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ather's Child Rearing Behavior on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0, 2019년, pp.122 - 132  

강승미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행정학과) ,  백진아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유아의 자기통제력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만 5세 아동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부합하는 1,524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연구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과 Sobel test를 활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통제력은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공격성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육현장에서의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effect of mother's child rearing behavior on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between two variables. For the purpose, 1,524 children who fit this study among children aged 5 through 7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공격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자아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강화와 함께 가정과 유아교육기관 나아가 사회 전반에 걸친 집중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이를 사회복지정책의 실천적 함의 및 교육적인 측면과 연결시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유아를 직접적으로 양육하는 어머니와 자녀의 공격성 사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아의 자기통제력의 매개역할이 충분히 주요한 변인이 되고 있음에도 이 세 변인 간의 영향을 살펴보려는 연구는 거의 보고 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고, 그 과정에서 유아의 자기통제력이 매개할 것으로 예측하여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공격성과의 관계에 있어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에 나타나는 공격적 행동에 조기 개입이 선행되지 않을 경우 다양한 사회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유아기에 형성된 공격성은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나타나는 폭력과 관련이 있고, 더 나아가 범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6,7]. 따라서 유아기에 나타나는 공격적 행동에 조기 개입이 선행되지 않을 경우 다양한 사회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개입이 필요하다.
유아기의 특징은? 전통적으로 언어·인지·행동 발달의 단계에 놓여 있는 유아기는 자기중심적이며, 충동적인 정서의 특징적인 양태를 보이고 있다. 유아는 의사소통 기술이 제한되어 있고, 정작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동시에 다양한 욕구를 내재하고 있으므로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해 강제적 행동을 자주 보인다[1].
유아가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해 강제적 행동을 자주 보이는 이유는? 전통적으로 언어·인지·행동 발달의 단계에 놓여 있는 유아기는 자기중심적이며, 충동적인 정서의 특징적인 양태를 보이고 있다. 유아는 의사소통 기술이 제한되어 있고, 정작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동시에 다양한 욕구를 내재하고 있으므로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해 강제적 행동을 자주 보인다[1]. 유아기는 정확한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해 자주 좌절감과 문제 상황에서 갈등을 겪지만, 갈등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어 종종 공격적인 행동[2]으로 좌절감을 표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O. J. Jung, K. H. Lee & E. S. Lim. (2003). A Child's Growth and Development Seoul: Education Academy. 

  2. M. Marion. (1994).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Responsible Anger Management in Young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97, 155-163. 

  3. E. J. Han & K. S. Choi. (2003). The Relationship of False Belief and Inhibitory Control Skill in 3-and 4-Year-Ol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4), 15-27. 

  4. L. Berkowitz. (1993). Aggression Its Cause, Consequences and Control . New York: Academic Press. 

  5. N. R, Crick & J. K. Grotpeter. (1995).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6(3), 710-722. 

  6. L. D. Eron. (1980). Prescription for Reduction of Agg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35, 244-252. 

  7. R. E. Tremblay, D. S. Nagin, J. R. Seguin, M. Zoccolillo, P. D. Zelazo, M. Boivin, D. Perusse & C. Japel (2004). Physical Aggression during Early Childhood: Trajectories and Predictors.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114(1), 43-50. 

  8. K. Nomaguchi, W. Johnson, D. Minter & L. Aldrich. (2017). Clarifying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Father Relationship Aggression and Parenting. Journal of Marriage & Family, 79(1), 161-178. 

  9. Z. SECER, H. GULAY OGELMAN, A. ONDER & S. BERENGJ. (2012). Analysing Mothers' Self-efficacy Perception towards Parenting in Relation to Peer Relationships of 5-6 year-old Preschool Children.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12(3), 2001-2008. 

  10. Y. Ozdemir, V. Alexander T & C. Figen. (2017). Parenting Processes, Self-esteem, and Aggression: A Mediation Model.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4(5), 509-532. 

  11. M. Grace, T. Maloney & H. Patrick. (2019). The Influence of Parenting Practices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n The Development of Childhood Aggress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7(1), 135-146. 

  12. Y. H Kwon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ahaviors and Chidren's Aggressions: The Moderating Role of Teacher-Child Conflictual Relationship. Korean Association of Open Infant Education, 17(1), 1-19. 

  13. Y. L. Sin, & Y, S, Kim (2018).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a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y Based on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14(6), 51-61. 

  14. C. V. Aken, M. Junger, M. Verhoeven, M. M. AG. Van Aken & M. Dekovic. (2007). Th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Parenting and Toddler's Attention Problems and Aggressive Behavior.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467, 1-15. 

  15. E. N. Aron, A. Aron & J. Jagiellowicz. (2012).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 Review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Biological Responsibil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6(3), 262-282. 

  16. K. A. Dunfield & V. A. Kuhlmeier. (2013). Classifying Prosocial Behavior: Children's Response to Instrumental Need, Emotional Distress, and Material Desire. Child Development, 84(5), 1766-1776. 

  17. D. A. Nleson, C. H. Hart, C. Yang, J. A. Olson & S. Jin. (2006). Aversive Parenting in China Associations with Child Physical and Relational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77(3), 554-572. 

  18. J. F. Dileo, W. Brewer, E. Northam, M. Yucel & V. Anderson. (2017). Investigating The Neurodevelopmental Mediators of Aggression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Child Maltreatment: An Exploratory Field Study. Child Neuropsychology, 23(6), 655-677. 

  19. J. Y. Kim & Y. K. Jung. (2007).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Practice and Violent Behaviors in Adolescent. Youth Studies, 14(5), 169-197. 

  20. D. Olweus. (1991).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m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 Allied Disciplines, 35(7), 1171-1190. 

  21. S. J. Kim & I. J. Jung. (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Warmth/control, TV Viewing Time and Behavioral Problems in Preschooler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0(2), 1-23. 

  22. J. Mireille, V. Frank, D. Edward, C. Sylvana, N. Danie, Z. Mark & E. Richard. (2008). Controlling Parenting and Physical Aggression During Elementary School. Child Development, 79(2), 411-425. 

  23. T. Villodas, M. Bagner, M. Daniel, Thompson & Richard. (2018). A Step Beyond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Behavior Problems: The Role of Mother-Child Aggress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47(4), 634-641. 

  24. K. Rubin, S. Stewart & X. Chen. (1995). Parents of Aggressive and Withdrawn Children. https://books.google.co.kr/books?hlko&lr&idPuDNMmug0AgC&oifnd&pgPA383&dqParents+of+aggressive+and+withdrawn+children.&otsrDB7kPaCZP&sigNTWUYbzeL5Fg7PCSLQaUH-z5vIQ#vonepage&qParents%20of%20aggressive%20and%20withdrawn%20children.&ffalse. 

  25. R. E. Tremblay (2000).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 Behavior during Childhood: What have We Learned in the Pa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4(2), 129-141. 

  26. L. Hao. Chiu, Ming. Ming. Cui & Yunhuo. Zhou Wenye & Li. Shunyu. (2018).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A Meta-Analysis of Mainland Chinese Children and Youth. Children & Youth Services Review, 94, 446-455 

  27. H. M. Shin & M. S. Yoo. (2015). Influence of Self Reflection on Children's Playfulnes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ositive Parental Attitude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8(2), 115-132. 

  28. J. H. Shin. (2009).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29. J. Y. Song. (2016).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ggression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Youth Studies, 23(7), 29-58. 

  30. I. H. Im. (2018).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Peer Conformity on 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Delinquency-Focused on the Middle School Student in Jeju. Major in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31. J. H. Park & H. N. Song. (2011). The Effects of A Self-Regulation Ability Improvement Program on Young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on Reduction in Aggress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1), 157-182. 

  32. H. Orkibi & R. Tammie. (2019). A Dual-Pathway Model Linking Self-Control Skills to Aggression in Adolescents: Happiness and Time Perspective as Mediator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3), 729-742. 

  33. M. Y. Huh (2004).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2(2), 170-189. 

  34. M. S. Kim. (2019). The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f Mothers of Infants on Their Parenting Attitude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0(3), 1291-1306. 

  35. B. H. Cho, J. S. Lee, H. S. Lee & H. K. Kwon. (1999). Dimensions and Assessment of Korean Parenting Styl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10), 123-133. 

  36. R. C. Wasserman, C. M. DiBlasio, L. A. Bond, P. C. Young & R. B. Colletti. (1990). Infant Temperament and School Age Behavior: 6-year on Gitudinal study in a Pediatric Practice. Pediatrics, 85(5), 801-807. 

  37. Y. A. Kim, J. Lee, S. J. Moon, Y. J. Kim & K. J. Oh. (2009).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1), 117-136. 

  38. F. M. Gresham & S. N. Elliott. (1991). Social Skills Rating System, Circle Pines, M. N.: American Guidance Service. 

  39. M. O. Suh. (2004). 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Preschool Level (K-SSRS: Teacher and Parent Form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2), 223-242. 

  40. B. W. Lim. K. H. Ju & Y. j. Son. (2015). Statistics Social Welfare: Apply for PASW(SPSS). Changjisa. 

  41.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tator-Mek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7-87. 

  42. E. J. Kwon. (2013).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ggressiveness of Preschoolers. Korea Welfare Practical Association, 4(1), 49-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