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딥러닝 기반 교량 손상추정을 위한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를 이용한 가속도 데이터 생성 모델
Generative Model of Acceleration Data for Deep Learning-based Damage Detection for Bridges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9 no.1, 2019년, pp.42 - 51  

이강혁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신도형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intenance of aging structures has attracted societal attention. Maintenance of the aging structure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ith a digital twin. In order to maintain the structure based on the digital twin, it is required to accurately detect the damage of the structure. Meanwhile, deep learn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GAN의 장점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속도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GAN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GAN을 이용해 생성된 데이터는 GAN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었던 가속도 데이터와 비교 분석되었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생성된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 손상추정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 샘플링된 각각의 가속도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선 먼저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작 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장점에 기반을 두어, 구조물에서 얻을 수 있는 손상 후 데이터가 소량만 있어도 이를 이용하여 GAN을 학습한 뒤 실제와 유사한 다량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면 손상추정을 위한 딥러닝 모델의 학습에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량의 가속도 데이터만으로도 실제 가속도의 데이터와 유사한 성질을 가진 다량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GAN 기반의 생성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생성모델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가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패턴을 지니고 있는지를 비교하여 제시된 생성모델을 검증하였다.
  •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습된 GAN 모델의 생성자(Generator)를 이용하여 실제와 비슷한 가속도를 생성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GAN이 생성한 가속도 데이터와 실제 가속도가 가지고 있는 신호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수행하여 GAN이 생성한 가속도가 학습에 사용된 가속도와 비슷한 분포를 지니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판별자의 입장에서는 실제 데이터가 입력 값으로 들어왔을 때, 가장 높은 가치를 보이는 것이므로 1에 가깝게 최대화 되도록 판별자가 학습되게 된다. 반대로 생성자의 입장에서는 실제 데이터와 가장 가까운 데이터를 만들어 낸 뒤 판별자가 실제 데이터라고 착각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약 만들어낸 데이터에 대해 판별자가 실제 데이터라고 판정한다면, 판별자는 큰 오류를 범하게 되므로 가치함수는 생성자를 최소화하여 0에 수렴하도록 한다.
  • 또한 이를 학습하기 위한 하이퍼 파라미터(hyperparamter)들을 정의한 뒤 정의된 하이퍼파라미터을 활용하여 판별자와 생성자 순으로 학습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1 epoch 당 생성된 데이터의 수만큼 판별자와 생성자를 학습하고자 하였다. epoch는 모든 트레이닝 데이터가 한번 학습되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차량이 지나가는 것 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속도를 생성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ure 3 에서 보이는 화살표를 따라 움직이는 점하중을 모사하여 가속도 생성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도록 계획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환경에서 취득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교량의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해내기 위한 방법론으로 GAN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 장에서는 가속도 데이터 생성을 위한 GAN의 구조와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한 GAN의 학습 방식에 대해 서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환경에서 취득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교량의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해내기 위한 방법론으로 GAN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 장에서는 가속도 데이터 생성을 위한 GAN의 구조와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한 GAN의 학습 방식에 대해 서술하였다.
  •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OLIT(2018)의 “2018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조서”를 참고하여 국내 일반국도에 설치된 교량형식 중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고 있는 PSC-I교를 모델링하고자 하였다.
  • 앞서 생성된 PSC-I 모델을 기반을 두어, 본 연구에서는 실제와 비슷하게, 다중 차량 하중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GAN 학습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가속도 데이터 생성을 위해서는 수많은 시뮬레이션을 진행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각각의 시뮬레이션은 개별 구조해석을 의미하므로 수많은 시간이 든다는 한계가 있다.
  • 하지만,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GAN을 이용하게 되면 SHM 시스템에서 얻어낸 가속도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와 유사한 데이터를 충분히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GAN의 장점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속도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GAN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GAN을 이용해 생성된 데이터는 GAN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었던 가속도 데이터와 비교 분석되었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생성된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 손상추정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 한편 이러한 딥러닝 기반 손상추정기법의 개발을 위해서는 손상 전, 후의 수많은 데이터를 통한 학습이 필요하나, 실제 현장에서는 손상 전의 데이터양이 손상 후의 데이터양보다 많아 데이터양의 불균형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손상추정에 주로 사용되는 가속도 데이터를 학습하여 이와 비슷한 데이터를 생성해낼 수 있는 GAN 기반 생성모델을 제시하였다.
  • 또한 교량의 길이 또한 60m 이하의 중소형 교량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30m 길이의 PSC-I 교량을 MIDAS CIVIL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모델링하고자 하였다. 모델링된 교량은 figure 3와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0-100 epoch 학습이 진행된 GAN 모델의 생성자가 생성하는 가속도 데이터들을 figure 6b와 같이 나타내었다. 이후, GAN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가 실제 구조해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와 유사한 양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림 6a에서 볼 수 있듯이 구조해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가속도 데이터의 FFT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 이러한 학습은 생성자가 만든 가짜 데이터가 판별자의 입력 데이터로 활용될 때, 판별자의 출력값이 1이 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다. 즉, 생성자의 목적은 생성된 가짜데이터가 실제 데이터와 최대한 비슷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때, 생성자의 입력 값으로는 일반적으로는 랜덤하게 추출된 난수들로 구성된 벡터들로 구성하게 된다.
  • 즉 GMM 보다 딥러닝 기반 방법론이 음성 신호의 패턴을 더 잘 분석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음성 신호의 경우 구조물의 가속도 데이터가 가진 패턴과 유사한 경향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주목하여 딥러닝 기반 생성모델을 가속도 생성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조물의 손상을 디지털 트윈에 정확히 반영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디지털 트윈을 노후화 구조물의 유지관리에 효과적으 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손상이 디지털 트윈에 정확히 반 영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구조물의 손상을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구조물의 정확한 손상 추 정을 위해서는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기법(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Oh et al., 2017).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기법이란 무엇인가?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기법이란 구조물에 가속도계, 변위 계, 변형률계 등의 여러 센서를 설치한 뒤, 실시간으로 구조물 의 거동 이상여부를 파악하고, 이러한 거동 데이터들을 종합적 으로 분석하여 구조물의 손상 여부 및 건전도를 파악하는 기법 을 말한다.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한 구조물 손 상 추정은 웨이블릿(Wavelet) 분석과 같은 신호처리기법을 이용 하는 방법(Hou et al.
딥러닝 기반의 생성 모델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한계에 대해, 딥러닝 기반의 생성모델(Deep Generate Model)을 이용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딥러닝 기반의 생성 모델은 GMM과 달리 데이터만을 통해 학습할 수 있고, 딥러닝 을 이용하기 때문에 복잡한 패턴의 분석과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는 딥러닝 기반의 생성모델 로,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은 다양한 데이터 의 학습 및 모사에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deljaber, O., Avci, O., Kiranyaz, S., Gabbouj, M., Inman, D. J. (2017). Real-time vibration-based structural damage detection using on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388, pp. 154-170. 

  2. Banerjee, S., Qing, X. P., Beard, S., Chang, F. K. (2010). Prediction of progressive damage state at the hot spots using statistical estimation. Journal of Intelligent Material Systems and Structures, 21(6), pp. 595-605. 

  3. Bruno, B., Mastrogiovanni, F., Sgorbissa, A., Vernazza, T., Zaccaria, R. (2013). Analysis of human behavior recognition algorithms based on acceleration data. In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1602-1607. 

  4. Deng, L., Hinton, G., Kingsbury, B. (2013). New types of deep neural network learning for speech recognition and related applications: An overview. In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pp. 8599-8603. 

  5. Glowacz, A., Glowacz, W., Glowacz, Z., Kozik, J. (2018). Early fault diagnosis of bearing and stator faults of the single-phase induction motor using acoustic signals. Measurement, 113, pp. 1-9. 

  6. Goodfellow, I., Pouget-Abadie, J., Mirza, M., Xu, B., Warde-Farley, D., Ozair, S., Bengio, Y. (2014). Generative adversarial nets.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pp. 2672-2680. 

  7. Hakim, S. J. S., Razak, H. A., Ravanfar, S. A. (2015). Fault diagnosis on beam-like structures from modal parameter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Measurement, 76, pp. 45-61. 

  8. Hou, Z., Noori, M., Amand, R. S. (2000). Wavelet-based approach for structural damage detection.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126(7), pp. 677-683. 

  9. Kullaa, J. (2014).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under nonlinear environmental or operational influences. Shock and Vibration. 2014, pp. 1-9. 

  10. Lee, Y. (2015). A Study of Improvement and Longevity of the Aging Urban Infrastructur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3(11), pp. 10-19. 

  11. Lee, K., Park, J., Jung, M., Shin, D. (2018) Methodology for the damage detection of aging bridges based on multi-data and deep learning. Proceedings of the 7th world conference on structural control and monitoring (7WCSCM), pp. 1725-1731. 

  12. Lin, Y. Z., Nie, Z. H., Ma, H. W. (2017). Structural damage detection with automatic feature extraction through deep learning. Computer Aided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32(12), pp. 1025-1046. 

  13. Mao, X., Li, Q., Xie, H., Lau, R. Y., Wang, Z., Paul Smolley, S. (2017). Least square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In Proceedings of th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pp. 2794-2802. 

  14. Mayorga, P., Druzgalski, C., Morelos, R. L., Gonzalez, O. H., Vidales, J. (2010). Acoustics based assessment of respiratory diseases using GMM classification. In 2010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pp. 6312-6316. 

  15. Mehrjoo, M., Khaji, N., Moharrami, H., Bahreininejad, A. (2008). Damage detection of truss bridge joint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5(3), pp. 1122-1131. 

  16.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Yearbook of Road Bridge and Tunnel Statistics. 

  17. Nair, K. K., Kiremidjian, A. S. (2007). Time series based structural damage detection algorithm using Gaussian mixtures modeling. Journal of dynamic systems, measurement, and control, 129(3), pp. 285-293. 

  18. Noh, H. Y., Krishnan Nair, K., Lignos, D. G., Kiremidjian, A. S. (2011). Use of wavelet-based damage-sensitive features for structural damage diagnosis using strong motion data.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37(10), pp. 1215-1228. 

  19. Oh, B. K., Kim, D., Park, H. S. (2017). Modal Response Based Visual System Identification and Model Updating Methods for Building Structures. Computer Aided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32(1), pp. 34-56. 

  20. Padil, K. H., Bakhary, N., Hao, H. (2017). The use of a non-probabilistic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consider uncertainties in vibration-based-damage detection. Mechanical Systems and Signal Processing, 83, pp.194-209. 

  21. Park, J. H., Kim, J. T., Hong, D. S., Ho, D. D., Yi, J. H. (2009). Sequential damage detection approaches for beams using time-modal feature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323(1-2), pp. 451-474. 

  22. Park, K. Y., Kim, H. S. (2000). Narrowband to wideband conversion of speech using GMM based transformation. In 200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Proceedings, 3, pp. 1843-1846. 

  23. Pascual, S., Bonafonte, A., Serr, J. (2017). SEGAN: Speech enhancement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arXiv preprint arXiv:1703.09452. 

  24. Pnevmatikos, N. G., Hatzigeorgiou, G. D. (2017). Damage detection of framed structures subjected to earthquake excitation using discrete wavelet analysis. Bulletin of Earthquake Engineering, 15(1), pp. 227-248. 

  25. Radford, A., Metz, L., Chintala, S. (2015). Unsupervised representation learning with deep convolu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arXiv preprint arXiv:1511.06434. 

  26. Soman, R., Kyriakides, M., Onoufriou, T., Ostachowicz, W. (2018). Numerical evaluation of multi-metric data fusion base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long span bridge structures. Structure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14(6), pp. 673-684. 

  27. Wakita, T., Ozawa, K., Miyajima, C., Igarashi, K., Itou, K., Takeda, K., Itakura, F. (2006). Driver identification using driving behavior signals.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89(3), pp. 1188-1194. 

  28. Yang, L. C., Chou, S. Y., Yang, Y. H. (2017). MidiNet: A convolu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for symbolic-domain music generation. arXiv preprint arXiv:1703.108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