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배우로서의 리얼리티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일반인 참여자: <윤식당2>를 중심으로
The Non-fiction Participants in the Reality Observational Entertainment Program as Social Actors: Focusing on Youn's Kitchen Season 2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0, 2019년, pp.274 - 289  

류재형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리얼리티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일반인 참여자에 대해 사회적 배우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사회적 배우와 공연의 개념, 그리고 사회적 배우의 공연이 어떻게 스크린 위에 형상화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고, <윤식당2>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 연구 결과, <윤식당2>의 일반인 참여자(손님)들은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서 카메라의 존재를 의식하며 일상을 수행하는 사회적 배우로 기능하였다. 그 공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사회적 관계는 복잡해지고 그가 공연하는 배역의 수 또한 증가하였다. 사회적 배우의 일상적 공연은 카메라를 비롯한 다양한 영화적 장치에 의해 선택되어졌으며 재현적 공연과 표현적 공연이 공존하는 혼종적 양식이라는 특정한 골격 내에서 수행되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gard the non-fiction participants in the reality observational entertainment program as social actors. For this, the study has examined the concepts of social actor and performance, understood how the performances of social actors are projected onto the screen,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왜 사회적 배우에게 자의식(self-consciousness)을 극복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인가? 이러한 사회적 배우의 공연과 관련하여, 워(Waugh)는 다큐멘터리 영화 Power and Land (1940)의 감독 요리스 이벤스(Joris Ivens)의 에세이 “Collaboration in Documentary”를 인용하면서, 사회적 배우가 가진 가장 큰 문제는 자의식(self-consciousness)을 극복하는 것이라 주장한다. 동일한 제작진과 몇 달을 일하다 보면 사회적 배우들은 점점 스스로를 배우로 인식하게 된다는것이다[4]. 즉 카메라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스스로를 전문 배우로 인식하는 경향이 생기면서 오히려 전문배우를 흉내 내듯 부자연스러운 연기를 하려 한다는 것으로, 카메라 앞에 인물이 등장하는 순간 그는 사회적 배우가 되고 카메라 앞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스스로를 전문 배우로 인식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주장한 다. 이희은에 의하면,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는 1971년 5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미국의 평범한 라우드(Loud)씨 가족의 일상을 연대기적으로 촬영, 편집 하여 방영한 미국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An American Family에 대해 “정말 카메라가 없는 듯 촬영 했다는 제작진의 주장은 사실 ‘정말 카메라가 그 곳에 있는 것처럼’이라는 말과 동일한 의미”라고 지적한다[5].
사회적 배우란 무엇인가? 다큐멘터리 영화에 있어서 등장인물은 카메라가 존재하고 있음을 무시하는 듯 의식하면서 개인적 일상을 수행한다. 니콜스는 이들을 사회적 배우라 부르는데 그에 의하면 사회적 배우는 “연극적 의미에서의 연기자라기 보다는 문화적 맥락에서의 역할 수행자”에 가깝다. 즉, 사회적 배우는 연극이나 영화에서와 같이 대사와 지문이 주어지지는 않으나 일상적인 상황 하에서 스스로의 생각과 행위를 카메라 앞에서 공연하는 비전문 배우를 말하는데, 이러한 비전문 배우의 공연은 전문 배우가 대사와 지문에 근거한 연기를 통해 재현하는 감동과 유사한 정도의 그것을 일상에 대한 진솔한 공연을 통해 생산해낼 때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3].
사회적 배우가 가진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사회적 배우의 공연과 관련하여, 워(Waugh)는 다큐멘터리 영화 Power and Land (1940)의 감독 요리스 이벤스(Joris Ivens)의 에세이 “Collaboration in Documentary”를 인용하면서, 사회적 배우가 가진 가장 큰 문제는 자의식(self-consciousness)을 극복하는 것이라 주장한다. 동일한 제작진과 몇 달을 일하다 보면 사회적 배우들은 점점 스스로를 배우로 인식하게 된다는것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영도, 장하용, "채널의 증가에 따른 TV 프로그램의 유사화에 관한 연구: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과 소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4호, p.24, 2018. 

  2. T. Waugh, ""Acting to Play Oneself": Notes on Performance in Documentary," C. Zucker (ed.), Making Visible The Invisible: an Anthology of Original Essays on Film Acting, Metuchen, N. J. & London: The Scarecrow Press, p.87, 1990. 재인용 

  3. 빌 니콜스, 다큐멘터리 입문 , 이선화 역, 한울, 2005. 

  4. T. Waugh, ""Acting to Play Oneself": Notes on Performance in Documentary," C. Zucker (ed.), Making Visible The Invisible: an Anthology of Original Essays on Film Acting, Metuchen, N. J. & London: The Scarecrow Press, p.66, 1990. 

  5. 이희은, "관찰 혹은 자발적 감시: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신자유주의 감시 사회의 정경,"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2호, p.224, 2014. 재인용 

  6. B. Nichols, "The Voice of Documentary," Film Quarterly, Vol.36, No.3, p.18, 1983. 

  7. W. Sharrock and G. Button, "The social actor: social action in real time," B. Graham (ed.), Ethnomethodology and the Human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43, 1991. 

  8. http://nonficpic.blogspot.com/2014/ 05/the-square-and-social-actors.html?viewflipcard. 2019.8.29. 

  9. B. Nichols, Representing Reality: Issues and Concepts in Documentary, Indiana University Press, p.42, 1991. 

  10. 어빙 고프먼, 진수미 역, 자아 연출의 사회학: 일상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기하는가, 현암사, p.27, 2016. 

  11. 어빙 고프먼, 진수미 역, 자아 연출의 사회학: 일상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기하는가, 현암사, p.29, 2016. 

  12. 어빙 고프먼, 진수미 역, 자아 연출의 사회학: 일상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기하는가, 현암사, p.34, 2016. 

  13. 어빙 고프먼, 진수미 역, 자아 연출의 사회학: 일상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기하는가, 현암사, pp.36-37, 2016. 

  14. 어빙 고프먼, 진수미 역, 자아 연출의 사회학: 일상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기하는가, 현암사, p.146, 2016. 

  15. E. Marquis, "Conceptualizing documentary performance," Studies in Documentary Film, Vol.7, Issue.1, p.46, 2013. 

  16. E. Marquis, "Conceptualizing documentary performance," Studies in Documentary Film, Vol.7, Issue.1, pp.47-48, 2013. 

  17. E. Marquis, "Conceptualizing documentary performance," Studies in Documentary Film, Vol.7, Issue.1, p.50, 2013. 

  18. 임의택, 최은경, "리얼리티 프로그램 자막에 관한 연구 - 와 을 중심으로," 글로컬 창의문화연구, 제5권, 제1호, p.115, 2016. 

  19. E. Marquis, "Conceptualizing documentary performance," Studies in Documentary Film, Vol.7, Issue.1, p.51, 2013. 

  20. T. Waugh, ""Acting to Play Oneself": Notes on Performance in Documentary," C. Zucker (ed.), Making Visible The Invisible: an Anthology of Original Essays on Film Acting, Metuchen, N. J. & London: The Scarecrow Press, p.68, 1990. 

  21. T. Waugh, ""Acting to Play Oneself": Notes on Performance in Documentary," C. Zucker (ed.), Making Visible The Invisible: an Anthology of Original Essays on Film Acting, Metuchen, N. J. & London: The Scarecrow Press, p.76, 1990. 

  22. T. Waugh, ""Acting to Play Oneself": Notes on Performance in Documentary," C. Zucker (ed.), Making Visible The Invisible: an Anthology of Original Essays on Film Acting, Metuchen, N. J. & London: The Scarecrow Press, p.68, 1990. 

  23. T. Waugh, ""Acting to Play Oneself": Notes on Performance in Documentary," C. Zucker (ed.), Making Visible The Invisible: an Anthology of Original Essays on Film Acting, Metuchen, N. J. & London: The Scarecrow Press, p.75, 1990. 

  24. 진은경, 안상원, "식당을 매개로 한 한일 영상텍스트 연구 - 과 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569,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