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장치용 슈퍼커패시터 이온 도핑 제어를 통한 에너지 밀도 향상 연구
Improvement of Energy Density in Supercapacitor by Ion Doping Control for Energy Storage System 원문보기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5 no.3, 2019년, pp.209 - 213  

박병준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유선미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양성은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한상철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노태무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이영희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한영희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전력 계통에 사용되는 주파수 조정용(F/R)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장수명의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슈퍼커패시터는 장수명과 급속 충방전 특성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F/R 적용을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로 적합하게 여겨지고 있다. 슈퍼커패시터는 단주기 F/R 영역의 보완 운전을 담당하고 전력계통에 설치된 ESS의 장주기 운영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기존 용량을 담당하는 리튬 배터리의 설치 규모와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낮은 에너지 밀도는 전력 계통과 같은 큰 시스템에서 적용에 한계가 있으며 여전히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는 높은 에너지 밀도 요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리튬이온 커패시터(Lithium ion capacitor; LIC) 구조가 3.8 V 이상의 전압 구간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구조보다 고에너지 밀도 구현을 위한 구조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상용화를 위해서는 여러가지 전기화학적 성능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IC의 에너지 밀도와 관계되는 용량을 증대하기 위하여 새로운 전극사전-도핑 방법을 설계하였다. 양극 활물질은 0.1% 이하의 상대습도 분위기 드라이룸에서 기계적 강도와 음극 도핑을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도록 $100{\mu}m$의 두께로 제작되었다. 또한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조된 전극은 상온에서 $65^{\circ}C$까지 열 압축공정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LIC 구조에 대한 다양한 사전-도핑법을 설계하고 그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용량과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된 새로운 LIC 사전-도핑 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demand for high energy density and long cycling stability of energy storage system has increased for application using with frequency regulation (F/R) in power grid. Supercapacitor have long lifetime and high charge and discharge rate, it is very adaptable to apply a frequency regulation 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양극의 전극 용량에 따라서 전체적인 커패시터의 용량(Capacitance)이 정해지는 고유의 LIC 거동에 따라 슈퍼커패시터의 최대 비표면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양극 활물질에 다공질의 그래핀 기반 나노 구조체를 적용하고 향상된 물성 및 성능을 가지는 전극 소자를 제작하였다. 구현된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을 실시하여 비대칭형 리튬이온 커패시터(LIC)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리튬산화물 사전-도핑법 개발을 통해 리튬 이온 도핑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에너지 밀도와 직접 관계되는 용량을 증대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리튬이온 커패시터의 도핑 시나리오에 따른 전극 및 분리막을 설계하였고 이에 대한 미세구조, 용량 및 임피던스, 수명안정성 비교 분석을 통하여 성능 기여에 주요 한 인자를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리튬이온 커패시터에서의 용량 구현은 리튬의 삽입 및 탈리 반응을 위한 리튬 사전-도핑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이는 LIC 성능에 직결되는 주요한 공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LIC 용량구현에 있어 Li 도핑 방식에 따라 Capacitance 성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able 1과 같이 다양한 도핑 구조를 설계하였다. 초기 Li 도핑 소스를 주입하고자 [A] 전해액을 이용하여 Li을 음극에 사전-도핑하는 방식, [B] 양극에 Li 산화물을 코팅하는 방식, [C] 분리막에 Li 산화물을 코팅하는 방식, [D] Li 산화물을 양극 활물질 소재와 혼합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극의 전극 용량에 따라서 전체적인 커패시터의 용량(Capacitance)이 정해지는 고유의 LIC 거동에 따라 슈퍼커패시터의 최대 비표면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양극 활물질에 다공질의 그래핀 기반 나노 구조체를 적용하고 향상된 물성 및 성능을 가지는 전극 소자를 제작하였다. 구현된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을 실시하여 비대칭형 리튬이온 커패시터(LIC)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리튬산화물 사전-도핑법 개발을 통해 리튬 이온 도핑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에너지 밀도와 직접 관계되는 용량을 증대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대칭형 커패시터 중 하나인 리튬이온 커패시터의 현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8 V까지 높은 전압을 구현할 수 있고고속 충방전이 가능하고 장수명을 유지할 수 있어 최근 획기적으로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3]. 하지만 초기 성능을 결정하는 이온 도핑 공정이 불안정하여 용량 및 그 외 전기화학적 성능구현에 큰 제약요소가 되었다 [4][5].
본 연구에서 비대칭형 리튬이온커패시터(LIC)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고안한 것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양극의 전극 용량에 따라서 전체적인 커패시터의 용량(Capacitance)이 정해지는 고유의 LIC 거동에따라 슈퍼커패시터의 최대 비표면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양극 활물질에 다공질의 그래핀 기반 나노 구조체를 적용하고향상된 물성 및 성능을 가지는 전극 소자를 제작하였다. 구현된 전극물질의 구조 분석을 실시하여 비대칭형 리튬이온커패시터(LIC)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리튬산화물사전-도핑법 개발을 통해 리튬 이온 도핑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에너지 밀도와 직접 관계되는 용량을 증대하기 위한종합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슈퍼커패시터는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그러나슈퍼커패시터의 낮은 에너지 밀도는 아직도 이러한 ESS 산업적 적용에 큰 제약 사항으로 남아있다. 슈퍼커패시터는크게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슈도 커패시터, 비대칭형 커패시터로 나눌 수 있으며 특히 비대칭형 커패시터 중 하나인 리튬이온 커패시터는 3.8 V까지 높은 전압을 구현할 수 있고고속 충방전이 가능하고 장수명을 유지할 수 있어 최근 획기적으로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Rui Esteves Araujo et al, "Combined Sizing and Energy Management in EVs with Batteries and Supercapacitors," IEEE Tran. on Vehicular Tech., Vol.63, No.7, pp.3062-3076, Sep., 2014. 

  2. Zaharaddeen S., et al., "A Brief Review on Electrode Materials for Supercapacitor," Int. J. Electrochem. Science, Vol.11, pp.10628-10643, Nov., 2016 

  3. Masatoshi Uno et al, "Accelerated Charge-Discharge Cycling Test and Cycle Life Prediction Model for Supercapacitors in Alternative Battery Applications," IEEE Tran. on Industrial Electron., Vol.59, No.12, pp.4704-4712, Dec., 2012. 

  4. Bing Li, et al, "Electrode Materials, Electrolytes, and Challenges in Nonaqueous Lithium-Ion Capacitors," Advanced Material, Vol.30, 2018. 

  5. Wenhua Zuo, et al, "Battery-Supercapacitor Hybrid Devices: Recent Progress," Advanced Science, Vol.4, 1600539,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