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의 공평성이 주관적 건강행복에 미치는 영향: 공공의료서비스 질의 매개효과
Effects of Public Health Service Impartiality on Subjective Health Happiness: Mediated Effect of Public Health Service Quality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9 no.3, 2019년, pp.323 - 331  

문승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mpartiality in providing public health services on subjective health happiness and the mediated effects of public health service quality. Based on thi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public health serv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공의료서비스는 국민들에게 차별 없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양질의 공공의료서비스를 차별 없이 동등하게 제공받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개인의 주관적 건강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공공서비스 제공의 공평성은 ‘국민이라면 누구나 공공의료서비스를 받는데 차별 없이 동등하게 대우받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의료서비스가 차별 없이 동등하게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단일문항으로 구성되며, “우리 지역의 모든 시민들은 공공의료서비스를 받는데 있어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
  • 공공의료서비스의 무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객관적인 질의 측정이 어려워, 서비스를 경험자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1년 이내에 공공의료서비스를 경험한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의료서비스의 질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귀하가 거주하시는 지역의 공공의료서비스의 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의 공평성과 공공의료서비스 질, 그리고 주관적 건강행복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의 공평성과 공공의료서비스의 질, 주관적 건강행복의 현황을 살펴본다.
  • 공공의료서비스는 국민에게 차별 없이 공평하게 제공되어야 하고 양질의 공공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증진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게 공공의료서비스의 직접적인 수혜대상인 국민의 인식에 주목하여 국민이 체감하는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의 공평성과 공공의료서비스의 질, 그리고 주관적 건강행복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정부의 공공의료서비스 제공 방향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  그러나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국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국가 노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민들이 체감하는 공공의료서비스의 인식을 분석하는 기초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22].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시론적으로 우리나라 공공의료서비스의 공평성과 공공의료서비스의 질 그리고 주관적 건강행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현재 공공의료서비스의 공평성과 서비스의 질, 그리고 주관적인 건강행복 간에 인과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며, 본 연구는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시론적 연구이다. 그러나 정부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 실현에 있으며[32],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은 높은 수준의 공공서비스를 경험함으로써 만족감을 느끼고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을 실현할 수 있다[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주지역에 따라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의 공평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 차이를 보였는가? 첫째, 공공의료서비스 제공의 공평성에 대한 인식은 거주하고 있는 지역 간에 차이를 보였다.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응답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응답자에 비해 공공의료서비스를 동등하게 제공받지 못한다고 인식했다.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응답자가 공공의료서비스를 동등하게 제공받지 못한다고 인식하는 이유는 지역의 의료자원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선행 연구에서 공공의료서비스의 질을 무엇으로 구분하였는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공공의료서비스의 질의 개념적 정의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Kim과 Park [16]은 마케팅 믹스의 요소인 7Ps의 관점을 원용하였으며, 공공의료서비스의 질을 의료심리성, 의료반응성, 고객이해성, 의료신뢰성, 의료접근성, 의료유형성으로 구분하였다. Kim과 Lee [17]는 Parasuraman 등[18]의SERVQUAL 모델에 입각하여 공공 및 민간의료기관의 보건의료서비스 질을 감정이입, 유형성, 대응성, 보증성, 그리고 신뢰성으로 구분하였다.
공평성이란 무엇인가? 공평성은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고르고 바른 상태’를 의미한다. 의료는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이며, 국가에서 제공하는 공공의료서비스는 규범적 차원의 공공재 또는 준공공재이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ublic Health and Medical Services Act, Act No. 15440 (Mar 13, 2018). 

  2. Lee KS. Definition of public health care and it's policy directions. Public Health Aff 2017;1(1):79-97. DOI: https://doi.org/10.29339/pha.1.1.79. 

  3. Karsten SG. Health care: private good vs. public good. Am J Econ Sociol 1995;54(2):129-144. DOI: https://doi.org/10.1111/j.1536-7150.1995.tb02684.x. 

  4. Wolf Jr C. A theory of nonmarket failure: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analysis. J Law Econ 1979;22(1):107-139. DOI: https://doi.org/10.1086/466935. 

  5. Im TB. A critical review of New Public Management reforms in Korea. Korean Public Adm Q 2003;15(1):1-24. 

  6. Lee SS. An assessment of the local public services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public hospitals. Korean Public Adm Rev 2000;34(3):243-262. 

  7. Yoo G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public health services using the nonoriented slack-based model of efficiency: with an application to the twenty-five districts of Seoul Metropolitan City. Korean J Public Adm 2008;17(3):91-126. 

  8. Kim SE, Choi SM. A comparative study of performance between public medical organizations and private medical centers. Korean Soc Public Adm 2014;24(4):29-52. 

  9. Yang JH, Myoung SM, Chang DM. A panel data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ness and profitability of public hospitals: focused Medicaid patients. Health Soc Welf Rev 2014;34(4):418-440.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4.34.4.418. 

  10. Lee HJ, Lee DW, Jeong JY.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Health Policy Manag 2019;29(1):27-39.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9.29.1.27.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the realization of an inclusive nation without the regional gap in essential fees: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car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12. Cho HJ. Equity in health care: current situation in South Korea. J Korean Med Assoc 2013;56(3):184-194. DOI: https://doi.org/10.5124/jkma.2013.56.3.184. 

  13. Kim JY. A study on improvement of interregional disparity in national health service. Sejong: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2013. 

  14. Lee HG, Lee MA. Do public services make people happy?: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erformance and happiness. Korean Public Adm Rev 2014;48(2):293-315. 

  15. Kim BS, Choi SJ, Choi EM. Happiness and government’s role: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between public services and happiness. Korean Public Adm Rev 2015;49(4):97-122. 

  16. Kim DW, Park CM. Analysis of quality component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public health services. J Local Gov Stud 2002;14(4):207-228. 

  17. Kim GJ, Lee SC. A study on factors determining service quality of health care: based on comparison public sector with private sector. Korean Balanced Dev Stud 2014;5(1):57-78. 

  18.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 Mark 1985;49(4):41-50. DOI: https://doi.org/10.2307/1251430. 

  19. Sofaer S, Firminger K. Patient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health services. Annu Rev Public Health 2005;26:513-559. DOI: https://doi.org/10.1146/annurev.publhealth.25.050503.153958. 

  20. Kim J. The impact of health care coverage on changes in self-rated health: comparison between the near poor and the upper middle class. Health Policy Manag 2016;26(4):390-398.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6.26.4.390. 

  21. Choi YH. Is subjective health reliable as a proxy variable for true health?: a comparison of self-rated health and self-assessed change in health among middle-aged and older South Koreans. Health Soc Welf Rev 2016;36(4):431-459.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6.36.4.431. 

  22. Chang I, Kim HS. Regional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and wellbeing: spatial analysis for the case of Seoul. Health Soc Welf Rev 2016;36(3):85-118.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6.36.3.85. 

  23.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Pers Soc Psychol 1986;51(6):1173-1182.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4. Aroian LA. The probability function of the product of two normally distributed variables. Ann Math Stat 1947;18(2):265-271. DOI: https://doi.org/10.1214/aoms/1177730442. 

  25. Sobel M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 Methodol 1982;13:290-312. DOI: https://doi.org/10.2307/270723. 

  26. MacKinnon DP, Dwyer JH. Estimating mediated effects in prevention studies. Eval Rev 1993;17(2):144-158. DOI: https://doi.org/10.1177/0193841x9301700202. 

  27. Preacher KJ, Hayes AF.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 Res Methods 2008;40(3):879-891. DOI: https://doi.org/10.3758/brm.40.3.879. 

  28. Charron N, Dijkstra L, Lapuente V. Regional governance matters: Quality of government within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Reg Stud 2014;48(1):68-90. DOI: https://doi.org/10.1080/00343404.2013.770141. 

  29. Charron N, Dijkstra L, Lapuente V. Mapping the regional divide in Europe: a measure for assessing quality of government in 206 European regions. Soc Indic Res 2015;122(2):315-346. DOI: https://doi.org/10.1007/s11205-014-0702-y. 

  30. Park YY, Choi SY, Lee KS. Differences of outpatient service uses by marital status. Korean Public Health Res 2018;44(1):1-16. 

  31. Shin SC, Kim MC. The effect of occupation and employment status upon perceived health in South Korea. Health Soc Sci 2007;22:205-224. 

  32. Duncan G. Happiness, sadness and government. Health Cult Soc 2013;5(1):51-66. DOI: https://doi.org/10.5195/hcs.2013.13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