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 합의로 도출된 한국 전문간호사의 공통 업무범위
Common Scope of Practice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Derived from Expert Agreement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2 no.3, 2019년, pp.35 - 49  

임초선 (분당서울대병원 전담간호파트) ,  최수정 (삼성서울병원.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임경춘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이영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정재심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 ,  신용애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강영아 (서울아산병원) ,  박하영 (세브란스병원) ,  김은미 (한국간호교육평가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common scope of practice (SOP) for 13 specialt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in Korea. Methods : The first draft of a common SOP was extra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s with a literature review by 17 experts from the Korean Association of 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외 전문간호사 관련 문헌고찰과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을 통해 국내 전문간호사의 공통 업무범위를 도출한 전문가 합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문가 집단 구성, 문헌고찰, 공통 업무범위 초안 작성, 작성된 공통 업무범위 초안이 전문간호 사가 실무에서 수행하고 있는 업무행위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비교 평가하여 최종 전문간호사의 공통 업무범위를 도출하였다. 전체 연구기간은 2018년 5월 8일부터 2019년 8월 6일까지이었다.
  • 본 연구는 전문간호사 및 교육, 정책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이 기존 관련 법안, 교육 과정, 직무기술 서, 전문간호사 핵심역량 등을 바탕으로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전문간호사 공통 업무범위 초안을 작성하고 전문간호사의 실무를 반영하는지를 평가한 후 합의를 거쳐 국내 전문간호사의 공통 업무범위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논의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 집단이 국내 전문간호사의 업무범위에 대해 관련 문헌고찰과 의견 수렴을 통해 전문간호사의 공통 업무범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 이러한 임상에서의 모순을 개선하고자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교육과정특별위원회를 운영하여 전문간호사 공통핵심역량을 도출하고 교육과정개편안을 보고한 바 있다(KABONE,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연구진들이 전문간호사의 공통 업무범위를 도출하고자 한 과정과 결과를 정리하여 국내 전문간호사 업무범위를 정하는데 타당한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전문간호사 제도는 몇 년 출발하였는가? 국내 전문간호사 제도는 1973년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국민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분야별 간호사로 출발하였고, 경제 발전, 인구고령화 등의 의료 시장 변화와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화되고 전문 화되었다(Kim, 2010). 2003년 ‘전문간호사과정 등에 관한 고시’가 제정되면서 전문간호사 자격기준은 의료법 제 56조에 따라 최근 10년 이내에 3년 이상 해당분야 실무경력자로 교육과정은 대학원(석사)과정으로 엄격하게 변경되었고, 2006년 전문간호사 교육과정생 배출 후 첫 시험을 통해 보건복지부장관으로부터 자격을 인정받은 전문간호사들이 배출되었다(Seol, Shin, Lim, Choi, & Jeoun, 2017).
법적으로 의사만이 수행할수 있는 의료행위들이 전문간호사를 비롯한 의료인력이나 심지어 법에 명시되지 않은 보조인력에게 위임되어 수행되게 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국내 의료계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10년간 병상수의 증가는 OECD 국가 대부분이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우리나라는 약 2배 가까이 증가했고, 활동의사 증가율은 30% 정도에 불과해 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태이다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9). 또한 수도권 대형병원과 인기 진료과로 의료인력이 집중되고 있고(Han, 2015), 2015년 12월에 제정된 ‘전공의 특별법’으로 전공의 근무시간이 줄었으나 전공의는 더 고용하지 않아 의사 부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게다가 의료서비스는 전문 화, 세분화되고 환자중심으로 제공해야 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법적으로 의사만이 수행할수 있는 의료행위들이 전문간호사를 비롯한 의료인력이나 심지어 법에 명시되지 않은 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 PA)에게 위임되어 수행되게 함으로써 법적 논쟁을 야기시키고 있다.
의료법 제 56조에 따른 전문간호사 자격기준은 어떻게 되는가? 국내 전문간호사 제도는 1973년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국민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분야별 간호사로 출발하였고, 경제 발전, 인구고령화 등의 의료 시장 변화와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화되고 전문 화되었다(Kim, 2010). 2003년 ‘전문간호사과정 등에 관한 고시’가 제정되면서 전문간호사 자격기준은 의료법 제 56조에 따라 최근 10년 이내에 3년 이상 해당분야 실무경력자로 교육과정은 대학원(석사)과정으로 엄격하게 변경되었고, 2006년 전문간호사 교육과정생 배출 후 첫 시험을 통해 보건복지부장관으로부터 자격을 인정받은 전문간호사들이 배출되었다(Seol, Shin, Lim, Choi, & Jeoun, 2017). ‘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 제 2조에 명시된 전문간호사 분야는 ‘보건, 마취, 정신, 가정, 감염관리, 산업, 응급, 노인, 중환자, 호스피스, 종양, 임상 및 아동’의 총 13개로, 2018년 12 월까지 총 15,396명의 전문간호사가 배출되었으며 그중 석사과정이 확립된 후 배출된 전문간호사 수도 7,200여명에 달한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18). State practice environment. Retrieved May 20, 2018, from https://www.aanp.org/advocacy/state/state-practice-environment 

  2. California Board of Registerd Nursing. (2018). General information: Nurse practitioner practice. Retrieved May 1, 2018, from https://www.rn.ca.gov/pdfs/regulations/npr-b-23.pdf 

  3. Coombs, L. A. (2015). The growing nurse practitioner workforce in specialty care. The Jouranl for Nurse Practitioners, 11(9), 907-909. 

  4. Council of the Association of Registered Nurses of Newfoundland and Labrador. (2013). Newfoundland and Labrador regulation. Retrieved May 1, 2018, from https://assembly.nl.ca/Legislation/sr/regulations/rc130066.htm 

  5. Han, W. J. (2015). Development of healthcare services industries and hospital management in Korea.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5 (Supp), 116-129. 

  6.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9).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nurse specialist. Geneva: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7. Kim, K. S., Kang, S. Y., Yi, Y. H., & Lim, K. C. (2014).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y of advanced practice nurses.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8. Kim, H. N., & Kim, K. H. (2016). Legal review on physician assistnats. Beobhangnonchong, 36(3), 331-352. 

  9. Kim, K. R. (2010).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and unlicensed medical practice.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11(1), 173-198. 

  10. Kim, M. Y., Choi, S. J., Seol, M., Kim, J. H., Kim, H. Y., & Byun, S. J. (2018). The frequency of job performance of the Korean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 at medical insititutions over 500 bed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1(1), 15-27. 

  11. Kim, M., Kim, I., & Lee, Y. (2018). A study on legal coherence of legislations related to nursing services: Focusing on registered nurse, midwife, advanced practice nurse and nurse assistan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3), 420-457. 

  12. Kim, M., Kim, Y. K., & Sin, S. (2014). Job performance by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6), 630-641. 

  13. Kim, Y. S., Yoo, M. S., Son, Y. J., & Park, J. A. (2014). Analysis and direc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legislation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05). Core compentency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job performance of each branches of advanced practice nurse.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1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09). Job description and job specifica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s.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1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5). Presentation of common core competency and improving examination criteria of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s.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17.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9).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 annual repor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18. Korea Nurse Association. (n.d.). Becoming an advanced practice nurse. Retrieved August 03, 2018, from http://www.koreanurse.or.kr/resources/be_specialist.php 

  19. Kringos, D. S., Boerma, W. G. W., Hutchinson, A., & Saltman, R. B. (2015). Building primary care in a changing Europe.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 Landsperger, J. S., Semler, M. W., Wang, L., Byrne, D. W., & Wheeler, A. P. (2016). Outcomes of nurse practitioner-delivered critical care: A prospective cohort study. Chest, 149(5), 1146-1154. 

  21. Maryland Board of Nursing. (2016). 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ing. Retrieved May 01, 2018, from https://mbon.maryland.gov/Pages/nurse-practice-act.aspx 

  22. Markowitz, S., Adams, E. K., Lewitt, M. J., & Dunlop, A. L. (2017). Competitive effect of scope of practice restriction: Public health or public harm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55, 201-218. 

  23.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d.).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May 01, 2018, from https://law.go.kr 

  24. Moon, S. H. (2012). Review on nursing bill: With focus on bill for promotion of nationals nursing and improvement of nurses position. Bio-medical and Law, 7, 63-96. 

  25.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2012). Changes in healthcare professions' scope of practice: Legislative considerations. Chicago: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26. Nieminen, A., Mannevaara, B., & Fagerstrom, L. (2011). Advanced practice nurses' scope of practice: A qualitative study of advanced clinical competenci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5(4), 661-670. 

  2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9). OECD health statistics 2019. Retrieved August 01, 2019, from http://www.oecd.org/health/health-data.htm 

  28. Seol, M., Shin, Y. A., Lim, K. C., Choi, J. H., & Jeoun, J. S. (2017). Current status and vitalizing strategi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4(1), 37-44. 

  29. Taiwan Nurses Association. (2014). Regulations governing specialties and examination of nurse practitioner. Retrieved May 1, 2018, from http://www.ngo.etwna.org.tw/nursing_policy_3.php 

  30. Xue, Y., Ye, Z., Brewer, C., & Spetz, J. (2016). Impact of state nurse practitioner scope-of-practice regulation on health care delivery: Systematic review. Nursing Outlook, 64(1), 71-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