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에서의 인간중심 간호와 가족 만족도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Centered Nursing and Family Satisfaction in ICU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2 no.3, 2019년, pp.1 - 12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신은자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외과계중환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PCCN) and family satisfaction for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 This research used a cross-sectional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142 nurses and 121 family members from 8 ICUs in 4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간중심 간호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인간중심 간호와 중환자 가족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환자실에서의 인간중심 간호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인간중심 중환자 간호중재 개발 및 간호수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와 가족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의 인간중심 간호와 환자 가족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중환자실의 인간중심 간호수행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추후 환자 가족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인간중심 간호 수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의 인간중심 간호와 환자 가족의만족도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인간중심 간호 수행에 따른 중환자 가족의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 수행이 가장 높은 영역은 ‘편안함’이었고 가장 낮은 영역은 ‘개별성’이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간중심 간호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인간중심 간호와 중환자 가족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환자실에서의 인간중심 간호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인간중심 중환자 간호중재 개발 및 간호수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중심 간호는 무엇인가? 인간중심 간호 또는 환자중심 간호는 모든 환자들을개별적,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존중하면서 의료진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환자들을 치료하고 돌보는 과정이다(Dabney, 2008). 미국의학협회(Institute of Medicine, 2001)에서 모든 치료가 환자 중심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강조한 이후 국내에서도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의료기관 평가항목에 환자 중심성 영역을 포함시켰다(Health Insurance Review &Assessment Service, 2018).
인간중심 간호 수행에 기초자료로써 본 연구의 수행 결과 학력에 따른 차이는 어떠했는가? 먼저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 간호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력에 따른 인간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는데, 석사 이상의 간호 사가 학사 혹은 전문학사의 간호사 보다 인간중심 간호수행 점수가 높았다. 이는 선행연구(Jung & Kang, 2014;Lee, 2015)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인간중심 간호 수행정도가 높았던 것과 일관된 결과이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를 지속적으로 관해야 하는 필요가 있는 이유는? 한편,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는 질병상태가 심각하고 생명의 위기에 처해 있어 지속적인 관찰을 필요로한다. 첨단 의료기기를 활용한 집중적인 치료와 간호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harbi, T. S. J., Olsson, L. E., Ekman, I., & Carlstrom, E. (2014).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utcome of hospital car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person-centred ca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2(1), 104-110. 

  2. Ahn, Y. M., Jang, K. S., & Park, H. (2018). Effects of compassion competenc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caring behaviors of clinical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2(4), 17-30. 

  3. Cabrini, L., Landoni, G., Antonelli, M., Bellomo, R., Colombo, S., Negro, A., . . . Zangrillo, A. (2015). Critical care in the near future: Patient-centered, beyond space and time boundaries. Minerva Anestesiologica, 82(5), 599-604. 

  4. Charmel, P. A., & Frampton, S. B. (2008). Building the business care for patient-centered care. Healthcare Financial Management, 62(3), 80-85. 

  5. Choi, Y. L. (2015).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soncentered care of emergency room (ER)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6. Christmas, K. (2008).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ing Economics, 26(5), 316. 

  7. Dabney, B. (2008). Effect of patient centered care on pati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care.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3(4), 316-321. 

  8. Gooding, J. S., Cooper, L. G., Blaine, A. I., Franck, L. S., Howse, J. L., & Berns, S. D. (2011). Family support and family-centered care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rigins, advances, impact. Seminars in Perinatology, 35(1), 20-28. 

  9.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8). Patient-experience. Retrieved September 10, 2018, from http://hirawebzine.or.kr/15467 

  10. Hong, H. J., & Kang, J. (2018).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the person-centered care experienced by critical care pati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1(2), 21-33. 

  11. Institute of Medicine. (2001).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centu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2. Jakimowicz, S., & Perry, L. (2015). A concept analysis of patient-centred nurs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1(7), 1499-1517. 

  13. Jeong, H., & Park, M. (2019). A predictive model on patient-centered care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2), 191-202. 

  14. Jung, H. J., & Kang, J. (2014). Critical car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family satis faction.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7(2), 58-67. 

  15. Kang, H. (2006). Comparison between nurses and family members of patients in ICUs in critical care family needs and the needs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6. Kang, J., & Suh, E. E. (2015). Perceptions of quality of patient-centered nursing care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2(2), 115-123. 

  17. Kang, J., Cho, Y. S., Jeong, Y. J., Kim, S. G., Yun, S., & Shim, M.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ment to assess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3), 323-334. 

  18. Kramer, M., Brewer, B. B., & Maguire, P. (2013). Impact of healthy work environments on new gradate nurses' environmental reality shock.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5(3), 348-383. 

  19. Lee, L., & Lau, Y. L. (2003). Immediate needs of adult family members of adult intensive care patients in Hong Ko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2(4), 490-500. 

  20. Lee, M., & Yi, M. (2017). Experiences of famili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ractions with health care provi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1), 76-86. 

  21. Lee, J. E. (2015). Patient and nurse's perception of patient-centered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22. Lee, Y., & Kang, J. (2011). The effects of extended family visiting hour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4 (1), 51-63. 

  23. Lusk J. M., & Fater K. A. (2013). Concept analysis of patient-centered care. Nursing Forum, 48(2), 89-98. 

  24. Molter, N. C. (1979). Needs of relativ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A descriptive study. Humane Aspects of Critical Care, 8(2), 332-339. 

  25. O'Connell, E., & Landers, M. (2008). The importance of critical care nurses'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nurses and relative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4(6), 349-358. 

  26. Price, A. M. (2013). Caring and technology in an intensive care unit: An ethnographic study. Nursing in Critical Care, 18(6), 278-288. 

  27. Schleyer, A. M., & Curtis, J. R. (2013). Family satisfaction in the ICU: Why should ICU clinicians care? Intensive Care Medicine, 39(6), 1143-1145. 

  28. Soe, M. S. (2008). A study on the expectations of inpatients for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hospital reu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29. Suhonen, R., Efastathiou, G., Tsangari, H., Jarosova, D., Leinokilpi, H., Patiraki, E., . . . Papastavrou, E. (2012). Patients' and nurses' perceptions of individualised care: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7-8), 1155-1167. 

  30. Wall, R. J., Curtis, J. R., Cooke, C. R., & Engelberg, R. A. (2007). Family satisfaction in the ICU. Critical Care Medicine, 132(5), 1425-143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