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이 만족도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F1963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on Satisfaction Levels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F1963 as a Subjec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0, 2019년, pp.341 - 352  

이찬민 (동아대학교 미술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역적으로 문화 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문화예술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 또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에 소재하는 F1963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식, 브랜드 품질에 대한 자각, 충성도 4가지 브랜드 자산 요인이 고객의 만족도와 지역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이 매개 효과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이용객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이 있었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지역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나타났다. 이용객들이 복합문화공간에서 얻은 만족감은 복합문화공간 자체가 가지는 브랜드 자산이 지역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 효과를 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복합문화공간이 지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면서 지역사회 및 지자체에서는 문화예술 활동의 다양성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화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cultural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the interest in the space where culture and arts can be provided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F1963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nd asset factors of brand 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면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라 볼 수 있다. 기존에 진행된 연구는 지역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 확인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자산과 지역발전에 고객 만족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이다. 고객만 족이 높을수록 복합문화공간의 이용이 높아지고, 이는 복합문화공간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방문하게 됨으로써 지역의 경제적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인 복합문화공간의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복합문화공간이 지역에 조성되어 복합문화공간의 이용 만족감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복합문화공간이 지역에서의 역할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지역민이 복합문화 공간 이용에서 나아가 문화예술을 향유함으로써 지역의 애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속 복합문화공간의 가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즉 일반적인 상품의 소비와 함께 문화라는 서비스를 즐기면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복합문화공간을 통해 이용객들은 다양한 만족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본 연구에서는 이용객의 다각적인 만족도를 요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만을 이용한 만족도 분석이 많이 없는 실정이다.
  • 문화공간이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지만, 복합문화공간으로 인한 역학이나 만족도, 지역의 발전과 대중의 삶과 밀접한 요소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의 이용에 따른 지역민들의 복합문화공간 만족도를 통해 해당 지역사회의 중요한 요소인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F1963으로 선정하였다.
  • F1963의 순기능들이 발현되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민들의 참여와 지역사회 안에서 복합문화공간의 우호적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의 화두인 F1963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F1963의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복합문화공간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만족도가 지역사회의 중요요소인 지역발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단위로 지역적인 개념을 살펴보고, 정책의 목표, 수단 차원에서 지역발전의 의미를 고찰해볼 것이다.
  • 문화를 통하여 지역의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활성화를 이루어 지역민의 문화적 함양증진은 물론 지역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관광객 유치, 고용창출, 지역민의 유대감 및 정서적 안정감 형성 등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1]. 특히 전시, 공연 등의 문화적 요소들이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집약되어 있는 복합문화공간의 경우 과거와 현재, 미래의 문화를 통하여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공공의 문화적 함양 증진 및 지역 문화생태계의 발전과 함께 문화예술의 지역적 외부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복합문화공간의 지역사회에 대하 사회적 영향관계 및 지역적 가치를 가늠할 기초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질 것이다.
  •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과 고객만족도, 지역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계획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겪고 있는 문제점 중에 하나가 인구 감소에 대한 문제이며, 이러한 인구 감소 문제는 지역의 발전이 더뎌지거나 심각하게는 소멸될 수 있는 문제점까지 안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타계하고자 문화와 예술, 관광 요소를 접목한 ‘복합문화공간 또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을 발빠르게 구축하여 지역 내외부의 인구 유입 또는 활발한 인구 유동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노력이 돋보이고 있다.
  •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브랜드 자산이 고객 만족과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부산 소재의 F1963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이 고객들의 만족도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 복합문화공간이 가진 브랜드 인지도, 품질,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각이 공간 자체에 대한 충성도와 만족을 넘어 지역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을 인지, 이미지, 지각된 품질, 충성도로 분류하여 측정하고 이 요인들이 지역 발전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친숙성을 형성 하여 특정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와 선택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복합문화공간의 범주에 속한 F1963을 회상(recall)하거나 재인식(recognition)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14].
  •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 공간의 브랜드 자산이 고객만족과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이보순 외(2014)[25] 의 연구에서는 브랜드 자산을 브랜드의 인지도, 이미지, 품질로 나누어 소비자의 만족도와 관계를 검증한 결과 브랜드의 이미지, 품질, 인지도 순으로 소비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역 발전을 ‘지역의 다양한 자원 들을 활용해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관광적 발전을 도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지역 축제가 아닌 지역에 건립된 복합문화공간 또한 지역을 대표하는 자원으로 보고 이것이 지역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산업화와 정보화가 진행되면서 개개인의 라이프 스타일도 변하고 있고, 주 5일제 근무와 소득의 증가로 인해 여가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들은 다양한 여가활동과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일상 속의 특별한 경험을 추구하고자 한다. 문화예술은 대중들에게 특정 계층만의 전유물이 아닌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여가 생활의 한 종류로 자리 잡고 있다.
  • F1963의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복합문화공간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만족도가 지역사회의 중요요소인 지역발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인 복합문화공간의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복합문화공간이 지역에 조성되어 복합문화공간의 이용 만족감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복합문화공간이 지역에서의 역할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지역민이 복합문화 공간 이용에서 나아가 문화예술을 향유함으로써 지역의 애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속 복합문화공간의 가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H1 :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고객만족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지역 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복합문화공간의 만족도는 브랜드 자산과 지역발전 사이를 매개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객이 느끼는 매력이나 편익을 기업은 어떻게 사용하는가? 즉 기업에서 자신들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경쟁사와 구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은 이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 친근감을 느끼며, 이것을 브랜드 자산 (Brand Asset)라 한다[13]. 브랜드 자산은 소비자들이 느끼는 브랜드 인지, 연상과 같은 것으로, 이는 브랜드에 대한 지식으로 이어지고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14].
고객만족(customer satisfation)이란 무엇인가? 고객만족(customer satisfation)이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주관적인 감정 상태를 말한다 [17]. 여기서 만족은 개인이 느끼는 심리적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기대치에 부합하는 정도에 따라 달리 표현된다.
복합문화공간은 도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복합문화공간은 지역의 공동체 형성의 장을 마련하고 도시환경 이미지를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지역 발전과 동시에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국내외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즉 복합문화공간은 건립 환경 속에서 사회적인 차원, 문화적 차원, 경제적 차원, 환경적 차원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박인영, 복합문화예술공간의 브랜드자산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심재춘, "복합문화시설의 입지결정요소 조사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1권, 제10호, pp.105-112, 2005. 

  3. 이새롬, 복합문화공간 활성화 전략 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 변정아, 복합문화공간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브랜드 전략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 김제중, "복합문화공간의 통합브랜드 도입방안 연구-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제17권, 제2호, pp.30-49, 2014. 

  6. 강미나, 기업 복합문화공간 활성화를 위한 경험 디자인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7. 지경애, 지속가능한 복합문화공간을 위한 디자인경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8. 이경진, 매개 공간의 기능 강화를 위한 복합 문화공간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9. 서구원, 민형철,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선호도와 기업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 도시연구, 제9권, 제4호, pp.71-85, 2008. 

  10. 문유석, 복합문화공간의 예술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기관의 신뢰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1. 조윤정,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구성 및 공공 공간 프로 그램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2. B. Yoo and N. Donthu,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ultidimensional consumer-based brand equity scal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2, No.1, pp.1-14, 2001. 

  13. 백승희, 패스트푸드 기업의 브랜드 자산 구조 및 가치평가 : 한국 vs 필리핀 다국적 및 자생브랜드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4. D. A. Aaker,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38, No.3, pp.102-120, 1996. 

  15. K. L.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1, pp.1-22, 1993. 

  16. 김유리, 공연장 브랜드파워가 티켓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예술의 전당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7. J. R. Lotz and E. R. Morss, "A theory of tax level determinants for developing countries,"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Vol.18, No.3, pp.328-341, 1970. 

  18. 한승업, 김흥렬, 윤설민, 장윤정,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연구: 문화적 여가활동 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2권, 제3호, pp.323-339, 2007. 

  19. 권경환, 지역문화예술회관 이용객의 만족도 향상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0. H. Richardson, Regional Economics - Location Theory, Urban Structure and Regional Changes,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79. 

  21. J. Glasson, An introduction to regional planning: concepts, theory and practice, Hutchinson, 1978. 

  22. A. Markusen, Profit Cycles, Oligopoly, and Regional Development, Cambridge, Mass : MIT Press, 1995. 

  23. 김용웅, 차미숙, 강현수, 지역발전론, 한울, 2003. 

  24. 문승일, 윤동환, "브랜드 확장을 통한 지역축제 활성화 전략 : 청도 소싸움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제19권, 제1호, pp.3-14, 2007. 

  25. 이보순, 박기홍, "로컬푸드의 브랜드자산이 소비자 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완주 로컬푸드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7권, pp.367-393, 2014. 

  26. 김영규, 이시후, "호텔레스토랑의 브랜드자산이 고객만족과 신뢰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경제, 제42권, 제2호, pp.57-75, 2009. 

  27. 김창수, 전대희,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평가 비교분석 : 2005-2006년 무주반딧불축제를 중심 으로," 관광연구, 제22권, 제2호, pp.265-284, 2007. 

  28. 이흥재, 춘천인형극제의 지역경제, 사회문화적 효과, 서울 :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29. 최연희, 이희수,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 이미지, 서비스 품질의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행동의도간의 영향 관계 연구," 관광연구, 제28권, 제3호, pp.169-187, 2013. 

  30. 한진수, 현경석,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가치, 고객만족, 행동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대학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35-150, 2009. 

  31. 김준식, 지역발전이 지역정보화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2. 정은정, 지역축제 브랜드가치가 지역이미지와 지역발전성관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