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ment to Assess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3, 2018년, pp.323 - 334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조영신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  정연진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김수경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  윤선영 (영산대학교 간호학과) ,  심미영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and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A total of 38 preliminary items on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were selected using content validity analysis of and expert opinion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기존 도구들은 이와 같은 중환자간호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국내의 문화적 특성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전문성과 가족의 참여, 생애말기 돌봄과 같은 중환자실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한 인간중심 간호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각 구성요소를 대표할 수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 측정도구(Person-centeredCritical Care Nursing [PCCN])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도구를 개발하기에 앞서 인간중심 간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그 개념 정의와 구성요소를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중심 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3,4], 도구개발 연구[5-9] 및 중환자실에서의 인간중심 간호에 대한 선행연구[10-14] 고찰을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를 ‘중환자의 존엄성과 편안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자 및 가족과 공감하고 소통하며 전문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고, 가족의 참여 등 국내 실정과 문화를 반영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 측정도구인 PCCN을 개발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PCCN은 15문항으로, 하위요인인 ‘공감’ 4문항, ‘개별성’ 4문항, ‘존중’ 4문항, ‘편안함’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가 수행하는 인간중심 간호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각 구성요소를 대표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의료 서비스가 대상자인 환자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는? 이러한 국제적추세에 부응하여 국내에서도 의료 서비스의 중심이 대상자인 환자에게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국내 현실에 적합한 환자중심 평가모형을 제시하였고, 의료서비스의 질 평가에 환자중심 영역을 포함시켰다[2].
인간중심 간호란? 이러한 변화는 간호 영역에도 영향을 미쳐 환자중심 간호(patientcentered care) 혹은 대상자중심 간호(client centered care)라고도불리는 인간중심 간호(person centered care)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인간중심 간호는 환자를 개별화된 인간으로 존중하면서 환자의 개별적 요구에 초점을 맞추는 간호이다[3]. 즉 환자의 개별적인특성과 반응을 인정하고, 환자와 소통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4,5].
의료의 패러다임은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 가? 의료의 패러다임이 제공자 중심의 업무수행과 질병 중심의 치료에서 대상자 중심의 서비스와 증상 중심의 관리로 이동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보건의료의 목표에 대상자의 반응을 포함시킴으로써 의료서비스가 소비자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0: Health systems: Improving performanc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p. xi-xix. 

  2. Seoul University R&DB Found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ient-centered medicine evaluation model.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 Association Services; 2015 May. Report No.: G000E70-2015-87. 

  3. Lusk JM, Fater K. A concept analysis of patient-centered care. Nursing Forum. 2013;48(2):89-98. https://doi.org/10.1111/nuf.12019 

  4. Morgan S, Yoder LH. A concept analysis of person-centered care.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12;30(1):6-15. https://doi.org/10.1177/0898010111412189 

  5. Sidani S, Collins L, Harbman P, MacMillan K, Reeves S, Hurlock-Chorostecki C, et al.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healthcare providers' implementation of patient-centered car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14;11(4):248-257. https://doi.org/10.1111/wvn.12047 

  6. Charmel PA, Frampton SB. Building the business case for patient-centered care. Healthcare Financial Management. 2008;62(3):80-85. 

  7. Suhonen R, Valimaki M, Katajisto J. Developing and testing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individual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0;32(5):1253-1263.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0.01596.x 

  8. Edvardsson D, Fetherstonhaugh D, Nay R, Gibson S. Development and initial testing of the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P-CAT).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0;22(1):101-108. https://doi.org/10.1017/S1041610209990688 

  9. Tak YR, Woo HY, You SY, Kim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3):412-419. https://doi.org/10.4040/jkan.2015.45.3.412 

  10. Jakimowicz S, Perry L. A concept analysis of patient-centred nurs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5;71(7):1499-1517. https://doi.org/10.1111/jan.12644 

  11. O'Connell E. Therapeutic relationships in critical care nursing: A reflection on practice. Nursing in Critical Care. 2008;13(3):138-143. https://doi.org/10.1111/j.1478-5153.2008.00273.x 

  12. Petty J. Learning from narrative to understand the person-centred experience in neonatal nursing: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eonatal Nursing. 2016;22(6):297-308. https://doi.org/10.1016/j.jnn.2016.08.005 

  13. Ranse K, Bloomer M, Coombs M, Endacott R. Family centred care before and during life-sustaining treatment withdrawal in intensive care: A survey of information provided to families by Australasian critical care nurses. Australian Critical Care. 2016;29(4):210-216. https://doi.org/10.1016/j.aucc.2016.08.006 

  14. Mitchell ML, Coyer F, Kean S, Stone R, Murfield J, Dwan T. Patient, family-centred care interventions within the adult ICU setting: An integrative review. Australian Critical Care. 2016;29(4):179-193. https://doi.org/10.1016/j.aucc.2016.08.002 

  15. Kitson A, Marshall A, Bassett K, Zeitz K. What are the core elements of patient-centred care? A narrative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from health policy, medicine and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3;69(1):4-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2.06064.x 

  16. Kamdar BB, Needham DM, Collop NA. Sleep deprivation in critical illness: Its role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covery. Journal of Intensive Care Medicine. 2012;27(2):97-111. https://doi.org/10.1177/0885066610394322 

  17. Hinkin TR.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998;1(1):104-121. https://doi.org/10.1177/109442819800100106 

  18. Costello AB, Osborne JW.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2005;10(7):1-9. 

  19. Myers ND, Ahn S, Jin Y. Sample size and power estimates for a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model in exercise and sport: A Monte Carlo approach.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2011;82(3):412-423. https://doi.org/10.1080/02701367.2011.10599773 

  20. Suh EH.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21. Paju: Freeacademy; 2013. p. 357-381. 

  21. Arthur D, Pang S, Wong T, Alexander MF, Drury J, Eastwood H, et al. Caring attributes,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technological influences in a sample of Registered Nurses in eleven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999;36(5):387-396. https://doi.org/10.1016/S0020-7489(99)00035-8 

  22. Song HR. Comparative study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ing perception in nurses and nursing student.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10. p. 1-89. 

  23.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e Publishing Co.; 2012. p. 160-370. 

  24. Ji EG, Kim MJ. Development and practice of social welfare measurement. Seoul: Hakjisa; 2015. p. 231-247. 

  25. Cohen J.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992;112(1):155-159. https://doi.org/10.1037/0033-2909.112.1.155 

  26. Schilling LS, Dixon JK, Knafl KA, Grey M, Ives B, Lynn MR. Determining content validity of a self-report instrument for adolescents using a heterogeneous expert panel. Nursing Research. 2007;56(5):361-366. https://doi.org/10.1097/01.NNR.0000289505.30037.91 

  27. Kim K, Kim S, Hong S, Kim J.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Advance Directives (K-AD).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6;19(2):109-118. https://doi.org/10.14475/kjhpc.2016.19.2.109 

  28. Tembo AC, Higgins I, Parker V. The experience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in and beyond intensive care: Findings from a larger phenomenological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15;31(3):171-178. https://doi.org/10.1016/j.iccn.2014.10.004 

  29. Jakimowicz S, Perry L, Lewis J. An integrative review of supports,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patient-centred nurs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7;26(23-24):4153-4171. https://doi.org/10.1111/jocn.13957 

  30. Jakimowicz S, Perry L, Lewis J. Insights on compassion and patient-centred nursing in intensive care: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8;27(7-8):1599-1611. https://doi.org/10.1111/jocn.142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