높은 손상률과 복합적 손상 패턴이 관찰된다. 반면에 상륜부는 1970년대 신석재로 복원하여 원 부재 대비 야외노출 시간이 짧기 때문에 보존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보존과정에서는 세척처리를 통해 생물 종의 오염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물리적 파손 부재는 접합처리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다수의 석조 문화재를 조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걸쳐 질 좋은 화강암이 풍부할뿐만 아니라 암석의 내구성과 생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역사적, 예술적, 종교적 목적에 맞는 다수의 석조 문화재를 조성할 수 있었다. 국내 현존 건축문화재 총 753건 중 석조문화재는 568건(7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General Table of Designated Cultural Heritage(Table) [Interne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8 [cited 2019 June 18], Available From: http://www.cha.go.rk/htmlHtmlPage.do?pg/cultural_info/cultureTotal_ccrebasi_kor.jsp&mnNS_03_07_03 (accessed Jun. 18, 2019) 

  2. J. K. Park, Stone Cultural Heritage in Korea, p.212, Dareonsesang, 2004. 

  3. B. I. Han, Conservation of Stone Cultural Heritage, p.16, p.29-33, Dareonsesang, 2004. 

  4. C. A. Price, E. Doehne, Stone Conservation : An Overview of Current Research, pp.2-26,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2011. 

  5. G. M. Lee, S. D. Kim, S. C. Park, D. M. Kim, "Characteristic of Inorganic Contaminants and Conservation Treatment Materials for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in Gyeongju", The Korea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Vol.34, No.5, pp.421-431, Oct. 2018. DOI: https://doi.org/10.12654/JCS.2018.34.5.10 

  6. S. D. Kim, T. J. Lee, D. R. Kim, M. S. Han, "Analysis of Surface Contaminants and Removal Techniques on Three-Storied Stone Pagoda at the West of Gameunsaji Site", The Korea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Vol.26, No.2, pp.203-211, June. 2010. 

  7. B. S. Bae, S. J. Ji, G. M. Lee, B. R. Kim and others, Research and Analysis Report of Caused Crack for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Korea, pp.192-205, Oct., 2012. 

  8. S. J. Lee, "Calligraphy Style of Bohyeopin-Dharani Sutra from the Three Stories Stupa at the Bulguksa",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Vol.36, pp.317-347, Dec. 2010. 

  9. J. H. Ho, "A Repairing Record for Western Stone Pagoda at Bulguk Temple Made in King Jungjong at the Goryeo in 1038 and Sarira Reliquries on Sukga Pagoda ", the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 Vol.32, pp.91-116, Aug.. 2008. 

  10. S. I. Hwang,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Bulguksa-Region and the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of the Bulguksa Temple",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42, No.3 pp.315-331, Aug.. 2008. 

  11. National Museum of Korea, Sarira Relics and Reliquaries : Bulguksa Seokgatap Relics 3, Restoration for the Thretkin Gyeongju, Korea, pp.162-181, Dec., 2009. 

  1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 Study on the Cleaning and Conservation of Seokgatap, Dabotap and Seokgulam, p.97-13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971. 

  13. B. S. Bae, S. J. Ji, G. M. Lee, B. R. Kim and others, Restoration for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Korea, p.19, pp.192-205. 

  14. J. H. Jin, S. H. Kang, Height of Beauty of Sculpture in Stone Art, p.42-56, DongcheonMunhasa, 2006. 

  15. K. S. Park, the Flower of Stone Art of Seokgatap and Dabotap, p.69-78, Hankilart, 2003. 

  16.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Relic of Bulguksa Seokgatap 2, p.51-67, Citypartner, 200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