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5, 2019년, pp.47 - 68  

박윤정 (조우경 아동상담센터) ,  최미경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mother'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315 young children who attend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and the...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인관계 기술 및 사회적 관계의 기초는 무엇인가? 어린 시기의 사회, 정서적 문제가 해결되지 못할 때, 이후 성장기의 내, 외현적 문제행동의 발생과 관련성이 크므로(Fettig, 2015), 아동기의 정서, 사회성 발달 및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하는 학술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정서 인식 및 표현과 관계 되며 정서적 표현 상황에서 적절하게 정서를 표출할 수 있는 능력인 정서조절은 대인관계 기술 및 사회적 관계의 기초가 되므로(Cole, Martin, & Dennis, 2004) 그 중요성이 크다. 정서조절은 유아기에 급격히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김유미, 2005), 이 시기 정서조절 발달과 관련되는 요인들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성장기의 내, 외현적 문제행동의 발생과 관련성이 큰것은 무엇인가? 78%의 영유아가 우울, 위축, 또래 관계의 어려움, 주의력 결핍 등 사회․정서적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경향신문, 2014). 어린 시기의 사회, 정서적 문제가 해결되지 못할 때, 이후 성장기의 내, 외현적 문제행동의 발생과 관련성이 크므로(Fettig, 2015), 아동기의 정서, 사회성 발달 및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하는 학술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정서 인식 및 표현과 관계 되며 정서적 표현 상황에서 적절하게 정서를 표출할 수 있는 능력인 정서조절은 대인관계 기술 및 사회적 관계의 기초가 되므로(Cole, Martin, & Dennis, 2004) 그 중요성이 크다.
아동기의 정서, 사회성 발달 및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의 중요성이 큰이유는? 어린 시기의 사회, 정서적 문제가 해결되지 못할 때, 이후 성장기의 내, 외현적 문제행동의 발생과 관련성이 크므로(Fettig, 2015), 아동기의 정서, 사회성 발달 및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하는 학술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정서 인식 및 표현과 관계 되며 정서적 표현 상황에서 적절하게 정서를 표출할 수 있는 능력인 정서조절은 대인관계 기술 및 사회적 관계의 기초가 되므로(Cole, Martin, & Dennis, 2004) 그 중요성이 크다. 정서조절은 유아기에 급격히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김유미, 2005), 이 시기 정서조절 발달과 관련되는 요인들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경향신문 (2014. 2. 27). 영유아 정신건강 '위험' 국가지원 시급해.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2271841432&rccde900303에서 2014년 4월 3일 인출 

  2. 권연희 (2003).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연희 (2014).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 및 의도적 통제의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4), 215-235. 

  4. 김경희, 김경회 (1999). 유아 정서지능의 구인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1), 25-38. 

  5. 김미정, 이경님 (2011).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53-271. 

  6. 김민정 (2008).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사회적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민정, 도현심, 신나나, 최미경 (2013).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2), 101-119. doi:10.5723/kjcs.2013.34.2.101 

  8. 김보영 (2012). 유아리더십과 기질 및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유미 (2005). 뇌를 통해 본 아동의 정서 :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10. 김인희 (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정서지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은 (2015).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 및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윤 (2007). 유아의 기질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나, 이경님 (2008). 성별에 따른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71-92. 

  14. 김현주 (2009).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혜순 (2009). 어머니의 집착과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03-226. 

  16. 김혜원 (2018).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훈육행동 유형이 유아기 자녀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남재희 (200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문혁준 (2001).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05-219. 

  19. 문혁준 (2005). 취학 전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6(5), 139-150. 

  20. 박미리 (201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석규, 이은희 (2011).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과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57-278. 

  22. 박소영 (2006).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예랑 (2017). 어머니가 지각한 영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지련 (2014). 부모의 정서적 공감능력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부모 간의 비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지숙 (2008). 아동의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재윤 (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혜원 (2012). 유아의 기질 및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매개 변인으로. 이화여자대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배미경 (2012).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또래갈등해결 전략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2), 195-220. 

  29. 배주희 (2011). 유아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서울경제 (2012. 2. 9). 올부터 초.중.고교생에 정서행동 발달 선별검사. http://www.sedaily.com/NewsView/1HRJCS8ZIE에서 2014년 4월 5일 인출 

  31.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32. 서주현 (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신혜진, 신나리 (2014). 유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47-68. doi:10.14698/jkcce.2014.10.3.047 

  34. 안라리 (2005).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여은진 (2009).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및 유아 정서조절간의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유경, 민경환 (2003).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 이해의 발달: 정서 원인과 정서 조절에 대한 이해. 심리과학, 12(1), 13-29. 

  38. 유지현, 이경님 (2017).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 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277-303. doi:10.22155/jfece.24.1.277.303 

  39. 윤서희 (201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조절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경하, 서소정 (2012).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53-77. 

  41. 이승은, 서현 (2007).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감성지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8(4), 127-144. 

  42. 이소은 (2011). 기질, 성, 심리적.행동적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5(3), 409-430. 

  43. 이예원, 진미경 (2016). 유아의 기질 및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모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1(1), 23-46. 

  44. 이윤진 (2007). 사회적 지원과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주연 (200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 효과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5), 35-48. 

  46. 이화선 (2016).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임희수 (2001).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장미희, 이지연 (2011). 모애착, 거부민감성,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1), 35-53. 

  49. 정경화 (2013). 어머니 대모애착 및 양육효능감과 영아와 유아의 발달 단계에 따른 애착 및 기질과의 관계.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정보라 (2017).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정점옥 (2009).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조미숙 (201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조부월 (201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33-157. 

  54. 채경진, 유연옥 (2015). 유아의 활동성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7(1), 19-34. 

  55. 최빛나 (2013).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최은숙 (2013). 부모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정서조절 행동.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131-151. 

  57. 최지현 (200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통제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최지영, 김미애 (2010). 유아기질과 부모양육태도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119-137. 

  59. 최형성 (2005). 남녀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및 아동의 기질. 아동학회지, 26(1), 319-328. 

  60. 최형성 (2006).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 양육행동에 따라 아동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의 제 변인들에 대한 모형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4(11), 79-89. 

  61. 홍계옥, 이상덕 (2009). 유아의 기질과 정서지능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주연구, 18(2), 180-198. 

  62. Bandura, A. (1989). Regulation of cognitive processes through perceived self-efficacy. Developmental Psychology, 25(2), 729-735. doi:10.1037//0012-1649.25.5.729 

  6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rch: Conceptu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6.1173 

  64. Berry, W. D., & Feldman, S. (1985). Multiple regression in practice :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65. Buss, A. H., & Plomin, R. (1975). A temperament the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Wiley. 

  66. Cole, P. M., Martin, S. E., & Dennis, T. A. (2004). Emotion regulation as a scientific construct: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research. Child Development, 75(2), 317-333. doi:10.1111/j.1467-8624.2004.00673.x 

  67.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6), 1507-1518. doi:10.1111/j.1467-8624.1986.tb00475.x 

  68. Denham, S. A. (1993). Maternal emotional reponsiveness and toddler'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5), 715-728. doi:10.1111/j.1469-7610.1993.tb01066.x 

  69. Dunn, J., & Brown, J. (1994). Affective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s. Merrill-Palmer Quarterly, 40, 120-137. 

  70. Fettig, N. B. (2015).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Predicting social competen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e Mason University, USA. 

  71. Goodman, S. H., Brogan, D., Lynch, M. E, & Fielding, B. (1993).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children of depressed mothers. Child Development, 64(2), 516-531. doi:10.1111/j.1467-8624.1993.tb02925.x 

  72. Gottman, J. M., & Katz, L. F. (1989).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73-381. doi:10.1037//0012-1649.25.3.373 

  73. Planalp, E. M., Van Hulle, C. A., & Goldsmith, H. H. (2019). Parenting in context: Marital adjustment, parent affect, and child temperament in complex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33(5), 532-541. doi:10.1037/fam0000511 

  74.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doi:10.1111/j.1467-8624.1991.tb01580.x 

  75.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Oxford, England: Brunner/Maze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