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 수행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evelopmental Care Performance amo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urse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6 no.2, 2020년, pp.131 - 139  

홍혜미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  손현미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al care performance amo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9 nurses who had provided care to premature infants for more than 6 months and were recruited from the NICU of 8 hosp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추후 타당도 검증 및 반응척도에 대한 도구의 검토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본 도구는 발달지지간호 수행 정도를 자가보고로 측정하는 도구로 직접 관찰을 통한 측정보다 정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 도구의 개발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 수행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발달지지간호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발달지지간호 인식과 간호근무환경이 발달지지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본 연구에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 수행 점수는 0.
  • 본 연구는 전국 8곳의 신생아집중치료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대상으로 발달지지간호 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발달지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 수행 정도는 0.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발달지지간호 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발달지지간호 수행의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 수행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간호 근무환경이 발달지지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 수행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간호 근무환경이 발달지지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미숙아의 긍정적 성장 및 발달 관리를 위하여 발달지지간호는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 8곳의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발달지지간호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발달지지간호 수행에 발달지지간호 인식과 간호근무환경이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함으로써 발달지지간호 수행증진을 위한 전략 마련의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지지간호 수행 향상을 위해 발달지지간호 인식 개선을 위한 중재를 적용하고, 발달지지간호 수행에 적절한 간호근무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는 출생 직후 어떻게 간호를 받는가? 미숙아는 출생 직후 외부환경에 적응할 능력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충분한 생존능력이 생길 때까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의학적 치료와 간호를 받는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인큐베이터, 인공호흡기 치료 등과 같은 특수한 환경으로 발생하는 과도한 빛과 소음은 미숙아에게 불가피하지만 시청각의 감각계에 과도한 자극이 될 수 있는 반면 촉각 전정계에는 필요한 만큼의 자극을 충분히 주지 못한다[1].
지속적인 과도한 빛과 소음은 미숙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인큐베이터, 인공호흡기 치료 등과 같은 특수한 환경으로 발생하는 과도한 빛과 소음은 미숙아에게 불가피하지만 시청각의 감각계에 과도한 자극이 될 수 있는 반면 촉각 전정계에는 필요한 만큼의 자극을 충분히 주지 못한다[1]. 미숙아가 이러한 스트레스 상황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근골격과 뇌기능의 성숙이 억제되어 향후 인지장애, 신경 행동장애 등 발달 예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은 미숙아의 발달장애 예방과 최적의 성장발달을 위해서는 생후 초기에 적절한 발달지지 간호 적용이 매우 중요하다[3].
발달지지 간호를 수행한 의료인은 미숙아의 장애요인을 무엇으로 인식하는가? 발달지지 간호를 수행한 의료인은 간호 수행 시간, 인력, 자원, 교육에 대한 지원, 병원 정책, 간호 리더십, 의료인 간 협업의 부족 등과 같은 근무환경을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11,18,19]. 발달지지간호는 미숙아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행동적 단서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개별적 간호와 가족 중심 간호 제공이 핵심이 되는 전문적인 간호이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1 Butler S Als H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improves the lives of infants born preterm Acta Paediatrica 2008 97 9 1173 1175 10.1111/j.1651-2227.2008.00916.x 18616626 

  2. 2 Mikkola K Ritari N Tommiska V Salokorpi T Lehtonen L Tammela O Neurodevelopmental outcome at 5 years of age of a national cohort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who were born in 1996-1997 Pediatrics 2005 116 6 1391 1400 10.1542/peds.2005-0171 16322163 

  3. 3 Vohr BR Wright LL Dusick AM Mele L Verter J Steichen JJ Neurodevelopmental and functional outcomes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the national institutes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neonatal research network, 1993-1994 Pediatrics 2000 105 6 1216 1226 10.1542/peds.105.6.1216 10835060 

  4. 4 Kim TI Sim MK Literature review nursing intervention for developmental support on preterm infant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1 4 1 35 55 

  5. 5 Als H Toward a synactive theory of development: Promise for the assessment and support of infant individualit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982 3 4 229 243 10.1002/1097-0355(198224)3:4<229::AID-IMHJ2280030405>3.0.CO;2-H 

  6. 6 Kim J Shin H Concept analysis of developmental care for preterm infants: Hybrid model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 20 4 350 358 10.4094/chnr.2014.20.4.350 

  7. 7 Hendricks-Muñoz KD Prendergast CC Barriers to provision of developmental care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eonatal nursing perceptions American Journal of Perinatology 2007 24 2 71 77 10.1055/s-2006-958156 17260329 

  8. 8 Ohlsson A Jacobs SE NIDCAP: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ediatrics 2013 131 3 e881 e893 10.1542/peds.2012-2121 23420913 

  9. 9 Symington AJ Pinelli J Developmental care for promoting development and preventing morbidity in preterm infan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6 2 cd001814 10.1002/14651858.CD001814.pub2 

  10. 10 Cardin AD Rens L Stewart S Danner-Bowman K McCarley R Kopsas R Neuroprotective core measures 1-7: A developmental care journey: Transformations in NICU design and caregiving attitudes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5 15 3 132 141 10.1053/j.nainr.2015.06.007 

  11. 11 Mosqueda-Peña R Lora-Pablos D Pavón-Muñoz A Ureta-Velasco N Moral-Pumarega MT Pallás-Alonso CR Impact of a developmental care training course on the knowledge and satisfac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neonatal units: A multicenter study Pediatrics and Neonatology 2016 57 2 97 104 10.1016/j.pedneo.2015.04.010 26205438 

  12. 12 Westrup B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NIDCAP) - Family-centered developmentally supportive care Early Human Development 2007 83 7 443 449 10.1016/j.earlhumdev.2007.03.006 17459617 

  13. 13 Lee SJ Predictors of developmental supportive ca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7 1 68 

  14. 14 Min SH Nurses' performance of developmental care for premature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8 1 59 

  15. 15 van der Pal SM Maguire CM Cessie SL Veen S Wit JM Walther FJ Staff opinions regarding the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NIDCAP) Early Human Development 2007 83 7 425 432 10.1016/j.earlhumdev.2007.03.007 17467202 

  16. 16 Solhaug M Bjørk IT Sandtrø HP Staff perception one year after implementation of the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NIDCAP)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0 25 2 89 97 10.1016/j.pedn.2009.11.004 20185059 

  17. 17 Westrup B Stjemqvist K Kleberg A Hellström-Westas L Lagercrantz H Neonatal individualized care in practice: A swedish experience Seminars in Neonatology 2002 7 6 447 457 10.1053/siny.2002.0150 12614597 

  18. 18 Mosqueda R Castilla Y Perapoch J de la Cruz J López-Maestro M Pallás C Staff perceptions on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NIDCAP) during its implementation in two Spanish neonatal units Early Human Development 2013 89 1 27 33 10.1016/j.earlhumdev.2012.07.013 22854393 

  19. 19 Mosqueda R Castilla Y Perapoch J Lora D López-Maestro M Pallás C Necessary resources and barriers perceived by professional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NIDCAP Early Human Development 2013 89 9 649 653 10.1016/j.earlhumdev.2013.04.011 23701747 

  20. 20 Als H Gilkerson L The role of relationship-based developmentally supportive newborn intensive care in strengthening outcome of preterm infants Seminars in Perinatology 1997 21 3 178 189 10.1016/S0146-0005(97)80062-6 9205974 

  21. 21 Lake ET Development of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2 25 3 176 188 10.1002/nur.10032 12015780 

  22. 22 National Association of Neonatal Nurses Developmental care selfassessment [Internet] Chicago National Association of Neonatal Nurses 2008 [cited 2017 April 11]. Available from: http://nann.org/uploads/Education/Dev_Care_Specialist_selfassessment_test-FINAL_10-19-10.pdf 

  23. 23 Zhang X Lee SY Chen J Liu H Factors influencing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al care among NICU nurses in China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 25 3 238 253 10.1177/1054773814547229 25155801 

  24. 24 Cho E Choi M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 41 3 325 332 10.4040/jkan.2011.41.3.325 21804341 

  25. 25 Soleimani F Torkzahrani S Rafiey H Salavati M Nasiri M Assessing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developmental ca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Tehran Iranian Journal of Pediatrics 2017 27 1 e6733 10.5812/ijp.67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