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에 의한 중학교 기술교사의 메이커 교육 관심도 분석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Maker Education By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4 no.2, 2019년, pp.104 - 122  

강상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진수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메이커 교육은 학생 주도적 교육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술교과에서도 메이커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중학교 기술교사가 메이커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어떠한지 파악하는 일은 메이커 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에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관심기반수용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중학교 기술교사 400명을 지역별로 유층표집 하였다. 이후 관심도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여 원점수를 측정한 뒤 상대적 강도로 환산하여 관심도 프로파일로 나타내 전반적인 관심도를 구하였다.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하위변수가 2개인 성별, 연수경험유무는 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하위변수가 3개 이상인 근무도시, 교직경력은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기술교사의 메이커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 프로파일은 비사용자의 프로파일 유형과 가장 유사하였다. 성별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는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메이커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았다. 근무지역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는 읍면지역에 근무하는 교사가 대도시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메이커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교직경력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는 저경력 및 고경력의 교사보다 중간경력의 교사들이 메이커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또한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메이커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따라서 중학교 기술교사에게 메이커 교육에 대한 소개 및 다양한 정보, 교수·학습 및 평가 자료를 제공하여 전반적인 관심도를 높이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활용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해 관심도와 실행수준, 실행형태를 모두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메이커교육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ker education is drawing attention as a method of student-led education. At a time when interest in maker education is also growing in technology education, figuring out what stage of concern(SoC) a middle school technology teacher is critical to e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Hall & Hord(2005)는 관심도의 파악이 교사가 학교의 혁신과 변화를 내면화 하도록 도와주며, 변화를 촉진하는 활동을 설계하고 실행하는데 시사점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교육과정 실행에서 교사의 관심정도가 중요하다는 연구를 통해 관심기반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관심기반수용모형은 교사의 실행과 관련된 세 가지 요소인 관심도, 실행수준, 실행형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변화지원자의 유형, 변화지원책, 기관 내·외부의 문화와 환경 등을 계획하고 변화시켜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 목적인 모형이다.
  • 관심기반수용모형은 교사의 실행과 관련된 세 가지 요소인 관심도, 실행수준, 실행형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변화지원자의 유형, 변화지원책, 기관 내·외부의 문화와 환경 등을 계획하고 변화시켜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 목적인 모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심기반수용모형을 이용하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중학교 기술교사들의 관심도를 분석하여 적절한 지원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관심기반 수용모형을 개발한 연구자들은 심층면접 또는 관찰법을 통해 실행수준과 실행형태의 측정할 수 있고, 자기보고식 질문은 실행수준과 실행형태를 제대로 측정할 수 없으므로 지양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Hall & Hord, 2005). 이러한 주장에 의해 실행수준과 실행형태의 측정은 다수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기엔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수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관심도만 측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중학교 기술교사들의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의 교사 교육 연구소(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에서 개발된‘관심도 측정 질문지(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Hall, George, & Rutherford, 1977)’를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이커 교육은 무엇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메이커 교육이 학생 주도적 교육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Blikstein, 2013; Bullock & Sator, 2015). 김진옥(2018)은 메이커 교육을 실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험 활동 중심의 문제 기반, 프로젝트 기반의 통합적 교육 접근법이라 하였다. 국내에서도 메이커 교육을 주목하고 있으며, 시·도 교육청에서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와 맞물려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육방침과 세부계획을 통해 공교육에 메이커 교육을 도입하려하고 있다.
관심기반수용모형에서 측정하는 교사의 실행과 관련된 세 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교육과정 실행에서 교사의 관심정도가 중요하다는 연구를 통해 관심기반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관심기반수용모형은 교사의 실행과 관련된 세 가지 요소인 관심도, 실행수준, 실행형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변화지원자의 유형, 변화지원책, 기관 내·외부의 문화와 환경 등을 계획하고 변화시켜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 목적인 모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심기반수용모형을 이용하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중학교 기술교사들의 관심도를 분석하여 적절한 지원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관심기반수용모형을 이용하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중학교 기술교사들의 관심도를 분석하여 적절한 지원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관심도 질문지를 이용해 원점수와 상대적 강도를 구한 뒤 관심도 프로파일을 작성하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중학교 기술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도를 분석한다. 둘째, 관심도 질문지를 이용해 메이커 교육에 대한 중학교 기술교사들의 개인배경변인(성별, 근무지역, 교직경력,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관심도를 분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인애, 김명기(2017). 메이커 활동(Maker Activity)의 초등학교 수업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487-515. 

  2. 김경자(2003).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자로서의 초등교사, 교육과학연구, 34(1), 144-161. 

  3. 김성인 외(2019). 아두이노를 활용한 디자인씽킹 기반의 중학생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4(1), 162-189. 

  4. 김진옥(2018). 메이커 기반 STEAM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5. 김혜나(2011). CBAM의 실행 측정 도구의 발전과정과 쟁점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6. 권낙원, 추광재, 박승렬(2006). 교육과정 실행 수준 결정 요인 탐색. 교육과정연구, 24(3), 87-106. 

  7. 류청산(2000). SPSS와 교육연구. 서울: 형설출판사. 

  8. 박승렬(2009). 교육과정 실행연구에서의 교사변인 논의의 가능성과 한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1), 223-240. 

  9. 이경진, 김경자(2005).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교과교육학연구, 13(4), 820-850. 

  10. 한국교육개발원(2018). 교육통계분석자료집-유초중등교육통계편. 충북: 진천. 

  11. Blikstein, P. (2013). Digital fabrication and making in educa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In J. Walter-Herrmann, & C. Buching (Eds.),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Bieledfeld: Transcript Publishers. 

  12. Bullock, S., & Sator, A. (2015). Maker pedagogy and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he Canadian Association for Curriculum Studies, 13(1), 61-87. 

  13. Fuller, F. F. (1970). Personalized education for teachers: An introduction for teacher educators.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14. George, A. A., Hall, G. E., & Stiegelbauer, S. M. (2006). Measuring Implementation in School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Austin, TX: SEDL. 

  15. Hall, G. E., George, A. A., & Rutherford, W. L. (1977).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the use of the SoC Questionnaire.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6. Hall, G. E., & Hord, S. M. (2005).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2nd ed). Boston: Pearson. 양성관 외(역)(2011). 학교변화와 혁신: 패턴, 원리, 당면과제. 서울: 학지사. 

  17. Hord, S. M. et al. (1987). Taking charge of change. Alexandria, VA: Association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김경자(역)(1993). 교육과정 혁신. 서울: 교육과학사. 

  18.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