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ET 초극세사 염색에서 분산염료의 친화력과 온도 의존성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Affinity of Disperse Dye on Dyeing of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Microfib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532 - 540  

이헌 (청주대학교 에너지광기술융합학부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ET 초극세사의 분산염료 등온흡착염색에서 염료의 분배계수와 표준친화력의 시료 굵기에 따른 영향성과 확산계수의 온도 의존성을 알아보았다. 염색은 해도형 초극세사 0.2, 0.06, 0.01 dpf 급과 일반 극세사 0.5 dpf 급을 anthraquinone계 염료 C.I. Disperse Blue 56으로 무한염욕조건 100, 110, 120, $130^{\circ}C$에서 등온염색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Nernst type과 잘 일치하는 분산염료의 시료 굵기별 등온흡착곡선을 얻었다. 해도형 PET 초극세사의 해성분 용출은 NaOH 수용액을 이용한 PET 알칼리 가공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염색에 사용된 분산염료는 흡광도 측정을 토대로 고온에서 장시간 염색 진행시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초극세사의 염색은 결론적으로 동일 온도에서 굵기가 감소함에 따라 시료 표면적의 증가로 인해 분배계수 및 표준친화력은 증가하였다. 모든 굵기에서 염색현상은 발열반응이기 때문에 염색 온도가 증가할수록 분배계수가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표준친화력은 동일 굵기에서 대략 9% 감소하였다. 또한 굵기가 감소할수록 동일 온도에서 최대로 염착되는 염료 농도가 증가하였고, 염색 과정에서 발생되는 염색열은 0.01 dpf 초극세사에서 -10.64 kcal/mo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료 굵기가 감소할수록 염액과 접촉 가능한 표면적은 증가하였지만, 그에 반해 초극세사 사이의 공간이 조밀하게 되어 염액이 원활히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그 때문에 확산계수는 시료의 굵기가 극세화될수록 감소하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고온으로 갈수록 더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시료의 굵기가 증가할수록 확산계수의 온도 의존성은 $130^{\circ}C$에서 40%까지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T microfibers with various diameters (0.5, 0.2, 0.06, and 0.01 dpf) were dyed with a dispersed dye (C.I. Disperse Blue 56) at various temperatures. The dyeing process was conducted under infinite dyebath conditions at constant temperatures. The effects of the dyeing temperature and diameter on th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굵기와 온도에 따른 효과로 분석하였다. 등온염색을 했을 때 특정시간에서의 염착량으로 염료의 확산계수를 계산하여 시료의 굵기에 따른 확산계수의 온도 의존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 해도형 초극세사의 분산염료 등온흡착염색에서 분배 계수와 친화력, 확산계수 온도 의존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와 굵기에서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도형 초극세사의 분산염료 등온흡착염색에서 분배 계수와 친화력, 확산계수 온도 의존성을 연구한 결과는? PET와 분산염료를 일정한 온도에서 다양한 농도로 흡착평형염색을 실시하여 얻은 등온흡착평형 곡선은 Nernst type과 일치하였다. 또한 동일 온도에서 굵기가 감소함에 따라 시료 표면적의 증가효과로 인해 분배계수 및 표준친화력은 증가함을 보였다. 모든 굵기에서 염색현상이 발열반응이기 때문에 염색온도가 증가할수록 분배 계수가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표준친화력은 감소하였다. 시료 굵기가 감소함에 따라 표면적의 증가로 인해 동일 온도에서 최대로 염착되는 염료량은 증가하였다. 염색과정에 발생되는 염색열은 굵기가 감소할수록 염색이 용이해져서 작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굵기가 감소할수록 초극세사의 표면적은 증가하지만 각각의 초극세사 사이의 공간이 협소해진다. 이로인해 염색과정에서 염액의 원활한 침투를 위한 공간이 부족하여 염액의 원활한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확산계수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초극세사 분할이 심해져서 굵기가 가늘어질수록 확산계수가 더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초극세사 시료의 굵기가 감소할수록 확산계수 값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고온으로 갈수록 더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확산계수의 온도 의존성은 굵기가 굵을수록 증가하였다.
초극세사의 기준은? 이를 바탕으로 제조된 여러 다양한 소재는 여러 장점으로 인해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1]. 일반적으로 초극세사는 단사 굵기(denier per filament, dpf)가 0.3이하인 시료를 말한다. 보통 복합방사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해도형 복합방사 초극세사(Sea-islands type Supermicro fiber)와 분할형 복합방사(Nylon/PET 분할사)가 초극세사 제조에 사용된다.
PET의 특징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초극세사는 굵기가 가늘어질수록 광택과 외관이 향상되고 질감이 부드러우며, 기존 제품이 가지고 있는 특성 향상과 더불어 때로는 새로운 기능이 구현되기도 한다. 또한 닦음성, 흡수성, 보온성, 경량성 역시 우수해지는 특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조된 여러 다양한 소재는 여러 장점으로 인해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M. Burkinshaw, Chemical Principles of Synthetic Fibre Dyeing,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pp. 194-217, Glasgow, 1995. 

  2. G. Jerg, J. Baumann, Polyester Microfibers: A New Generation of Fabrics, Textile Chemist and Colorist, Vol. 22, pp. 12-14, 1990. 

  3. J. Militky, J. Vanicek, J. Krysufek, V. Hartych, Modified Polyester Fibres, Elsevier, pp. 61-62, Prague, 1991. 

  4. W. S. Perkins, D. M. Hall, "A Fundamental Study of the Sorption from Trichloroethylene of Three Disperse Dyes on Polyester", Textile Rsearch Journal, Vol. 43, Issue 2, pp. 115-120, Feb. 1973. DOI: https://doi.org/10.1177/004051757304300209 

  5. A. Johnson, The theory of coloration of textiles, 2nd, pp. 263-394,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1989 

  6. W. McDowell, R. Weingarten, "New Experimental Evidence about the Dyeing of Polyester Materials with Disperse Dyes", Journal of the Society of Dyes and Colourists banner, Vol. 85, Issue 12, pp. 589-597, Dec. 1969. DOI: https://doi.org/10.1111/j.1478-4408.1969.tb02865.x 

  7. R. H. Peters, J. H. Petropoulos, R. Mcgregor, "A study of the Diffusion of Dyes in Polymer Films by a Microdensitometric Technique", Journal of the Society of Dyes and Colourists, Vol. 77, Issue 12, pp. 704-714, Dec. 1961. DOI: https://doi.org/10.1111/j.1478-4408.1961.tb02420.x 

  8. J. G. Blacker, D. Patterson, "Molecular Mechanisms of Disperse Dyeing of Polyester and Nylon Fibres", Journal of the Society of Dyes and Colourists, Vol. 85, Issue 12, pp. 598-605, Dec. 1969. DOI: https://doi.org/10.1111/j.1478-4408.1969.tb02866.x 

  9. T. Shibusawa, Y. Chigira, "Dual-Mode Sorption of Nonionic Azo Dyes by Nylon 6",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B: Polymer Physics, Vol. 30, Issue 6, pp. 563-568, May 1992. DOI: https://doi.org/10.1002/polb.1992.090300607 

  10. T. Nakamura, S. Ohwaki, T. Shibusawa, "Dyeing Properties of Polyester Microfibers", Textile Research Journal, Vol. 65, Issue 2, pp. 113-118, Feb. 1995. DOI: https://doi.org/10.1177/004051759506500207 

  11. T. Nakamura, R. R. Bommu, Y. Kamiishi, T. Shibusawa, "Dyeing Properties of a Polyester Ultrafine Fiber", Textile Research Journal, J. Vol. 70, Issue 11, pp. 961-968, 2000. DOI: https://doi.org/10.1177/004051750007001105 

  12. T. Shibusawa, "Polynomial Approximations Describing Rate of Dyeing from a Finite Bath", Journal of the Society of Dyes and Colourists, Vol. 96, Issue 6, pp. 293-296, Jun. 1980. DOI: https://doi.org/10.1111/j.1478-4408.1980.tb03529.x 

  13. T. Shibusawa, "The mathematical expression of rate constants in empirical rate of dyeing equations in disperse dyeing", Journal of the Society of Dyes and Colourists, Vol. 104, Issue 1, pp. 28-33, Jan. 1988. DOI: https://doi.org/10.1111/j.1478-4408.1988.tb01132.x 

  14. J. N. Etters, "Isothermal Sorption from Finite Baths: Effect of the Boundary Layer on Sorption of Diffusants by Solids of Various Geometrical Shape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42, Issue 6, pp. 1519-1523, Mar. 1991. DOI: https://doi.org/10.1002/app.1991.070420605 

  15. K. H. Park, M. Casetta, V. Koncar, " Diffusion of disperse dyes into microfibres and conventional polyester fibres", Coloration Technology, Vol. 118, Issue 6, pp. 319-324, Nov. 2002. DOI: https://doi.org/10.1111/j.1478-4408.2002.tb00117.x 

  16. K. H. Park, V. Koncar, "Diffusion of disperse dyes into super-microfibers", Coloration Technolology, Vol. 119, Issue 5, pp. 275-279, Jun. 2003. DOI: https://doi.org/10.1111/j.1478-4408.2003.tb00183.x 

  17. S.W. Nam, S.B. Young, D.S. Lee, Dye Chemistry, pp. 308-309, Boseong, 2000. 

  18. K. L. Georgiadou, E. G. Tsatsaroni, I. C. Eleftheriadis, A. H. Kehayoglou, "Disperse Dyeing of Polyester Fibers: Kinetic and Equilibrium Study", Journal Applied Polymer Science, Vol 85, Issue 1, pp. 123-128, Apr. 2002. DOI: https://doi.org/10.1002/app.10664 

  19. H. Lee, H. T. Cho, "Dyeing Behaviors of a Disperse Dye on Ultra-micro PET Fibers",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47, No. 2, pp. 77-84, Apr. 2010 

  20. H. J. White, Jr,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Dyeing of Cellulose Acetate with Disperse Dyes", Textile Research Journal, Vol 3, Issue 5, pp. 329-338, May 1960. DOI: https://doi.org/10.1177/004051756003000501 

  21. J. S. Ward, "Colour Terms and Definitions", Journal of the Society of Dyes and Colourists, Vol. 89, Issue 11, pp. 411-422, Nov. 1973. DOI: https://doi.org/10.1111/j.1478-4408.1973.tb03113.x 

  22. I. D. Breuer, M. M. Rattee, "The physical chemistry of dye adsorption", Academin press London and New York, pp. 42-44, 1974. 

  23. T. Vickerstaff, The physical chemistry of dyeing 2nd Ed., PP. 102-121, Oliver and Boyd London, 1954. 

  24. S. H. Yoon, T. K. Kim, Y. J. Lim K. M. Cho, "The Interpretation of Dyeing Behavior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Fiber with a Disperse Dy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ol. 13, No. 4, 249-255, Aug. 2001. 

  25. S. Dhouib, A. Lallam, F. Sakli, "Study of Dyeing Behavior of Polyester Fibers with Disperse Dyes", Textile Research Journal, Vol. 76, Issue 4, pp. 271-280, Apr. 2006. DOI: https://doi.org/10.1177/0040517506061243 

  26. D. Patterson, R. P. Sheldon, "The Dyeing of Polyester fibers with Disperse Dyes", Transactions Faraday Society, Vol. 55, pp. 1254-1264, Jan. 1959. DOI: https://doi.org/10.1039/TF9595501254 

  27. R. Mcgregor, J. N. Etters., "Transitional Kinetics in Disperse Dyeing", Textile Chemist and Colorist, Vol. 11, Issue 9, pp. 59-63, Sep. 1979 

  28. J. H. Dumbleton, J. P. Bell, T. Murayama, "The effect of structural changes on dye diffusion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12, Issue 11, pp. 2491-2508, Nov. 1968. DOI: https://doi.org/10.1002/app.1968.070121109 

  29. H. D. Weigmann, M. G. Scott, A. S. Ribnick, R. D. Matkowsky, "Interactions of Nonaqueous Solvents with Textile Fibers: Part VIII: Mechanism of Dye Diffusion in Solvent-Treated Polyester Yarns", Textile Research Journal, Vol. 47, Issue 11, pp. 745-754, Nov. 1977. DOI: https://doi.org/10.1177/004051757704701107 

  30. J. Gegarra, P. Puente, "Influence of the Specific Surface of Polyester Fiber on the Kinetics of Dyeing with Disperse Dyes", Textile Research Journal, Vol. 36, Issue 2, pp. 134-142, Feb. 1966. DOI: https://doi.org/10.1177/0040517566036002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