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국화과: 등골나물족)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note of Ageratina altissima and Eupatorium rugosum (Asteraceae: Eupatori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9 no.3, 2019년, pp.261 - 264  

OH, Sang-Hun (대전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과 국명(서양등골나물 및 미국등골나물)이 혼용되고 있어 분류학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 내력을 밝혀 분류학적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은 동일한 분류군으로서 린네가 Species Plantarum에 Ageratum altissimum으로 처음 기재한 종이다. 이 종은 Eupatorium속으로 전이되어 대체명이 공표되고 이후 Ageratina속으로 전이되었다. 즉, Eupatorium속에서는 전혀 다른 기준표본에 근거해 이미 존재하였던 E. altissimum L. 때문에 대체명으로 E. rugosum이 공표되었고, Ageratina속에서는 종소명 'altissima'를 사용하고 있던 종이 없었기 때문에 원명에 근거해 A. altissima의 학명이 공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표된 이름들이 국내에서는 서로 다른 분류군으로 인식되면서 분류학적 혼란이 야기된 것으로 사료된다. 형태 및 분자 형질을 분석한 연구 결과에 근거해 서양등골나물의 정명은 A. altissima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upatorium rugosum Houtt. is known to be an alien invasive species and is listed as an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in Korea. There is also an eastern North American species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 similarly dispersed in Korea.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taxonomic conf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미국등골나물과 서양등골나물의 분류학적 내력을 재고하여 서양등골나물과 미국등골나물이 동일한 분류군임을 설명하고 형태적 특징에 근거하여 국내에서 혼란이 있는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를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등골나물은 무엇인가?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서양등골나물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외래 침입종이다. 북아메리카 동부지역이 원산지인 이 외래 식물에 대해 각각 2개의 학명(Eupatorium rugosum Houtt., Ageratina altissima (L.
국화과 등골나물족으로 속하는 서양등골나물은 우리나라 어느지역에 분포 되어 있는가? )은 국화과 등골나물족(tribe Eupatorieae)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 다년생 초본으로 한반도에는 중부 지방에 귀화한 식물로 인식된다(Kim, 2007, 2019). 서양등골나물은 Lee and Yim (1978)에 의해 처음으로 귀화종으로 보고되었으며, 현재 남산, 관악산, 우면산 등의 서울 지역의 산지 등산로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인천, 의정부, 성남, 수원을 포함한 경기도 일대에 퍼져 있다. 서양등골나물은 다양한 토양 환경 및 광 조건에서 생육하면서 높은 번식력을 지녀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있다(http://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lewell, A. F. and J. W. Wooten. 1971. A revision of Ageratina (Compositae: Eupatorieae) from eastern North America. Brittonia 23: 123-143. 

  2. Gleason, H. A. and A. Cronquist. 1991. Manual of Vascular Plants of Northeastern United States and Adjacent Canada.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New York, NY, 993 pp. 

  3. Houttuyn, M. 1779. Natuurlijke Historie, 2nd part, 10th fascicle. de Erven van F. Houttuyn, Amsterdam, 828 pp. 

  4.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00. IUCN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Biodiversity Loss Caused by Alien Invasive Species.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SSC), ISSG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Gland, 24 pp. 

  5. Kim, H., Y. L, Jang, and P. S. Park. 2014. Distribution pattern of Ageratina altissima along trails at Mt. Umyeon in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 227-232. 

  6. Kim, K.-J. 2007. Eupatorieae Cass.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006-1009. 

  7. Kim, K.-J. 2019. Eupatorieae Cass.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336-1341. (in Korean) 

  8. King, R. M. and H. Robinson. 1970. Studies in the Eupatorieae (Compositae). XIX. New combinations in Ageratina. Phytologia 19: 208-229. 

  9. King, R. M. and H. Robinson. 1987. The genera of the Eupatorieae (Asteraceae). Monographs in Systematic Botany 22: 1-581. 

  10. King, R. M., D. W. Kyhos, A. M. Powell, P. H. Raven and H. Robinson. 1976. Chromosome numbers in Composite. XIII. Eupatorieae.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63: 862-888. 

  11.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2. Hyangmunsa, Seoul, 910 pp. (in Korean) 

  12.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2. Kyohaksa, Seoul, 883 pp. (in Korean) 

  13. Lee, W.-T. and Y. 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Appendix): 1-33. (in Korean) 

  14.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Vol. 2. Laurentius Salvius, Stockholm, 1200 pp. 

  15. Linnaeus, C. 1774. Systema Vegetabilium, 13th ed. Murray, J. A. (ed.), Typis et impensis Jo. Christ. Dieterich, Gottingen. 

  16. Linnaeus, C. f. 1781. Supplementum Plantarum. Impensis Orphanotrophei, Brunsvigae, 467 pp. 

  17. Nesom, G. L. 2006. Ageratina. In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Vol. 21.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and Oxford. Pp. 547-552. 

  18.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 pp. (in Korean) 

  19. Reichard, J. J. 1780. Systema Plantarum. Vol. 3. Frankfurt, 972 pp. 

  20. Schilling, E. E., J. L. Panero and P. B. Cox. 1999. Chloroplast DNA restriction site data support a narrowed interpretation of Eupatorium (Asteraceae).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19: 209-223. 

  21. Schmidt, G. J. and E. E. Schilling. 2000.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Eupatorium (Asteraceae: Eupatorieae) based on nuclear ITS sequence data. American Journal of Botany 87: 716-726.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