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의 장관영양 시 위 잔류 확인의 유용성 평가
The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of Gastric Residuals in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2 no.3, 2019년, pp.74 - 83  

이경민 (삼성서울병원) ,  최수정 (삼성서울병원.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임상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routine evaluation of gastric residuals (RGR) is considered standard care for premature infants. This study evaluated the usefulness of RGR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 The study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208 premature infants (gestational aged under 34 weeks) who underwent gav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위관영양을 하는 미숙아에서 위 잔류 확인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위 잔류를 확인한 미숙아와 필요시 위 잔류를 확인한 미숙아의 임상결과를 비교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주기적위 잔류 확인군과 필요시 위 잔류 확인군 간 임상결과(완전장관영양 도달시간, 완전장관영양 도달 시 체중, 수유불내성 및 체중회복시기, 정맥영양기간, 정맥영양관련간질환, 괴사성 장염 발생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는 위관영양을 하는 미숙아에서 주기적으로 위 잔류를 확인한 군과 필요시 위 잔류를 확인한 군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여 위 잔류 확인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시도된 연구로,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과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위관영양을 하는 미숙아의 위 잔류 확인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위 잔류를 확인한 미숙아와 필요시 위 잔류를 확인한 미숙아의 임상결과를 비교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위관영양을 하는 미숙아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위 잔류를 확인한 미숙아와 필요시 위 잔류를 확인한 미숙아 간의 임상결과를 비교하여 위 잔류 확인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 이에 반해 본 연구대상병원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합의를 통해 2017년 1월부터 수유 전 주기적으로 위 잔류를 확인하던 기존 실무에 대해 수유불내성의 임상적 징후가 있는 경우에만 필요시 위 잔류를 확인하는 것으로 실무지침을 변경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에 실무 변경 전 주기적으로 위 잔류를 확인한 미숙아와 실무 변경 후 임상적 징후가 있을 경우 필요시 위 잔류를 확인한 미숙아의 완전장관영양 도달시간, 수유불내성, 괴사성 장염 등과 같은 임상결과를 비교하여 그 유용성에 대한 비판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의 소화기장애를 조기발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위관영양을 하는 환자에게 있어서 간호사는 적정량의 영양을 공급하고 소화기장애를 조기에 발견하는 등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Bollineni & Minocha, 2011).소화기장애를 조기발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위관영양을 하는 미숙아에게 매 수유 직전 위 잔류의 양과 양상을 확인하여 위 배출의 지연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Gregory & Connolly, 2012).그러나 위 잔류량은 환자의 체위나 수유 종류 및 위관의 크기,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Li et al.
미숙아에게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미숙아에게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는 데는 많은 난관이 있다. 재태기간이 짧고 출생 체중이 작을수록 위장관 기능이 미숙하고 장 운동이 저하되어 수유 후위 저류가 많아지는 수유불내성(feeding intolerance)을 초래한다(Jang, 2011). 미숙아의 장관영양에 방해가되는 대표적인 소화기장애는 수유불내성과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이다(Shin, 2009).
괴사성 장염은 무엇인가? 장관영양 지연은 정맥영양 기간을 늘려 정맥영양관련간질환의위험을 증가시키고, 중심정맥관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로 인한 감염 등 합병증 발생을 증가시킨다(Ben, 2008).또 괴사성 장염은 장의 점막 혹은 전 층의 괴사로 인하여 생기는 응급 소화기 질환으로 90%가 미숙아에서 발생하며 사망률은 5-30%에 달하는 심각한 질병이다(Pi,2008; Wu, Caplan, & Lin, 2012). 따라서 미숙아의성장 및 발달을 위해 이와 같은 소화기장애 및 합병증을 최소화하면서 장관영양을 통해 충분한 칼로리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iramalatha, T., Thanigainathan, S., & Balakrishnan, U. (2019). Re-feeding versus discarding gastric residuals to improve growth in preterm infants. Cochrane Database Systemic Review, 7, CD012940. 

  2. Amendolia, B. (2011). An integrative review of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State of the science. Clinical Scholars Review, 4(2), 82-90. 

  3. Ben, X. M. (2008). Nutritional management of newborn infants: Practical guidelines.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4(40), 6133-6139. 

  4. Bertino, E., Giuliani, F., Prandi, G., Coscia, A., Martano, C., & Fabris, C. (2009). Necrotizing enterocolitis: Risk factor analysis and role of gastric residual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48(4), 437-442. 

  5. Bollineni, D., & Minocha, A. (2011). Nursing practice of checking gastric residual volumes based on old dogmas: Opportunity to improve patient care while decreasing health care costs. The Journal of the Louisiana State Medical Society, 163(4), 205-267. 

  6. Cobb, B. A., Carlo, W. A., & Ambalavanan, N. (2004). Gastric residuals and their relationship to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Pediatrics, 113(1), 50-53. 

  7. Duro, D., Mitchell, P. D., Kalish, L. A., Martin, C., McCarthy, M., Jaksic, T., . . . Duggan, C. (2011). Risk factors for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liver disease following surgical therapy for necrotizing enterocolitis.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52(5), 595-600. 

  8. Gokmen, T., Oguz, S., Bozdag, S., Erdeve, O., Uras, N., & Dilmen, U. (2012). A controlled trial of erythromycin and UDCA in premature infants during parenteral nutrition in minimizing feeding intolerance and liver function abnormalities. Journal of Perinatology, 32(2), 123-128. 

  9. Gregory, K. E., & Connolly, T. C. (2012). Enteral feeding practices in the NICU: Results from a 2009 neonatal enteral feeding survey. Advances in Neonatal Care, 12(1), 46-55. 

  10. Hans, D. M., Pylipow, M., Long, J. D., Thureen, P. J., & Georgieff, M. K. (2009). Nutritional practic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alysis of a 2006 neonatal nutrition survey. Pediatrics, 123(1), 51-57. 

  11. Hay, W. W. (2013). Aggressive nutrition of the preterm infant. Current Pediatrics Reports, 1(4), 229-239. 

  12. Hermansen, M. C., & Hermansen, M. G. (2005). Intravascular catheter complication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linics in Perinatology, 32(1), 141-156. 

  13. Jang, Y. S. (2011). Nutritional support in premature infants. Hanyang Medical Reviews, 31(4), 246-253. 

  14. Kaur, A., Kler, N., Saluja, S., Modi, M., Soni, A., Thakur, A., & Garg, P. (2015). Abdominal circumference or gastric residual volume as measure of feed intolerance in VLBW infants.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60(2), 259-263. 

  15. Lapillonne, A., & Griffin, I. J. (2013). Feeding preterm infants today for later metabolic and cardiovascular outcomes. The Journal of Pediatrics, 162(3 Suppl), S7-16. 

  16. Li, Y. F., Lin, H. C., Torrazza, R. M., Parker, L., Talaga, E., & Neu, J. (2014). Gastric residual evaluation in preterm neonates: A useful monitoring technique or a hindrance? Pediatrics and Neonatology, 55(5), 335-340. 

  17. Lucchini, R., Bizzarri, B., Giampietro, S., & De Curtis, M. (2011).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How to understand the warning signs. The Journal of Maternal-Fetal & Neonatal Medicine, 24(Suppl 1), 72-74. 

  18. Mihatsch, W. A., von Schoenaich, P., Fahnenstich, H., Dehne, N., Ebbecke, H., Plath, C., . . . Pohlandt, F. (2002). The significance of gastric residuals in the early enteral feeding advancement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Pediatrics, 109(3), 457-459. 

  19. Moody, G. J., Schanler, R. J., Lau, C., & Shulman, R. J. (2000). Feeding tolerance in premature infants fed fortified human milk.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30(4), 408-412. 

  20. Parker, L., Torrazza, R. M., Li, Y., Talaga, E., Shuster, J., & Neu, J. (2015). Aspiration and evaluation of gastric residual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tate of the science.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9(1), 51-59. 

  21. Pi, S. Y. (2008). Manual of neonatal care (2nd Eds.). Seoul: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2. Riskin, A., Cohen, K., Kugelman, A., Toropine, A., Said, W., & Bader, D. (2017). The impact of routine evaluation of gastric residual volumes on the time to achieve full enteral feeding in preterm infants. The Journal of Pediatrics, 189(10), 128-134. 

  23. Seo, H. Y., Kim, Y. H., & Kim, S. J. (2016). Effects of massage therapy on feeding intolerance and physical growth in premature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2(4), 355-362. 

  24. Shin, J. B. (2009). Enteral feeding for preterm infantsbenefits and risks. Neonatal Medicine, 16(2), 121-130. 

  25. Sisk, P. M., Lovelady, C. A., Gruber, K. J., Dillard, R. G., & O'Shea, T. M. (2008). Human milk consumption and full enteral feeding among infants who weigh ${\leq}$ 1250 grams. Pediatrics, 121(6), e1528-1533. 

  26. Torrazza, R. M., Parker, L. A., Li, Y., Talaga, E., Shuster, J., & Neu, J. (2015). The value of routine evaluation of gastric residual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Journal of Perinatology, 35(1), 57-60. 

  27. Williams, T. A., & Leslie, G. D. (2010). Should gastric aspirate be discarded or retained when gastric residual volume is removed from gastric tubes? Australian Critical Care, 23(4), 215-217. 

  28. Wu, S. F., Caplan, M., & Lin, H. C. (2012). Necrotizing enterocolitis: Old problem with new hope. Pediatric and Neonatology, 53(3), 158-16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