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업의 환경요인을 통한 기술혁신이 Smart Factory 구축에 미치는 영향 연구 -흡수역량을 조절변수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actory through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Enterprise -Absorption Capacity as Moderating Variab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0, 2019년, pp.407 - 420  

진성옥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서영욱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업의 환경요인을 통한 기술혁신이 Smart Factory 구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Smart Factory를 구축할 때 내부환경이나 중점적으로 추진할 요인을 고려하고 구축하여 Smart Factory의 활용도와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Smart Factory를 구축한 기업의 관련 인원들에게 설문을 조사하여 SMART PLS로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기업 내부 조직 요인과 자기효능감은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술혁신은 Smart Factory 구축의 핵심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조절변수인 흡수역량은 기술혁신요인과 상호작용으로 Smart Factory 구축의 핵심요인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Smart Factory를 구축하려는 기업이 활용할 수 있으며, 실증분석을 통한 Smart Factory 구축연구에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environmental factors of an enterprise on the implementation of a Smart Factor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mprove the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Smart Factory by considering and implementing fact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업 내부의 조직과 개인의 환경요인 즉 조직요인과 자기효능감은 기술혁신요인(활용적 기술혁신과 탐험적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와 기술혁신요인은 Smart Factory 구축요인인 생산자동화와 운영·자원관리 시스템 그리고 제품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제변수인 고용 규모와 Smart Factory 수준은 얼마만큼의 통제 효과가 있는지와 또 조절변수인 흡수역량은 기술혁신 요인과 상호작용을 하여 Smart Factory 구축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 특히 진성옥·서영욱[3]의 연구는 중소기업을 대상 (n=130)으로 한 Smart Factory 구축연구였으나, 본 연구는 중소·중견기업과 대기업을 대상(n=311)으로 하였고,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기술의 중요성을 매개변수 (기술혁신 요인: 탐험적 기술혁신과 활용적 기술혁신) 로 활용하였으며, 흡수요인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흡수요인이 기술혁신과 상호작용하여 Smart Factory 구축의 핵심요인에 미치는 영향 치를 파악한 것 등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mart Factory를 구축할 때 해당 기업의 조직요인과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 그리고 기술적인 혁신요인과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발전시키는 흡수역량이 Smart Factory 구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mart Factory를 기초 수준 이상으로 구축한 업체에서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을 대상으로 그들이 구축 활동을 하면서 느끼고 고민하고, 개선해야 할 점이나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하는 것 등을 실증연구로 검증하는 즉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목표를 수립하고, 설문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설문(n=311개) 중 Smart Factory 기초 수준이 47.
  • 그러나 일부 기업에서는 Smart Factory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효율적인 Smart Factory를 구축하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정부에서 중점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Smart Factory 확대 구축을 어떻게 하면 기업에서 잘 활용하고, 기업의 경영성과에도 도움이 되는 Smart Factory 구축이 가능한지를 실증연구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그런데 기존 Smart Factory의 연구는 대부분 특정한 기술을 활용하여 Smart Factory를 구축하거나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의 공학적인 연구가 대부분이며, Smart Factory 구축의 실증연구는 부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 조직과 개인의 환경요인을 통한 기술혁신이 Smart Factory의 구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해 보려고 한다. [그림 2]와 같이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경로 분석과 연구모형의 설명력이 나타나 있다.
  • 그리고 본 연구는 개인 단위의 실증연구이다 보니 Level-issue가 존재하여, 통제변수인 ‘고용 규모’와 ‘Smart Factory 수준’을 사용하여 영향 치를 파악하였다. 이후에는 Smart Factory가 더 많이 구축될 것이므로, 더 많은 기업과 개인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0: 흡수역량은 탐험적 기술혁신과 상호작용하여 제품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조직요인은 활용적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자기효능감은 활용적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조직요인은 탐험적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자기효능감은 탐험적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활용적 기술혁신은 생산자동화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칠 것이다.
  • H6: 활용적 기술혁신은 운영·자원관리 시스템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탐험적 기술혁신은 제품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흡수역량은 활용적 기술혁신과 상호 작용하여 생산자동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9: 흡수역량은 활용적 기술혁신과 상호 작용하여 운영·자원관리 시스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율적인 Smart Factory를 구축하는 방법은? 본 연구의 의의 및 이론적 시사점은, 중소·중견·대기업의 Smart Factory 구축에 관한 실증연구로, Smart Factory를 구축할 때 기업의 현재 수준이나 상황 등을 고려하지 않고 구축하는 것보다, 해당 기업의 내부적인 조직요인과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 그리고 기술혁신 역량과 흡수역량을 고려하면 효과적인 Smart Factory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Smart Factory를 구축하려는 기업에서 본 연구를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공식화된 규정이나 절차의 표준 정도가 높을수록 어떠한 특징을 보유하는가? 조직은 구조의 공식화가 필요한데 이것은 표준화를 의미하며, 이 표준화를 통하여 조직 구성원이 업무를 수행할 때, 스스로 판단하지 않고 공식화된 업무의 규정이나 절차대로 직무를 수행하면, 스스로 판단하여 수행할 업무가 줄어든다. 즉 공식화된 규정이나 절차 등 표준 정도가 높을수록 업무지침이나 방안이 상세하게 존재한다[5][6]. 그리고 기업이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할 때 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과 활용을 위하여 조직구조와 기업 내외부의 경영환경 그리고 과업특성과 같은 조직의 상황을 반영하고 이에 상응하는 최적화된 실행과 관리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중 조직요인으로는 업무 표준화, 의사결정 집중화, 그리고 정보시스템 성숙도로 구분 하였다[7].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을 처음으로 제시한 Bandura[8]는 인간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는 기존의 행동주의적 경향을 고수하면서도 인지적 관점에서 인간은 결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환경정보를 탐색, 수집하고 처리하는 능동적 존재로 인식하고 이러한 특정의 자신감(specific self confidence)을 자기효능감이라 정의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자신감과 도전정신 그리고 계획능력이 통합된 개념으로 자신의 역량 및 기술 수준에 대한 인지 및 판단을 바탕으로 자신이 보유한 자원을 활용하여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자신의 실행력에 대한 믿음 정도를 의미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중소벤처기업부,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으로 제조 강국 실현, 2018. 

  2. 최영환, 중소기업 스마트 팩토리 제조 운영 성숙도 측정을 위한 평가모델,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 진성옥, 서영욱, "중소기업의 환경요인과 흡수역량을 통한 Smart Factory 구축연구," 융합정보논문지, 제9권, 제7호, pp.67-77, 2019. 

  4. 국가기술표준원, KS_C_NEW_2016_3315, 2016. 

  5. S. P. Tobbins, Organization Theory: Structure Designs and Applications, Prentice-Hall International, Vol.67, 1990. 

  6. 이경호, "중앙행정기관의 조직특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제52권, 제1호, pp.1-34, 2014. 

  7. 최창혁, 중소기업의 MES(생산관리 시스템) 도입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8.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9. 정은정, 조경희, "감성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제40권, 제1호, pp.81-103, 2015. 

  10. N. Garcia-Sanchez and L. E. Perez-Bernal, "Determina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 in Implementating an ERP System: A Field Study in Mexican Enterprise," Information Technology for Development, Vol.13, No.3, pp.293-309, 2007. 

  11. 이종호, 주상호, "통합적 관점에서 ERP시스템과 기업 내부성과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논총, 제34집, pp.427-447, 2004. 

  12. 정철호, 정영수, "ERP 도입 시 변화관리 특성이 구현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제29권, 제1호, pp.177-205, 2010. 

  13. E. T. Wang and J. C. F. Tai,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Systems Planning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ntexts and Planning Systems Dimensions," Information & Management, Vol.40, No.4, pp.287-303, 2003. 

  14. 박창연, ERP 도입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5. F. O. Walumbwa, J. J. Lawler, B. J. Avolio, P. Wang, and K. Shi,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k-related attitudes: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ctive and self-efficacy across cultures," Journal of Leardership and Organizational Studies, Vol.11, No.3, pp.2-16, 2005. 

  16. 정준수,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혁신과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7. J. G. March,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 Science, Vol.2, No.1, pp.71-87, 1991. 

  18. M. J. Benner and M. L. Tushman, "Exploitation, exploration, and process management: The productivity dilemma revisite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8, No.2, pp.238-256, 2003. 

  19. G. Ahuja and C. M. Lampert, "Entrepreneurship in the large corporation: A longitudinal study of how established firms create breakthrough invention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2, No.6, pp.521-543, 2001. 

  20. 김흥복, 메카트로닉스 자동화 기술 개론, 서울: 월간 메탈넷코리아, 2007. 

  21. D. Zuehlke, "Smart Factory-Towards a Factory-of-Things," Annual Reviews in Control, Vol.34, No.1, pp.129-138, 2010. 

  22. 조용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내 스마트팩토리 추진전략," 정보과학회지, 제35권, 제6호, pp.40-48, 2017. 

  23. L. Rochford, "Generating and Screning New Product Idea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20, No.4, pp.287-296, 1991. 

  24. Z. L. He, P. K. Wong, and Poh-Kam, "Exploration vs. exploitation: An empirical test of ambidexterity," Organization Science, Vol.15, No.1, pp.481-494, 2004. 

  25. 유대원, 중소기업의 리더십과 정보기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적역량 및 기술 혁신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6. R. Katila and G. Ahuja, "Something old, something new: A longitudinal study of search behavior and new product introdu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5, No.6, pp.1183-1194, 2002. 

  27. J. J. Jansen, H. W. Volberda, and F. A. Van Den Bosch, "Exploratory innovation, exploitative innovation, and ambidexterity: The impact of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antecedents," Schmalenbach Business Review, Vol.57, No.1, pp.351-363, 2006. 

  28. W. M. Cohen and D. A. Levinthal,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5, No.1, pp.128-152, 1990. 

  29. S. A. Zahra and G. George, "Absorptive Capacity: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7, No.2, pp.185-203, 2002. 

  30. C. Lee, K. Lee. and J. M. Pennings, "Internal capabilities, external networks, and performance: a study on technology­based ventur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2, No.6, pp.615-640, 2001. 

  31. A. Datta, "Combining networks, ambidexterity and absorptive capacity to explain commercialization of innovations: a theoretical model from review and extension," Journal of Management & Strategy, Vol.2, No.4, pp.1-24, 2011. 

  32. 노종범, 강민형, "기술집약적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흡수역량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산업혁신연구, 제32권, 제1호, pp.31-71, 2016. 

  33. V. Groover and M. D. Goslar, "The Initiation,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ies in U.S. Organiz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Vol.10, No.1, pp.141-163, 1993. 

  34. T. H. Kwon and R. W. Zmud, Unifying the Fragmented Models of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ation, Critical Issues i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John Wiley and Sons Ltd., New York, 1987. 

  35. M. L. Riggs and P. A. Knight,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 Failure i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 A Casual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9, No.5, pp.755-766, 1994. 

  36. S. E. Fawcett and M. B. Myers, "Product and Employee Development in Advanced Manufacturing: Implementation and Impact," INT. J. PROD. RES, Vol.39, No.1, pp.65-79, 2001. 

  37. 전상봉, 공장자동화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38. 심상범, 유인석, "도요다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가 생산관리 목표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 연구, 제27권, 제3호, pp.109-122, 2009. 

  39. K. Mckinney, V. Yoon, and F. M. Zahedi, "The Measerment of Webcustomer Satisfaction: An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Approach,"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3, No.3, pp.296-315, 2002. 

  40. W. H. DeLone and E. R.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4, pp.9-30, 2003. 

  41. 이철승, 정철, 고일상, "기업지원 정보서비스의 품질과 조직특성 요인이 서비스 활용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pp.486-492, 2008. 

  42. C. Curtis and W. E. Lyn, "Balanced Scorecards for New Development," Journal of Cost Management, Vol.15, No.1, pp.39-51, 1997. 

  43. 이광수, 신제품 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요인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44. 이회선, 흡수역량이 기업 핵심역량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간접효과 검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5. J. F. Hairs, R. R.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4th ed. Prentice Hall, 1998. 

  46.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1, 1998. 

  47. R. F. Falk and N. B. Miler, A premier for soft modeling Akron. Ohio, The University of Akron, 1992. 

  48. J. Cohen,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Vol.112, No.1, pp.155-159, 1992. 

  49. N. Tzokas, Y. A. Kim, H. Akbar and H. Al-Dajani, "Absorptive capacity and performance: The role of customer relationship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in high-tech SME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47, No.1, pp.134-14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