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 환자의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이 공황장애 증상 완화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deo-based movement therapy program on panic disorder symptom relief and brain wave o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453 - 459  

정진협 (한양대학교 생활스포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이 정서관련 변인(불안, 우울, 공황장애) 및 뇌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 결과 정서관련 변인은 운동군의 불안척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으며,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뇌파 변인은 운동군의 좌뇌 L-Beta 영역과 통제군의 좌뇌 H-Beta, 우뇌 L-Beta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고,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공황장애 환자의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이 정서관련 변인 및 뇌파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지만 정서관련 변인의 경우 모든 변인의 평균값이 프로그램 실시 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프로그램 수행 기간을 보다 장기간 적용한다면 또 다른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시하지 못한 동작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숙지 및 적응 시간을 충분히 갖은 후 본 프로그램이 수행된다면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deo - based movement therapy program on emotional variables (anxiety, depression, panic disorder) and EEG on panic disorder pati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12 - week video - based behavior therapy program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이 공황장애 환자들의 증상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두뇌의 특정영역이 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공황장애 환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뇌파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이 공황장애 환자들의 증상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두뇌의 특정영역이 공황장애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고 있는지 뇌파 변화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인지행동치료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지 못하는 공황장애 환자들과 약물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공황장애로부터 벗어 날 수 있는 더 효과적이고 접근성이 좋은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확대에 목표를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동작치료 프로그램은 Table 2와 같고, 미술, 음악, 드라마 등과 함께 하는 예술치료의 한 분야로 신체동작을 심리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개인의 정신과 감정, 신체를 통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다.
  • 본 연구에서 실시한 동영상 기반 동작치료 프로그램 수행이 공황장애 환자들의 정서관련 변인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보다 접근성이 좋고, 활용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해 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황장애의 원인 중 생물학적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공황장애의 원인은 생물학적인 원인과 심리학적인 원인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생물학적 원인에는 유전적인 소인과 스트레스 그리고 뇌 구조와 기능의 이상으로 인한 신경전달물질의 오류로 다시 나누어 볼 수 있다. 관련된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에는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가바 등이 있으며[5], 공황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정신질환들이 비정상적인 뇌파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공황장애란 무엇인가 사회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들은 다양한 형태의 정신적 문제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공황장애’는 발병 시기가 일정하지 않고, 치료 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신체 증상과 호전 반응을 보이는 심리적 · 정신적 장애이다. 최근에는 연예인들이 과거에 공황장애를 앓았거나 현재 치료 중이라는 것을 여러 매체를 통해 알리면서 일반인들도 공황장애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공황장애의 치료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Clum과 Gould의 연구에서 공황장애에 대한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 그리고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의 병행 치료 효과에 대한 후위분석 결과 인지행동치료 효과가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1]. 이처럼 공황장애의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대표적으로 쓰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 H. Choi. (2007).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Experiential Cognitiv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Major in Neuropsychiatry,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 Y. H. Choi, G. M. Kim, K. H. Park & H. Y. Yoon. (2003).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Discontinuation of Medication in Panic Disorder, Korean J Psychopharmacol, 14, 367-376. 

  3. Y. H. Choi. (2004).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between Combined Therapy and Pharmacotherapy for Panic Disorder,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4, 73-83. 

  4. S. Y. Park & K. S. Yoo. (2010). Dance therapy. Seoul: Hakjisa. 

  5. S. G. Min. (2004). Modern Psychiatry. Seoul : IlJoGak. 

  6. H. S. Park, C. I. Lee, Y. C. Kim & J. W. Kim. (1997). A surve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6(2), 1-13. 

  7. H. T. Won, Y. S. Park & S. M. Kwon. (1996).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in Thought Contents. Psychology, 5(1), 1-12. 

  8. D. S. Kim. (2009). Autonomic nervous function test EEG, EMG, EP. Seoul"GoryeoMedicine, 33-41. 

  9. R. L. Spitzer, J. B. W. Forman & J. Nee. (1995) DSM-5 field trials : I. Initial interrater diagnostic reliability. Am J Psychiatry, 136, 815-817. 

  10. M. Hamilton. (1967).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for primary depressive illness. Br J Soc Clin Psychol, (6):278-296. 

  11. J. S. Yi, S. O. Bae, Y. M. Ahn, D. B. Park, K. S. Noh & H. K. Shin. (2005).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K-HDR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4, 456-465. 

  12. D. V. Sheehan, J. C. Ballengeer & G. Jacobsen. (1980). Treatment of endogenous anxiety with phobic, hysterical, and hypochondriacal symptoms. Arch Gen Psychiatry, 37, 51-59. 

  13. S. K. Fifer, S. D. Mathias, D. L. Patrick, P. D. Mazonson, D. P. Lueck & D. P. Buesching. (1994). Untreated anxiety among adult primary care patients in a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Arch Gen Psychiatry, 51, 740-750. 

  14. L. G. Ost & B. E. Westling. (1995). Applied relaxation v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Behav Res Ther, 43, 423-425. 

  15. J. G Beck, M. A. Stanley, L. E. Baldwin, E. A. Deagle & P. M. Averill. (1994). Comparison of conitive therapy and relaxation training for panic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62(4), 818-826. 

  16. G. Wiedemann, P. Pauli, W. Dengler, W. Lutsenberg, N. Birbaumer, G. Buckkremer. (1999). Frontal brain asymmetry as a biological substrate of emotions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s. Arch Gen Psychiatry, 56, 78-84. 

  17. C. B. Taylor, M. L. Kenigsberg, J. M. Robinson. (1982). A controlled comparison of relaxation and diazepam in panic disorder. J Cli Psychiatry, 43, 423-42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