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우시안 확률밀도 함수기반 강원도 남·북한 지역의 산림면적 변화탐지 및 평가
Detection and Assessment of Forest Cover Change in Gangwon Province, Inter-Korean, Based on Gaussian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5 no.5 pt.1, 2019년, pp.649 - 663  

이수종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박은빈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송철호 (고려대학교 환경GIS) ,  임철희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차성은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슬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8년 유엔 개발 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의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매우 극단적이며, 지금까지도 진행되고 있다. 기후변화 측면에서 산림 황폐화는 단순히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닌 전 지구적인 스케일의 문제로 여겨지며, 이러한 북한 산림 황폐화의 원인은 만성적인 식량난과 개간 산지의 확대, 산림 병해충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 황폐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와 정책 사업들은 원격탐사와 산림 관련 국가 공간자료들을 이용하여 진행되지만, 북한의 경우 국가 공공 자료들의 접근이 제한적이며, 객관성이 보장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통계적 확률밀도 추정 방법을 통해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행정구역상으로 분단된 강원도에 대한 산림면적을 탐지 및 평가하고자 하였다. 남한의 산림 공간자료와 정규화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이용하여, 산림 비산림의 NDVI 값에 대한 범주별 가우시안 확률밀도함수를 추정하고 산림 탐지를 위한 NDVI 임계점(0.6658)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임계점을 이용하여 남 북 강원도에 대한 다중시기 산림면적 탐지를 진행한 결과 남 북 모두 2000년대까지 산림 면적이 감소하였으나, 2010년대에는 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지역적 규모에서 산림 면적의 감소는 국가별 도시화, 산업화의 정책 방향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검증을 위한 Kappa value의 경우 대부분 강적합(0.8)과 중적합(0.6)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탐지된 면적과 국가 통계와의 비교 결과도 약소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북한 산림 황폐화에 대응하는 기반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탐지된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자원의 보호와 복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2018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report announced that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is the most extreme situation and in terms of climate change, this deforestation is a global scale issue. To respond deforestation, various study and projects are conducted based on remote sensing...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 실측 자료 취득의 어려움과 기존 위성영상 기반 탐지 및 분류기법의 통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우시안 확률밀도함수를 기반으로 NDVI와 남한 산림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림공간정보 분석방법의 결과와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또한,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불규칙한 확률밀도를 고려한 비모수적(Non-Parametric) 밀도추 정법을 사용한다면, 더욱 유의성 있는 산림탐지 임계점 설정의 가능성도 존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식생지수 및남한 공간자료를 이용한 광역적 북한 산림 자원 평가 및 모니터링의 기초 연구로써 의미가 있으며, 남한의 성공 적인 산림경영과 정책을 기반으로 북한 산림 자원의 현상 파악과 산림 보호를 위한 산림정책 및 기술이 필요 함을 시사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림과 비산림 영역에 속하는 NDVI 값들을 각각 추출하여 밀도 추정 기반의 산림 탐지를 위한 임계점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VI 산출을 위한 영상자료와 공간적 범위와 기준에 따라 산림과 비산림을 구분해주는 Labeling 자료가 이용 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5/8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가우시안 확률밀도함수를 사용하여 남·북 강원도에 대한 산림면적을 탐지하였다. 국가 공간자료가 확보되어있는 2009년 남한 강원도를 대상으로 산림과 비산림에 해당하는 NDVI값의 확률분포를 가우시안 확률밀도 함수형태로 가정하였고, 산림과 비산림의 밀도함수가 겹치는 NDVI 값 0.6658을 산림탐지를 위한 임계점으로 설정하였다. 1980년대부터 2019년까지 10년 단위로 산림면적을 탐지한 결과 남한은 지속적인 산림 정책 및 경영으로 인해 산림면적의 변화가 2009년까지 소폭 감소, 2018년에는 약 10%가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국지적으로는 도시화에 따른 산림면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 3). 추출된 NDVI 값들은 모수적 밀도 추정(Parametric Density Estimation)으로 범주별 분포 특성에 해당하는 가우시안 확률 밀도 함수를 가정하여 모수(Parameter)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가우시안 확률 밀도 함수와 원래의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확률 밀도와의 비교를 위해 평균제곱 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산출하였고, 식 (2)를 이용하여 확률밀도 함수들이 교차하는 지점을 산림 탐지를 위한 임계점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의 경우 전 국토 중 산림이 차지하는 면적이 90년대 대비 감소한 이유는? 8%로 1990년대 대비 38.7%가 감소하였으며, 이에 대한 가장 큰 원인으로는 경제적 공급 부족으로 인한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난과 개간 산지의 확대, 산림 병해충의 영향 때문이다(UNDP, 2018; NIE, 2017; KEI, 2018). 국제조사기관인 ‘Maplecroft’에 따르면 북한은 극단적인 산림황폐화국에 속해있으며, 현재도 산림 황폐화는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북한의 산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사업이 중요한 실정이다(Maplecroft, 2012; KEI, 2019).
북한의 경우 산림 관련 자료의 접근이 제한적인데, 어떻게 해결하는가? , 2018; Choi and Um, 2012). 따라서 위성영상자료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자료를 기반으로 북한의 산림황폐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Choi et al.(2015)은 체계적으로 자료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있는 남한 강원도의 산림 공간자료를 훈련용 자료(Training Data)로 활용하여 유의성 있는 북한 강원도의 산림 탐지 자료를 취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Yoo et al., 2011).
Landsat Level-2 위성영상이란?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정치적인 한계로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면적의 산림을 탐지하기 위해 미국 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 제공하는 대기 보정이 적용된 Landsat Level-2 위성영상을 이용하였다. Landsat Level-2 영상은 USGS Earth Resources Observation and Science(EROS)에서 Science Processing Architecture(ESPA)를 통해 기존 Level-1 위성영상을 대상으로 대기 영향이 보정된 영상으로 Landsat 4, 5, 7, 8에 대해 사용자 주문형으로 제공된다(USGS.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ayasgalan, M., 2005. Monitoring of Drought in Mongolia, Ph.D. dissertation, Ulaanbaatar University, Ulaanbaatar, Mongolia. 

  2. Cha, S. Y. and C.-H. Park, 2007. The utilization of Google Earth images as reference data for the multitemporal land cover classification with MODIS data of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3(5): 483-491. 

  3. Choi, I. H. and J.-C. Woo, 2007. Developmental Process of Forest Policy Direction in Korea and Present Status of Forest Desolation in North Korea,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23(1): 35-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J. H. and J.-S. Um, 2012.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 to evaluate UN-REDD Registration Potential of North Korea: A case study of Mt. Geumga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4): 77-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J., S. H. Lee, S. A. Lee, S.-Y. Ji, and S.-H. Lee, 2015. Applicability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for Subdividing Forested Areas Using SPOT-5 and KOMPSAT-2 Dat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2): 89-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i, S. E., W.-K. Lee, H. Yu, H.-D. Kang, and Y.-S. Kim, 2014.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Land Cover Change and Vegetation Temperature Condition Index in Central Dry Zone of Myanm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 82-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Google, 2019. Google Earth Pro 7.3.2.5776, Accessed on May 1, 2019. 

  8. Gross, D., 2005. Monitoring agricultural biomass using NDVI time serie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Rome, Italy. 

  9. Hansen, M. C., P. V. Potapov, R. Moore, M. Hancher, S. A. Turubanova, A. Tyukavina, D. Thau, S. V. Stehman, S. J. Goetz, T. R. Loveland, A. Kommareddy, A. Egorov, L. Chini, C. O. Justice, and J. R. G. Townshend, 2013. High-Resolution Global Maps of 21st-Century Forest Cover Change, Science, 342(6160): 850-853. 

  10. Hong, S. Y., S.-K. Rim, S.-H. Lee, J.-C. Lee, and Y.-H. Kim, 2008. Spatial Analysis of Agro-Environment of North Korea Using Remote Sensing 1. Landcover Classification from Landsat TM imagery and Topography Analysis in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7(2): 120-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eong, J. J., 2012. Comparison of Built-up Area Extraction Methods: Classification Method vs. Vegetation Index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2(3): 35-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iang, Z., A. R. Huete, J. Chen, Y. Chen, J. Li, G. Yan, and X. Zhang, 2006. Analysis of NDVI and scal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retrievals of vegetation frac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1(3): 366-378. 

  13. Jung, M. H., S.-H. LEE, E.-M. Chang, and S.-W. Hong, 2012. Method of Monitoring Forest Vegetation Change based on Change of MODIS NDVI Time Series Patter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4): 47-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J., S.-K. Lee, N.-J. Noh, T.-K. Yoon, S. Han, G. Cui, W.-K. Lee, and Y.-H. Son, 2013. A Study on Greenhouse Gas Removals Estimation of a Small Scale Afforestation/reforestation CDM Pilot Project in Goseong,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2(3): 398-4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M., S. Yoo, N. Kim, W. Lee, B. Ham, C. Song, and W.-K. Lee, 2017. Climate change impact on Korean forest and forest manag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5(3): 413-4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Y., H. Jeon, and C. Lim, 2019. 2019 KREI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Jeollanam-do, Korea, 20(4). 

  17.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2014. KDI Review of the North Korean Economy in 2014,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ejong, Korea. 

  1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2018. Environmental trends in North Korea 201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Korea. 

  1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2011.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Repor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20. Korea Forest Service (KFS),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8, Korea Forest Service, Daejon, Korea. 

  21.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KAST), 2014. A Study on Selection of Planting Species Suitable for Forest Ecology and Environmental Change in North Korea, The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gi-do, Korea. 

  22.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KAPA), 2009. A case study on the success of forest restoration policy in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Seoul, Korea. 

  23. Lee, S. G., H.-A. Choi, H. Yoo, C. Song, S. Cha, S.-W. Bae, and W.-K. Lee, 2018. Restoration plan for degraded forest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onsidering suitable tree species and spatial distribution, Sustainability, 10(3): 856. 

  24. Lee, W. K., M. Kim, C. Song, S.-G. Lee, S. Cha, and G. Kim, 2016.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Forest Sector,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6(2): 27-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i, L., X. Mu, C. Macfarlane, W. Song, J. Chen, K. Yan, and G. Yan, 2018. A half-Gaussian fitting method for estimating fractional vegetation cover of corn crop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62: 379-390. 

  26. Lim, C. H., C. Song, Y. Choi, S.-W. Jeon, and W.-K. Lee, 2019. Decoupling of forest water supply and agricultural water demand attributable to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48: 109256. 

  27. Lim, C. H., S. Yoo, Y. Choi, S. Jeon, Y. Son, and W.-K. Lee, 2018.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forest habitat suitability and diversity in the Korean Peninsula, Forests, 9(5): 259. 

  28. Lim, C. H., Y. Choi, M. Kim, S. Jeon, and W.-K. Lee, 2017. Impact of deforestation on agroenvironmental variables in cropland, North Korea, Sustainability, 9(8): 1354. 

  29. Maplecroft, 2011. Deforestation Index 2012, http://maplecroft.com/about/news/deforestation.html/, Accessed on Mar. 1, 2019. 

  30. McHugh, M. L., 2012. Interrater reliability: the kappa statistic, Biochemia medica: Biochemia medica, 22(3): 276-282. 

  3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3. Level-1, 2 National Land Cover Map. Ministry of Environment, https://egis.me.go.kr, Accessed on Mar. 7, 2019. 

  32.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2017. Ecological issues: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which is dangerou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http://www.nie.re.kr/webzine/index.jsp?c1706&ssub03_04, Accessed on Jul. 1, 2019. 

  33.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IFOS), 2018. 2020 Trends and implications of the 2020 global forest resource assessment (FRA-202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34. Park, E., C. Song, B. Ham, J. Kim, J. Lee, S.-E. Choi, and W.-K. Lee, 2018. Comparison of Sampling and Wall-to-Wall Methodologies for Reporting the GHG Inventory of the LULUCF Sector in Kore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4): 385-3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Park, J. J., C.-Y. Ku, and B.-S. Kim, 2007. Improvement of the Level-2 Land Cover Map with Satellite Image,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15(1): 67-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ark, K. S., 2013. Forest Status and Forest Policy in North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5(3): 3-23. 

  37. Piao, D., W.-K. Lee, Y. Zhu, M. Kim, and C. Song, 2016. Assessment of Forest Degradation and Carbon Storage for REDD+ Project in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4(1): 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RIG), 2012. Manufacturing and root industry of Gangwon Province,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Gangwon-do, Korea. 

  39. Roy, D. P., M. A. Wulder, T. R. Loveland, C. E. Woodcock, R. G. Allen, M. C. Anderson, and T. A. Scambos, 2014. Landsat-8: Science and product vision for terrestrial global change research,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45: 154-172. 

  40. Sahidullah, M. and G. Saha, 2012. Comparison of speech activity detection techniques for speaker recognition, arXiv, preprint arXiv:1210.0297. 

  41. Silverman, B. W., 2018.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Routledge, Abingdon-on-Thames, UK. 

  42. Song, M., J. M. Yi, and K.-S. Park, 2017. A Study on Strategy of Forest Rehabilitation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Spread of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6(4): 487-4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U.S. Geological Survey (USGS), 2015. Landsat surface reflectance data, https://doi.org/10.3133/fs20153034, Accessed on Apr. 1, 2019. 

  44. U.S. Geological Survey (USGS), 2019. Landsat-5,8 image courtesy of the U.S. Geological Survey, https://earthexplorer.usgs.gov, Accessed on Mar. 4, 2019. 

  45.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2018. Human Development Indices and Indicators 2018: Statistical updat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New York, NY, USA. 

  46. Uttamatanin, R., P. Yuvapoositanon, A. Intarapanich, S. Kaewkamnerd, R. Phuksaritanon, A. Assawamakin, and S. Tongsima, 2013. MetaSel: a metaphase selection tool using a Gaussian-based classification technique, BMC Bioinformatics, 14(16): S13. 

  47. Xu, D., X. Kang, D. Qiu, D. Zhuang, and J. Pan, 2009. Quantitative assessment of desertification using landsat data on a regional scale-a case study in the Ordos plateau, china, Sensors, 9(3): 1738-1753. 

  48. Yoo, S. J., W.-K. Lee, S.-H. Lee, E.-S. Kim, and J.-Y. Lee, 2011. Approach for suitable site selection and analysis for reforestation CDM using satellite image and spatial data in North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9(3): 3-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9. Zhao, P., D. Lu, G. Wang, C. Wu, Y. Huang, and S. Yu, 2016. Examining spectral reflectance saturation in Landsat imagery and corresponding solutions to improve forest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Remote Sensing, 8(6): 4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