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상 물공급 시나리오를 고려한 상수도관망 최적 밸브위치 결정
Optimal valve installatio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considering abnormal water supply scenario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10, 2019년, pp.719 - 728  

이승엽 (애리조나대학교 건축토목공학과) ,  정동휘 (계명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수도 관망 밸브는 평상시 관로유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하지만, 관로 파손, 수질 문제 등 사고 발생 시 해당 구역을 격리하는데에도 이용된다. 밸브조작에 의한 구역 단수는 주변 지역의 압력 및 물 공급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최근 안정적인 상수도 관망 물 공급을 위협하는 사고가 다양하고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밸브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밸브의 개수, 구역격리 시 물 부족량, 수리학적 거리 인자(Hydraulic Geodesic Index, HGI)를 통합한 목적함수를 개발하고, 다양한 물 부족 시나리오에 기반한 밸브 최적 위치 결정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론은 페스카라 관망에 적용되었으며, 시나리오별로 도출된 최적 밸브 설계안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최적 밸브 위치 탐색 과정 중 수행된 관망 수리해석은 압력 기반(Pressure Driven Analysis, PDA)으로 수행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으로 도출한 최적 밸브 설계안은 기존 설계안 대비 밸브 개수가 최대 19개나 적었고, 세그먼트 격리 시 물 공급 부족량 또한 상대적으로 작았다. 수원 수두가 낮은 시나리오를 고려할수록 더 많은 밸브가 설치되었는데, 밸브 추가 설치에 따른 비용증가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물 공급 성능 향상으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그먼트 격리 상황 모의를 압력 및 유량 기반 해석으로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밸브 최적 위치 설계 수행 시 압력 기반 해석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lve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 (WDN), that controls the flow in pipes, is used to isolate a segment (a part of WDN) under abnormal water supply conditions (e.g., pipe breakage, water quality failure event). The segment isolation degrades pressure and water serviceability in neighboring area du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에 기반한 밸브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밸브의 최적 위치는 그래프 이론 기반의 인자인 수리학적 거리 인자(Hydraulic Geodesic Index, HGI)와 밸브의 개수, 격리 시 물 부족분(신뢰성)에 동등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축한 단일 목적함수로 결정하였다.
  • 밸브의 최적 위치 선정 시 밸브 개수 최소화, 격리 시 최대물 부족분 최소화(신뢰성), 그리고 최소 SHGI 최대화 총 3가지를 고려하여 진행하였다. 밸브 개수는 비용을 고려하는 방법으로 적은 개수로 최대의 효율을 내기 위해서 고려해 주었으며, 격리 시 최대 물 부족분 최소화는 격리로 인한 단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려하였다. 최대 물 부족분은 신뢰성으로 고려해 주었고, 신뢰성은 총 요구 수요량 대비 전달된 수요량으로 산정한다.
  • Lee and Jung (2018)의 연구에서 SNSP가 에너지 효율 및 여러 회복력 인자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보인 바 있으며, 다른 그래프 이론의 인자들과도 상수도 관망의 구조적 변형(관의 파손과 같은)이 생길 시 변화하는 경향성이 같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NSP의 수정 버전인 SHGI 또한 동일한 경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SHGI의 변동에 따른 에너지 효율 및 여러 회복력 인자와 그래프 이론 인자들의 변동을 간접적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 SNSP는 에너지 효율 및 회복력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동일한 개념인 수리학적 거리 인자 또한 동일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으로 인한 물 공급원 (수원)에 이상이 생긴 경우를 시나리오로 설정하였고, 수리해석 시 EPANET 상 수원(reservoir)의 수두를 조절하는 것으로 모의를 하였다. 수두 조건은 수원의 기존 수두 조건과 수원의 수두 저감 조건 총 두 가지를 고려하였으며, 결과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시나리오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와 같은 교란으로 인해 발생할 수있는 가뭄 시 수원에서의 물 부족을 모의하기 위해 페스카라 관망의 총 세 개 수원의 수두를 조정하였다. 수원 수두 조건 시나리오는 총 두 가지로, 기존 수두 유지하여 모의하는 Scenario A와 모든 수원의 수두를 동일하게 10% 감소하여 모의하는 Scenario B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에 기반한 밸브 최적 위치를 결정 방법론을 소개하였다. 소개한 방법론은 밸브의 개수, 격리 시 물 부족분, 그리고 SHGI에 동등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단일 목적함수로 만든 후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 시나리오의 고려 시 결정된 밸브 최적 위치를 비교하여 시나리오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최적화를 위해 가중 그래프 이론에 근간한 수리학적 거리 인자와, 신뢰성, 밸브의 개수 세 가지 고려사항을 균등하게 가중치를 부여하여 단일 목적함수로 구축하였다.
  • , 2018), 이는 기존 화음탐색법(Harmony Search)의 매개변수의 적용을 수정한 모형이다. 본 절에서는 밸브 위치에 따른 세그먼트 식별 모형, 수리학적 거리 인자, 그리고 목적 함수를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Python으로 작성이 되었다.
  • 본 절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리학적 거리 인자의 정의 및 정량법을 소개한다. 수리학적 거리 인자는 그 모태인 SNSP와 의미 면에서는 동일하며 상세한 SNSP의 배경은 Lee and Jung (2018)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SHGI와 Rel의 i는 0에서 세그먼트의 총 개수까지의 숫자로, 각 세그먼트 격리 시 산정된 SHGI와 신뢰성을 의미한다. 즉, 밸브의 개수를 줄이며 결정된 밸브의 위치에서 세그먼트 격리 별로 산정된 SHGI와 신뢰성 중 최소치를 최대화하는 것이 목적함수의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압력 기반 해석으로 수리해석을 진행하기에 별도의 압력 제약 조건을 고려하지는 않았다.

가설 설정

  • 즉, 밸브의 개수를 줄이며 결정된 밸브의 위치에서 세그먼트 격리 별로 산정된 SHGI와 신뢰성 중 최소치를 최대화하는 것이 목적함수의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압력 기반 해석으로 수리해석을 진행하기에 별도의 압력 제약 조건을 고려하지는 않았다.
  • 최소 수압 조건은 15 m로 모든 수용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최적 설계 전 기존 밸브 위치는 Choi et al. (2018)에서 제공한 정보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수도 관망 밸브의 역할은 무엇인가? 상수도 관망 밸브는 평상시 관로의 유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하지만, 관로 파손, 수질 문제 등 사고 발생 시 해당 구역을 격리하는데에도 이용된다. 밸브조작에 의한 구역 단수는 주변 지역의 압력 및 물 공급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압력 기반으로 관망 수리해석 수행 결과 찾아낸 최적 밸브 설계안과 기존 설계안의 차이점은? 최적 밸브 위치 탐색 과정 중 수행된 관망 수리해석은 압력 기반(Pressure Driven Analysis, PDA)으로 수행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으로 도출한 최적 밸브 설계안은 기존 설계안 대비 밸브 개수가 최대 19개나 적었고, 세그먼트 격리 시 물 공급 부족량 또한 상대적으로 작았다. 수원 수두가 낮은 시나리오를 고려할수록 더 많은 밸브가 설치되었는데, 밸브 추가 설치에 따른 비용증가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물 공급 성능 향상으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상수도 관망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 고려사항 중 하나는 무엇인가? 따라서, 이를 적절히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은 인간 생활의 영위에 있어 중요한 임무라고 할 수 있다. 상수도 관망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각 구성요소를 어떻게 배치하고 어떤 경로로 물을 운반하는가에 대한 사항, 즉 연결성(connectivity)이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그러나 최근 노후화와 지진으로 인한 관로 파손이 증가하고 있고, 인천, 포항 등 국내 도시에서 발생한 적수와 같은 수질 문제 등으로 인해 상수도 관망 효율적인 운영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visi, S., Creaco, E., and Franchini, M. (2011). "Segment identifica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Urban Water Journal, Vol. 8, No. 4, pp. 203-217. 

  2. Araujo, L., Ramos, H., and Coelho, S. (2006). "Pressure control for leakage minimisa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management."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0, No. 1, pp. 133-149. 

  3. Bragalli, C., D'Ambrosio, C., Lee, J., Lodi, A., and Toth, P. (2012). "On the optimal desig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s: A practical MINLP approach." Optimization and Engineering, Vol. 13, No. 2, pp. 219-246. 

  4. Choi, Y., Jung, D., Jun, H., and Kim, J. (2018). "Improv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robustness through optimal valve installation." Water, Vol. 10, No. 9, p. 1223. 

  5. Creaco, E., Franchini, M., and Alvisi, S. (2010). "Optimal placement of isolation valve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based on valve cost and weighted average demand shortfall."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4, No. 15, pp. 4317-4338. 

  6. Creaco, E., Franchini, M., and Alvisi, S. (2012). "Evaluating water demand shortfalls in segment analysi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6, No. 8, pp. 2301-2321. 

  7. Di Nardo, A., Di Natale, M., Santonastaso, G. F., Tzatchkov, V. G., and Alcocer-Yamanaka, V. H. (2013). "Water network sectorization based on graph theory and energy performance indice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40, No. 5, pp. 620-629. 

  8. Dijkstra, E. (1959). "A note on two problems in connexion with graphs (PDF)." Numerische Mathematik. Vol. 1, No. 1, pp. 269-271. doi:10.1007/BF01386390. 

  9. Giustolisi, O., and Savic, D. (2010). "Identification of segments and optimal isolation valve system desig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Urban Water Journal, Vol. 7, No. 1, pp. 1-15. 

  10. Herrera, M., Abraham, E., and Stoianov, I. (2016). "A graph-theoretic framework for assessing the resilience of sectorised water distribution network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30, No. 5, pp. 1685-1699. 

  11. Jones, E., Travis O., and Peterson, P. (2014). {SciPy}: open source scientific tools for {Python}. 

  12. Jowitt, P., and Xu, C. (1990). "Optimal valve control in water-distribution network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inning and Management, Vol. 116, No. 4, pp. 455-472. 

  13. Judi, D., and McPherson, T. (2015). Development of extended period pressure-dependent demand water distribution models. Los Alamos National Lab. (LANL), Los Alamos, NM (United States). 

  14. Jun, H. (2005). "Isolating subsystems by valves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and evaluating the system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8, No. 7, pp. 585-593. 

  15. Jun, H. (2006). "An evaluation of the pipe failure impact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considering subsystem isol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9, No. 2, pp. 89-98. 

  16. Jun, H., and Loganathan, G. V. (2007). "Valve-controlled segment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3, No. 2, pp. 145-155. 

  17. Jun, H., Loganathan, G. V., Deb, A., and Grayman, W. (2007a) "Valve distribution and impact analysi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3, No. 8, pp. 790-799 

  18. Jun, H., Park, J., Baek, C., and Kim, J. (2007b). "A segment-based minimum cutset method for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0, No. 9, pp. 735-742. 

  19. Kang, D., and Lansey, K. (2009). "Real-time optimal valve operation and booster disinfection for water quality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6, No. 4, pp. 463-473. 

  20. Kim, J., and Jun, H. (2013). "An exploratory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for planning of restricted water supp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4, pp. 131-136. 

  21. Lee, H., Jun, H., Baek, S., and Kim, J. (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dvanced-pressure driven analysis model considering limited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2, pp. 271-280. 

  22. Lee, S., and Jung, D. (2018).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ergy indices and source-to-node shortest pathway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11, pp. 989-998. 

  23. Lee, S., Oak, S., Jung, D., and Jun, H. (2019). "Development of Failure Cause-Impact-Duration (CID) plots for water supply and distribution system management." Water, Vol. 11, No. 8, p. 1719. 

  24. Lee, S., Yoo, D. G., Jung, D., and Kim, J. H. (2018). "Application of life cycle energy analysis for designing a water distribution network."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 Cycle Assessment, Vol. 23, No. 6, pp. 1174-1191. 

  25. Lim, G., and Kang, D. (2019). "Optimal placement of isolation valves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based on segment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52, No. 4, pp. 291-300.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Water distribution system stadards. 

  27. Oak, S., Baek, S., Lee, H., and Jun, H. (2018). "An application of the A-PDA model for the interconnected operation among adjacent block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in case of emerge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2, pp. 231-237. 

  28. Rana, S., and Boccelli, D. (2016). "Contaminant spread forecasting and confirmatory sampling location identification in a water-distribution system."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42, No. 12, p. 04016059. 

  29. Rossman, L. A. (2000). EPANET 2: users manual. 

  30. Shin, S., Lee, S., Judi, D., Parvania, M., Goharian, E., McPherson, T., and Burian, S. (2018).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resilience measures for water infrastructure systems." Water, Vol. 10, No. 2, pp. 164-189. 

  31. Yazdani, A., and Jeffrey, P. (2011). "Applying network theory to quantify the redundancy and structural robustnes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8, No. 2, pp. 153-161.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