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 디스크 환자에게 그라스톤을 이용한 기계적 자극 시 동일 척수 분절의 통증 유발점 압통 역치 및 근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chanical Stimulation using Graston on Changing Trigger Point Pressure Pain Threshold and Muscle Tone of the Same Spinal Segment in Neck Disk Pati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0, 2019년, pp.198 - 205  

김도형 (여주대학교 의료재활과학과) ,  이병희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목 디스크 환자에게 기계적 자극을 적용하여 피부 감각의 변화를 유도하고 동일한 척수분절의 통증 역치와 근 긴장도 전-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목 디스크 질환을 가지고 있는 남성 10명, 여성 20명으로 구성된 대상자를 총 30명 선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계적 자극 그룹은 Graston 장비를 이용하여 5분간 피부 감각 변화를 유도하였고, 대조군은 아무런 조치를 받지 않았다. 피부 감각 변화는 Von Frey filament를 통해 검사를 진행하였고, 압통 역치의 변화는 압통 역치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였고, 근 긴장도의 변화는 Myotone pr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계적 자극 적용 시 피부 감각의 역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동일한 척수 분절의 신경 지배를 받는 오른쪽 가시아래근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오른쪽 등세모근의 압통 역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하지만 다른 근육들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피부 감각, 압통 역치, 근 긴장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기계적 자극에 의해 유도된 피부 감각 변화는 동일 척수 분절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의 변화시켰다. 따라서 동일 척수 분절에 대한 기계적 자극의 적용을 통해 목 디스크 환자의 압통 역치, 근 긴장도의 증가와 통증 조절을 위한 새로운 재활 방법으로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cutaneous sensory (CS) changes induced by mechanical intervention(MI) increases the trigger point threshold and muscle tone of the same spinal segment to neck disc patients. Thirty persons with Neck disc patients were recruited in this experiment. Th...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동작의 운동범위를 확대시켜주며 급성상태에서 만성화되는 근육의 병변의 전환을 줄여준다[8]. 그라스톤을 통한 기계적 자극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통증과 근육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감각검사, 압통 역치 검사, 근긴장도 검사를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계적 자극 적용 시 척추 분절 C5의 피부 감각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척추 분절 근육의 압통 역치 변화 및 근 긴장도 변화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 기계적 자극 후 평가자는 대상자의 중재 적용 여부를 모르는 상태로 사전에 검사를 시행한 부위에 실험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각 검사, 압통 역치 검사, 근 긴장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모든 대상자에게 실험의 내용을 충분히 인식시키고 실험하였으며 대상자의 자발적 동의를 얻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목 디스크의 주요 원인인 근막 통증 유발점의 활동성을 제한하고 통증 조절을 위한 재활 방법의 발견을 위해 시작하였다. 척수 분절의 민감화가 동일 척수 분절의 근육에 영향을 준다면 반대로 기계적 자극을 통한 척수 분절의 둔감화를 통해 동일한 척수 분절의 통증 조절의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척수 분절의 민감화가 동일 척수 분절의 근육에 영향을 준다면 반대로 기계적 자극을 통한 척수 분절의 둔감화를 통해 동일한 척수 분절의 통증 조절의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라스톤 장비를 이용한 기계적 자극을 통하여 피부 감각의 둔감화가 진행되었을 때 동일한 척수 분절의 근육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의 변화를 확인하여 새로운 재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목 디스크의 주요 원인인 근막 통증 유발점의 활동성을 제한하고 통증 조절을 위한 재활 방법의 발견을 위해 시작하였다. 척수 분절의 민감화가 동일 척수 분절의 근육에 영향을 준다면 반대로 기계적 자극을 통한 척수 분절의 둔감화를 통해 동일한 척수 분절의 통증 조절의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라스톤 장비를 이용한 기계적 자극을 통하여 피부 감각의 둔감화가 진행되었을 때 동일한 척수 분절의 근육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의 변화를 확인하여 새로운 재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 디스크란 무엇인가? 목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퇴행성 변화에 기인한 목의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이다[1]. 목 디스크 때문인 통증은 턱관절, 근육, 디스크 및 압축 신경뿌리, 인대 등의 문제가 주된 요인이며, 통증 부위도 원인이 제공되는 부위와 유사한 경우가 많다[2].
통증 유발점의 활동성을 감소시키려는 방법 중 기계적 자극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통증 유발점의 활동성을 감소시키려는 방법으로는 근육 내 통각 수용기의 반응에 민감한 압박, 스트레칭, 문지르기 등 기계적 자극이 효과적이다[6]. 기계적 자극의 적용은 세포 밖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며, 성장 요인 및 섬유아세포의 재생에 관여하여 근육의 탄력성에 영향을 준다[7]. 기계적 자극의 효과는 내인성 통각 기전을 확인할 수 있는 압통 역치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근육의 경도 및 긴장도 검사를 통해 근육의 재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그라스톤 (Grafton)을 이용한 재활 방법은 이러한 기계적 자극의 장점을 이용하여 근막 통증 유발점의 활동성을 감소시키고 통증 조절에서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졌다 [8][9].
근막 통증 유발점의 발생 이유는 무엇이 있는가? 목 디스크의 원인 중 하나인 근막 통증 유발점 (MTrPs: Myofascial triffet point)은 목 디스크와 동시에 발현된 비율이 66%에 이르고 있으며, 상부 목 디스크의 경우 머리의 근막 통증 유발점에서부터 통증이 발생하고 하부 목 디스크는 가슴 벽, 어깨 복합체, 위 팔의 근막 통증 유발점에서 통증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2]. 근막 통증 유발점은 근육의 경도, 근 긴장도, 생화학적 기전의 내인성 통각과 연관이 있으며, 근육의 경련, 물렁 조직의 손상 때문인 합성 및 침전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4][5]. 따라서 근막 통증 유발점을 줄이기 위해서는 통증 유발점의 메커니즘을 찾아내어 활동성을 낮추는 재활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 Peng and N. Bogduk, "Cervical discs as a source of neck pain. An analysis of the evidence," Pain Medicine, Vol.20, No.3, pp.446-455, 2019. 

  2. G. Ozturk, D. G. Kulcu, I. Aktas, and E. Aydog, "Coexistence of miyofascial trigger points and cervical disc herniation: Which one is the main source of pain," Turk. J. Osteoporos, Vol.22, pp.24-28, 2016. 

  3. J. S. Hogg, G. velde, L. J. Carroll, L. W. Holm, J. D. Cassidy, and J Guzman, "The burden and determinants of neck pain in the general population: results of the bone and joint decade 2000-2010 task force on neck pain and its associated disorders," J. Manipulative Physol Ther, Vol.32, pp.46-60, 2009. 

  4. M. Pappagallo, "Aggressive pharmacologic treatment of pain," Rheum. Dis. Clin. North Am, Vol.25, pp.193-213, 1999. 

  5. I. J. Russell, "Neurochemical pathogenesis of fibromyalgia syndrome," J. Musculoskelet Pain, Vol.4, pp.61-92, 1996. 

  6. A. H. Wheeler, "Myofascial pain disorders: theory to therapy," Drugs, Vol.64, pp.45-62, 2004. 

  7. W. I. Hammer, "The effect of mechanical load on degenerated soft tissue," J. Bodyw Mov Ther, Vol.12, pp.246-256, 2008. 

  8. J. Burke, D. J. Buchberger, M. T. Carey Loghmani, P. E. Dougherty, D. S. Greco, and J. D. Dishman, "A pilot study comparing two manual therapy interventions for carpal tunnel syndrome," J. Manipulative Physio Therapy, Vol.30, pp.50-61, 2007. 

  9. T. J. Solecki and E. M. Herbst, "Chiroparatic management of a post operative comple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using a multimodal approach: a case report," J. Chiropro Med, Vol.10, pp.47-53, 2011. 

  10. S. Mense, "Hoe do muscle lesion such as latent and active trigger points influence central nociceptive neurons?," J. Musculoskelet Pain, Vol.18, pp.348-353, 2010. 

  11. J. Z. Srbely, J. P. Dickey, L. R. Bent, D. Lee, and M. Lowerison, "Capsaicin-induced central sensitization evokes segmental increases in trigger point sensitivity in humans," J. Pain, Vol.11, pp.636-643, 2010. 

  12. K. Cuypers, O. Levin, H. Thijs, S. P. Swinnen, and R. L. Meesen, "Longterm TENS tretment improves tactile sensitivity in MS patients,"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24, pp.420-427, 2010. 

  13. A. B. Cristina, F. P. Cesar, M. C. Matilde, Z. M. Pedro, G. H. You, and F. G. Mariano, "Multiple active myofascial trigger points reproduce the overall spontaneous pain pattern in women with fibromyalgia and are related to widespread mechanical hypersensitivity," Clinical J. Pain, Vol.27, pp.405-413, 2011. 

  14. R. Viir, K. Laiho, J. Krmarenka, and M. Mikkelsson, "Repeatability of trapezius muscle tone assessment by a myometric method," J. Mechanics in Medicine and Biology, Vol.6, No.2, pp.215-228, 2006. 

  15. S. Schneider, A. Peipsi, M. Stokes, A. Knicker, and V. Abeln, "Feasibility of monitoring muscle health in microgravity environments using myotone technology," Med & bio engineering & computing, Vol.53, pp.57-66, 2015. 

  16. E. C. Yap, "Myofasical pain-an overview," Ann Acad Med Singapore, Vol.36, pp.43-48, 2007. 

  17. M. R. Saez, F. P. Cesar, C. R. Blanco, R. M. Segura, and R. G. Leon, "Changes in pressure pain sensitivity in latent myofascial trigger points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after cervical spine manipulation in pain-free subject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Vol.30, pp.578-583, 2007. 

  18. G. Leonard, P. Goffaux, and S. Marchand, "Deciphering the role of endogenous opioids in high-frequency TENS using low and high doses of naloxone," Pain, Vol.151, pp.215-219, 2010. 

  19. 김혜연, 김소연, 이해정, "요통경험 유무에 따른 초음파 영상에서 측정된 근육크기와 근지구력 시간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235-243, 2011. 

  20. N. A. Roussel, J. Nijs, M. Meeus, V. Mylius, C. Fayt, and R. Oostendorp, "Central sensitization and altered central pain porcessing in chronic low back pain: fact or myth?," Clin J. Pain, Vol.29, pp.625-638, 2013. 

  21. A. Latremoliere and C. J. Woolf, "Central sensitization: a generator of pain hypersensitivity by central neural plasticity," J. Pain, Vol.10, pp.895-92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