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환경분야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ergy and Environment R&D Researchers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0, 2019년, pp.341 - 350  

유현희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현병환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에너지 환경 분야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가설들을 수립하고 실증분석을 추진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약 3주 동안 회수된 200건의 설문지 중 에너지, 환경 분야 연구자 165명의 설문결과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 빈도,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Sobel-test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연구자의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은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연구자의 직무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제고를 위한 소속 기관의 인적자원관리 제도 마련과 교육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자가 직무에 대한 즐거움, 만족감, 신뢰 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보상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대해 매우 중요한 영향 인자이므로 연구자의 자기효능감 강화를 위한 기관 차원의 전략마련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research hypotheses and conduct empirical analys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researchers in the energy and environment fields. Data were extracted from questionnaires returned by...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R&D 연구자 중 최근 다양한 연구 이슈가 있는 에너지·환경 분야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자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직무성과 간의 관계 분석과 연구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이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에 대한 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교사, 간호사, 군인, 승무원, 경찰, 호텔 직원 등 다양한 서비스 직종 종사자에 대한 셀프리더십이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편적 연구사례를 종합하여 에너지·환경분야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이 연구자의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매개로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 성과도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2.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3. 연구자의 셀프리더십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4. 연구자의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5. 연구자의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6. 연구자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따라서 조직의 발전을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높은 수준의 셀프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2]. 셀프리더십은 행동중심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의 세 가지 하위개념으로 구성되며 이들 간의 상호보완적 전략을 통해 발휘하는 셀프리더십 수준은 개인의 태도와 행동, 그리고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3]. 연구분야는 타 직종에 비해 조직내 상하 관계가 엄격하지 않고 상사의 지시나 명령에 의하여 연구를 수행하기 보다는 연구자 스스로 본인의 업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경우가 많다.
워라밸이란 무엇인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연구자들은 ’과학기술을 통해 국가발전에 기여한다’는 자부심과 사명감으로 다소 열악한 환경과 지나친 규제와 간섭에도 국가와 조직을 위해 개인의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연구하였다[1]. 그러나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을 일컫는 ‘워라밸’,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뜻하는 ‘소확행’ 등의 신조어가 시대를 반영하듯 연구분야에서도 ‘사람’, ‘자기만족’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적 변화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다. 특히 요즘 젊은 연구자들은 국가나 소속기관, 상사의 간섭을 싫어하고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개인의 만족에 기반한 연구를 선호하고 있다.
연구자가 스스로 셀프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은 행동중심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의 세 가지 하위개념으로 구성되며 이들 간의 상호보완적 전략을 통해 발휘하는 셀프리더십 수준은 개인의 태도와 행동, 그리고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3]. 연구분야는 타 직종에 비해 조직내 상하 관계가 엄격하지 않고 상사의 지시나 명령에 의하여 연구를 수행하기 보다는 연구자 스스로 본인의 업무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연구자가 스스로 셀프리더십을 발휘하여 연구한다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높여 연구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조직의 목표달성과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H. Park, W. C. Kim, "The Effects of Self Efficacy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R&D Researchers on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 Learning, Vol. 13, No. 1, 2018. DOI: https://dx.doi.org/10.21329/khrd.2018.13.1.73 

  2. S. H. Nam,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Strategic Stance and Action for Achievement",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vol. 17, No. 4, pp. 1-20, 2017. 

  3. G. E. Prussia, J. S. Anderson, , C. C. Manz,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avior, 19(5), 523-538, 1988. 

  4. H. J, Won, "A Review of Research on Self-leadership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3, pp. 382-393, 2013. DOI: https://dx.doi.org/10.11111/jkana.2013.19.3.382 

  5. Doopedia,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81203001597587 

  6. J. D. Houghton, C. P. Neck,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17 No. 8, pp. 672-691, 2002. DOI: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7. S.H, Nam, J.O, Cheong, "The Effect of Self-eficacy and Job-satisfaction on Members Innovation-behavior and Performance",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vol.16, no.4, pp. 27-55, 2017 

  8. A. Bandura, "Self- 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pp. 191-215, 1977. DOI: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9. Doopedia,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60726001533633 

  10. M. E. Gist, T. R. Mitchell, "Self-Efficacy: A Theoretical 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7, No. 2, 1992. DOI:https://doi.org/10.5465/amr.1992.4279530 

  11. J. S. Song,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Vol. 15, No. 1, pp. 189-209, 2008. 

  12. M. Sherer, J. E. Maddux,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 51, Issue 2, 1982. DOI: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3. E. A. Locke, "What i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ume 4, Issue 4, 1969. DOI: https://dx.doi.org/10.1016/0030-5073(69)90013-0 

  14. F. Herzberg, B. Mausner, "The motivation to work", New Brunswick and London, 2017. 

  15. B. S. Le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non-commissioned officers to job-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ing on the mediator effect of self-efficacy", Ph.D., Keimyung University, pp. 49, 2017. 

  16. R. P. Tett,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46(2), 259-293. 1993. DOI: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3.tb00874.x 

  17. W. C. Borman, S. M. Motowidlo, "Expanding the Criterion Domain to Include Elements of Contextual Performance",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s, p. 71-98, 1993. 

  18. L. W. Porter, E. Lawler, "Management attitudes and performance", Homewood, IL: Dorsey Press, 1968. 

  19. N. F. Piercy, D. W. Gravens, "Sales force performance and behavior based management pressures in business-to-business sales organiz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2, 79-100. 1988. 

  20. U. S. An, J. C. Oh,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e-business introduction and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4(3), 135-154, 2003. 

  21. S. H. Kim, H. S. Shin, "Effects Of Hotel's Stable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Perceived By Its Staff Upon Organizational Achievement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14(2), 215-229(15 pages), 2002. 

  22.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1986. 

  23.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 Vol. 13, pp. 290-312 DOI:https://doi.org/10.2307/270723 

  24.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Multivariate data analysis(Vol. 6)",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06. 

  25. Y. H. Choi, C. S. Jung,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I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604-461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604 

  26.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2006. 

  27. S. M. Kwon, M. S. Kwon, "Effect of Nurse's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Job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4 pp. 284-292,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4.2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