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용 기록으로서의 구술사
Oral History as a Record of Dance 원문보기

Trans- = 트랜스-, v.6, 2019년, pp.43 - 78  

이은주 (성균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용은 '몸'을 표현의 도구로 사용하는 예술이다. 또한 한 번 행해지면 소멸되는 무형체성과 일회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무용은 살아있는 몸의 예술이기 때문에 문자로 기록하는 것은 난해하다. 오늘날 영상이라는 디지털매체의 발달은 기록을 용이하게 했지만 이 역시 여전히 무용작품의 시각적인 면만을 기록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춤의 기록과 보존이 중요한 것은 과거와 현재의 만남이자 현재적 시점에서 재현과 해석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무용가의 기억을 통한 기록방법인 구술사는 이를 가능하게 열어준다. 무용가의 언어로 자신의 삶과 예술을 기억하며 채록하고 연구하는 구술사는 무용의 기록방법으로서 무용가를 주체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이를 근거로 현재적 시각에서 무용사 뿐 만 아니라 무용이 사회와 맺게 되는 상호작용을 읽어냄으로써 역사를 보는 다양한 관점을 지니게 한다. 따라서 무용분야 구술사는 무용가의 구술을 채록하여 기록으로 남긴다는 의의와 함께 여기에 함께 기록되어진 '인간과 사회적 관계'들을 남기는 것이다. 이렇게 기록되어진 무용분야 구술사는 분석과 해석이 더 해져 무용사 읽기, 역사 읽기의 창이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nce is an art that includes not only art historical facts, but also a series of processes for dancers' body, choreography, and the creation of entire process of dances and their lives. In other words, dance is the art of embodying the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of the dancer as the subject, and ...

주제어

표/그림 (1)

참고문헌 (23)

  1. 김경애 김채현 이종호, 우리무용 100년, 현암사. 2001. 

  2. 육완순 구술 윤지현 채록, 2008년도 한국 근현대 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116: 육완순, 예술자료원, 2009. 

  3. 윤택림 함한희, 새로운 역사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6. 

  4. 한국구술사연구회, 구술사: 방법과 사례, 선인, 2005. 

  5. 홍신자 구술 이은주 채록, 2009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180: 홍신자, 예술자료원. 2010. 

  6. 김귀옥, 한국 구술사 연구 현황, 쟁점과 과제, 사회와 역사, 2006. 

  7. 김귀옥, 구술사 쓰기의 방업과 절차, 구술사 연구, 2011. 

  8. 김기석 이향규, 구술사: 무엇을, 왜,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한국교육사고 연구노트 제 9호 창립 5주년 기념 연구노트 집성 합본호, 1998. 

  9. 김현정, 무용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구술사의 활용과 과제 모색, 대한무용학회, 2011. 

  10. 이용기, 구술사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위한 제언, 역사비평, 2002. 

  11. 이용기, 구술자료를 통한 역사의 서술 국사면찬위원회(편), 구술자료 만들기: 수집, 정리, 활용, 2009. 

  12. 이용기,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 역사와 현실 71, 2009. 

  13. 이은주, 구술채록문 분석을 통한 초기 한국현대무용사 연구-미국현대무용 도입시기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4. 이진우, 후설현상학과 탈근대, 철학과 현상학 연구, 1990. 

  15. 이호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의 예술사 구숭채록사업 소개 및 현황, 한국무용기록학회 , 2007. 

  16. 채희완, 예술인의 구술채록, 왜 중요한가, 아시아 춤의 기억술(記憶術): 무용역사기록학회 제 17 회 심포지엄, 2015. 

  17. 최해리, 무용구술사를 통한 새로운 한국근현대무용사 쓰기의 가능성 모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8. 최해리, 구전심수(口傳心授)에서 구술사(口述史)로: 한국춤 고유성의 전승방법, 아시아 춤의 기억술(記億術): 무용역사기록학회 제 17회 심포지엄, 2015. 

  19. 함한희,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구술사연구, 2010. 

  20. 허영란, 구술과 문현의 경계를 넘어서, 국사편찬위원회(편), 현황과 방법, 구술.구술자료.구술사, 2004. 

  21. Van Zile, Judy, 시간을 이어주는 다리: 춤, 기록, 그리고 기록 보존, 아시아 춤의 기억술(記憶術): 무용역사기록학회 제 17회 심포지엄, 2015. 

  22. 네이버 어학사전, https://dict.naver.com/(검색일: 2018.10.15) 

  2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 구술채록 www.claarts.or.kr/gusoolBuss.jsp(검색일: 2018.10.1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