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간호사 업무에 대한 의료인의 경험: 전문의와 전문간호사를 중심으로
Experiences of Health-care Providers about Advanced Practice Nurses: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Physicians and Advanced Practice Nurse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6 no.3, 2019년, pp.290 - 306  

강영아 (서울아산병원) ,  임경춘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김주현 (국립강원대학교(춘천) 간호대학 간호학과) ,  정재심 (울산대학교 산업대학 임상전문간호학) ,  한지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health-care providers about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physicians and APNs in Korea. Method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with snowball sampling. Six physicians and 13 AP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2020년 전문간호사 업무 법제화를 앞둔 지금 전문간호사 업무 범위를 현실성 있고 타당하게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시급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간호사제도를 도입하고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의사, 전문간호사들의 생생한 경험을 확인하고 전문간호사제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문간호사제도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돕고 업무 범위 설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아동전문간호사의 수행 빈도가 높은 근무는 무엇인가? , 2009).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아동전문간호사의 경우 동맥관 및 제대 동맥관, 중심정맥관 삽입 및 제거, 기관 내 삽관, 창상 봉합 및 발사 등의 침습적 시술에 대한 수행 빈도가 높았다(Park, Kim, & Lee, 2005). 이러한 특수 치료 및 침습적 시술들은 의사의 위임 하에 이루어지고 있으나 법적 규정이 없는 현실에서 전문간호사들에게 업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업무범위의 경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Choi et al.
전문간호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8년 병원간호사회의 병원간호인력 배치 현황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문간호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 상급종합병원(67%)과 종합병원(27%)에서 활동하고 있다(Hospital Nurse Association, 2018). 이는 급격한 의료기술의 첨단화로 전문적 지식과 술기를 겸비한 의료인력에 대한 수요가 늘고 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영양, 재활, 간호 등 다학제적인 치료가 보편화 되면서 의사 단독으로 모든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이 낳은 결과이다(Park & Kim, 2016). 환자들의 노령화, 만성질환의 증가, 환자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돌봄 등의 질적인 부분까지 의료서비스 선택의 기준이 확대되어 의료기관들은 의학적 치료와 간호를 아우르는 전문간호사의 고용을 늘리고 있다.
전문간호사란 무엇인가? 전문간호사란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증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해당 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의료기관 및 지역사회 내에서 간호대상자(개인, 가족, 지역사회)에게 상급수준의 전문가적 간호를 제공하는 전문인력으로서, 초기 전문간호사자격제도 신설 이전 업무를 시작한 경우, 제도 신설 후 자격증을 취득하고 그 업무가 전문간호사업무로 연결된 경우를 말하며, 진료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ce)이나 전담간호사제도로 운영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문간호사와 협업한 경험이 있는 전문의와 전문간호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AANP-CB].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Retrieved September 9, 2019, from https://www.aanpcert.org/ 

  2. Choi, E. J., Jang, I. S., Hwang, J. H., Kang, Y. A., Kim, S. R., Nho, J. H., et al. (2015). Patient satisfaction with advanced practice nurs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3), 335-346.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3.335 

  3. Graneheim, U. H., & Lundman, B. (200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24, 105-112. https://doi.org/10.1016/j.nedt.2003.10.001 

  4. Hamric, A. B., Spross, J. A., & Hanson, C. M. (2009). (Eds). Advanced practice nursing: An integrative approach. St. Louis, MO: Saunders/Elsevir, 2009. 

  5. Hospital Nurse Association. (2018, February). 2018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Seoul: Hospital Nurse Association. 

  6. Hsieh, H.,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https://doi.org/10.1177/1049732305276687 

  7. Jeon, M. K., Kim, M., Choi, S. J., Seol, M., Kim, H. Y., & Kim, J. H. (2018).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s in general hospital less than 500 beds - Focusing on nursing staff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4(2), 197-208. https://doi.org/10.22650/JKCNR.2018.24.2.197 

  8. Kim, C. J. (2005). Introduction and significa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The Korean Nurse, 7(1), 23-35. 

  9. Kim, E. K. (2005). A research of the clinical practice for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Kim, J. H. (2010). Demand-supply of advanced practice nurse (APN) and alternative benefit strategi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erspective in Nursing Science, 7(1), 23-35. 

  11. Kim, J. H., Kim, K. S., Kim, M. W., & Lee, K. A. (2013). Economic analysis and fee development by relative value scale of nursing practices by emergency nurse practition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3), 275-288. https://doi.org/10.7475/kjan.2013.25.3.275 

  12. Kim, J., Kim, M. A., Kim, M. W., Kim, K. S., Yoo, C. S., & Lee, E. H. (2009). Analysis on performance and new classification of advanced practices by critical care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4), 527-538. 

  13. Kim, M. J., Kim, Y. K., & Shin, S. (2014). Job performance by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6), 630-641. https://doi.org/10.7475/kjan.2014.26.6.630 

  14. Kim, S. H., Ham, Y. H., Kim, J. H., Kim, H. K., Hwang, O. H., Kim, M. Y., et al. (2014). Satisfaction with Korean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role: A study of patients, physicians, and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14(1), 41-49. https://doi.org/10.5388/aon.2014.14.1.41 

  15. Kim, S. R., Lee, S. K., Kim, S. H., Kwan, Y. H., Bae, S. H., Lee, S. S., et al. (1995).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and medical team about CNS roles performance. Clinical Nursing Research, 9(1), 76-90. 

  16. Kim, Y. H., Kwon, I. G., Hwang, K. J., Kim, H. S., Lee, B. S., Lee, H. S., et al. (2003). A survey on the role and present stat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9(1), 55-75. 

  17. Landsperger, J. S., Semler, M. W., Wang, L., Byrne, D. W., & Wheeler, A. P. (2016). Outcomes of nurse practitioner-delivered critical care: A prospective cohort study. Chest, 149(5), 1146-1154. https://doi.org/10.1016/j.chest.2015.12.015 

  18. Lee, E. R., Kwak, M. K., Kim, E. J., Kwon, I. G., & Hwang, M. S. (2010). Job analysis of Korean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in clinical workplace-using the DACUM method-.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1), 68-79. 

  19. Leem, C. S., Choi, S. J., Lim, K. C., Yi, Y. H., Jeong, J. S., Shin, Y. A., et al. (2019). Common scope of practice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in Korea derived from expert agreemen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2(3), 35-49. https://doi.org/10.34250/jkccn.2019.12.3.35 

  20. Mason, J. (2002). Qualitative interviewing: asking, listening and interpreting. In May, T. (Ed.), Qualitative research in action (pp. 225-241). London: Sage. 

  21.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NCSBN]. (2018, April 23). Consensus model implementation status. Retrieved November 29, 2019, from https://www.ncsbn.org/5397.htm 

  22. 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s of Nursing [NCSBN]. APRNS in the U.S. Retrieved November 29, 2019, from https://www.ncsbn.org/aprn.htm 

  23. Park, J. Y., & Kim, Y. (2016). Requirements to improve multidisciplinary cancer car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9(2), 86-87. https://doi.org/10.5124/jkma.2016.59.2.103 

  24. Park, Y. A., Kim, H. Y., & Lee, J. H. (2005). The study of neonatal nurse practitioner's role accomplishment. Health & Nursing, 17(2), 17-32. 

  25.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d in Nursing Science, 8(3), 27-37. https://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