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 셀프리더십,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inical Nurses's Basic Psychological Need, Self-Leadership and Job Stress on Nursing Performa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8, 2016년, pp.343 - 353  

조영문 (동신대학교 한의과 대학 간호학과) ,  최명심 (포항세명기독병원 간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 셀프리더십,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다. 연구대상자는 2016년 2월부터 2016년 3월까지 P시와 D도에 소재한 3차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160명을 할당표집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프로그램으로 t-test와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업무성과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결혼여부, 임상경력, 직위, 근무형태에 따라, 셀프리더십은 연령, 결혼여부, 종교, 임상경력, 직위와 근무위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는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업무성과는 기본심리욕구(r=.59, p<.001), 자율성(r=.31, p<.001), 유능감(r=.68, p<.001), 관계성(r=.48, p<.001, 셀프리더십(r=.58, p<.001) 및 직무스트레스(r=.19, p<.05)와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간호업무성과에 대하여 기본심리욕구(${\beta}$=.43), 셀프리더십(${\beta}$=.33), 직무스트레스(${\beta}$=.21)은 47.3%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기본심리욕구, 셀프리더십,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 향상을 위한 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와 셀프리더십을 증가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variables predicting of nursing performance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 self-leadership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60 clinical nurses, located in P city and D province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Feb to March, 2016 by questio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기본심리욕구, 셀프리더십,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기본심리욕구, 셀프리더십,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는 연구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 셀프리더십,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기본심리욕구, 셀프리더십,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들의 설명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업무성과를 증진하여, 간호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만족도 및 질적 의료제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의 증가와 첨단 의료장비 개발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중증환자가 증가하면서 환자만족도 및 질적 의료제공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또한 의료기관들은 의료기술의 혁신과 병원조직의 구조개편, 수요자 중심 의료에 대한 가치가 확산되는 가운데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의료기관 간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간호업무성과란? 간호업무성과는 간호사에 의해 제공된 간호과정과 간호행위의 효율성 및 효과성으로, 간호사 개인의 간호성과를 직접 반영하며, 간호조직이 목표를 능률적으로 수행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자료이다[2,3]. 그러므로 간호 업무성과는 간호부서의 생산성 향상과 전체 간호의 양적 질적 발전을 위한 주요과제이다.
다른 전문직에 비해 간호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경쟁적인 의료 환경과 건강에 대한 개념의 변화 및 간호 대상자별 전문화된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의료기관들은 질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한 병원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간호사들에게 더욱 친절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강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전문직에 비하여 간호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G. A. Seomun, S. O. Chang, K. H. Cho, I. A. Kim, S. J. Lee,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2, No. 1, pp. 151-158, 2006. 

  2. J. S. Kang, S. J. Kim. W. J. Kim, “The autonomy, nursing performance based o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EMR system for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9, pp. 6061-6070, 2015. 

  3. N. Y. Yang, J. S. Chol, “Relationships of nurses' perception, nursing performance, job stress, and burnout in relation to the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hospital accreditation,”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0, No. 1, pp. 1-9, 2014. 

  4. S. M. Wi, Y. J. Yi,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8, No. 3, pp. 310-319, 2012. 

  5. Deci E. L., Ryan R. M., "Avoiding death or engaging life as accounts of meaning and culture, Psychological Bulletin," May:130(3), pp. 473-477, 2004. 

  6. S. O. Heo,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2013. 

  7. Y. M. Cho, “The Influence of Autonomy, Competency, Relatedness on Burnout among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6, pp. 491-500, 2014. 

  8. M. S. Chung,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moderating effects of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6, No. 3, pp. 121-138, 2015. 

  9. A. L. Ha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2015. 

  10. Hancock, D.,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orientation on motivation and achieveme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97, No. 3, pp. 159-166, 2004. 

  11. Neck C. P., Houghton J. D.,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21, No. 4, pp. 270-295, 2006. 

  12. K. B. Shin,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of Service Employee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17, No. 1, pp. 91-104, 2010. 

  13. Jung-Heun Yo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Teamwork and Service Quality of Employees in Hotel Industr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14, No. 1, pp. 149-166, 2007. 

  14. Y. S. Kang, Y. J. Choi, D. L. Park, I. J. Kim,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6, No. 2, pp. 143-151, 2010. 

  15. Y. K. Ko, T. H. Lee, J. Y. Lim,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7, No. 3, pp. 286-294, 2007. 

  16. Ryan, R. M., & Deci, E. L,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 55, pp68-78, 2000. 

  17. M. H. Lee, A. Y. Kim,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2, No. 4, pp. 157-174, 2008. 

  18. Manz, C. C., “Improving performance through self-leadership,” National Productivity Review, Vol. 2, No. 3, pp. 288-297, 1983. 

  19. H. S. Kim,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the jobs Satisfaction at Middle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2003. 

  20. M. J. Kim, M. O. Gu,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e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14, No. 2, pp. 28-37, 1984. 

  21. E. J. Choi,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Nursing Performance among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2010. 

  22. S. I. Im, J. Park, H. S. Kim,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1, No. 3, pp. 274-282, 2012. 

  23. Y. S. Kim, Y. S. Eo, N. Y. Lee, "Effects of Head Nurses' Managerial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 Nurse Autonomy in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0 No. 4, pp. 437-445, 2014. 

  24. S. Min, Y. J. Jeong, H. S. Kim, S. Y. Ha, Y. J. Ha, E. A. Kim,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Work Performanc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5, No. 3, pp. 355-364, 2009. 

  25. S. Y. Kang, “The Experiences of Job Stress on Head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7, No. 4, pp. 501-509, 2007. 

  26. J. W. Hwang, K. M. Park, “The impacts of job competency,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performance: Focused on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 pp. 193-207, 2014. 

  27. S. K. Kwon, S. H. Oh, B. I. Choi, "Job Characteristics, Autonomous Motivation, and Positive Affect,"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Vol. 2014, No. 1. pp. 321-339, 2014. 

  28. Gagne, M., & Deci, E. L.,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6, No. 4, pp. 331-362, 2005. 

  29. J. M. Yoon, D. H. Ahn,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self-leadership among adults,”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Vol. 14, No. 1, pp. 195-219, 2011. 

  30. Yun, S., Cox, J. & Sims Jr, H. P., “The forgotten follower: A contingency model of leadership and followe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21, No. 4, pp. 374-388, 2006. 

  31. S. K. Lee, D. J. Lee , J. M. Bae, S. W. Le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to technology innovation: Mediat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9, No. 6, pp. 277-293, 2011. 

  32. M. S. Chung,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Moderating Effects of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 Journal of Counselling, Vol. 16, No. 3, pp. 121-138, 2015. 

  33. Carmeil, A., Meitar, R., & Weisberg, J., “Self leadership skill and innovative behavior at 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Vol. 27, No. 1, pp. 75-9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