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부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태안층의 퇴적시기와 기원지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of the Taean Formation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5, 2019년, pp.347 - 356  

최태진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박승익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육괴 서부에 분포하는 태안층의 독특한 쇄설성 저어콘 연대 분포가 알려진 이후 퇴적환경, 퇴적시기, 기원지, 변성사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논평에서는 그 동안 태안층에 대하여 이루어진 기존 연구들을 소개하고 퇴적시기 및 기원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태안층은 전통적으로 선캠브리아시대의 지층으로 알려졌으나, 근래 다수의 전기-중기 고생대 저어콘들이 발견된 이후 중부 혹은 상부 고생대 퇴적층으로 해석되고 있다. 태안층은 주로 석영운모로 구성된 변성사암, 이질편암, 천매암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원암은 심해선상지의 로브 환경에서 쌓인 저탁암으로 해석되었다. 태안층이 퇴적된 시기는 쇄설성 저어콘 연령과 관입암의 연령 차이를 통해 데본기-트라이아스기 사이로 알려져 있는데, 퇴적시기가 데본기에 가깝다는 견해와 페름기에 가깝다는 견해로 나뉜다. 태안층의 기원지는 남중국지괴나 중국의 충돌대, 또는 경기육괴로 추정되고 있다. 태안층과 기타 한반도 (변성)퇴적층의 쇄설성 저어콘 연대를 다룬 기존 연구들의 자료를 비교한 결과, 태안층은 연천층군이나 옥천누층군의 피반령 단위와 주요 기원암을 공유하되 기원지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태안층의 퇴적시기와 기원지에 대한 기존 가설들을 고려하면, 태안층을 페름기-전기 트라이아스기 사이에 퇴적된 것으로 해석한 모델이 비교적 합리적으로 보인다. 향후 태안층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기원지 규명을 위한 층서학 및 퇴적암석학적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studies regarding the sedimentary environment, depositional age, provenance, and metamorphic history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Taean Formation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gi Massif, since the unique detrital zircon age pattern was revealed. This review paper introduces the previous rese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저어콘의 연대 분포의 차이는 적어도 태안층이나 피반령 단위에는 중국 충돌대로부터의 퇴적물 공급 이외에 추가적인 기원지로부터 퇴적물이 공급되었음을 의미하며, 추가적인 기원지로부터의 퇴적물 공급 정도도 각기 다를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이들을 서로 대비 되는 퇴적층으로 여길 수 있는지 의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태안층의 퇴적시기에 대한 문제가 대두될 수있다.
  • 다음으로, 태안층이 경기육괴로부터 유래한 퇴적물일 가능성을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 최근 연구들에 의해 경기육괴에 고원생대 기반암만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신원생대 및 고생대 화성암체들이 분포하고 있다는 점이 알려졌다(e.
  • 본 논평에서는 한반도 고생대 지구조 진화의 핵심적인 정보를 가지는 태안층에 대한 그간의 연구 결과들을 소개한다. 이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 2017), 이에 따라 태안층이 연천층군 및 피반령 단위와 대비되는 지층이며 이들의 원암이 동시에 퇴적되었다는 견해들이 많다. 이 논평에서는 과연 이들의 피크 연대 이외에 저어콘 연령들의 구성비를 따져보고, 이들의 유사성을 통계적으로도 비교해 보고자 한다.
  • 본 논평에서는 한반도 고생대 지구조 진화의 핵심적인 정보를 가지는 태안층에 대한 그간의 연구 결과들을 소개한다. 이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a) a psammite composed mainly of quartz with minor mica. b) a phyllite showing quartz and mica with a preferred orientation. Left: PPL, Right: XPL.
  • 이러한 차이점을 토대로 태안층, 피반령 단위, 연천 층군이 서로 대비되는 퇴적층으로, 중국 충돌대로부터 퇴적물이 유래하여 세 지역 모두 데본기에 퇴적되었다는 가설을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 중국 충돌대의 융기로 인해 충돌대에 위치한 고생대 퇴적분지들로부터 퇴적물이 재동 또는 윤회되어 유래한다면 이미 퇴적물이 혼합되어 조성이 균질하게 되어있을 것이므로 중국으로부터 유래한 퇴적물의 쇄설성 저어콘 연대 분포는 거의 동일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안층의 구성은? 태안층은 전통적으로 선캠브리아시대의 지층으로 알려졌으나, 근래 다수의 전기-중기 고생대 저어콘들이 발견된 이후 중부 혹은 상부 고생대 퇴적층으로 해석되고 있다. 태안층은 주로 석영과 운모로 구성된 변성사암, 이질편암, 천매암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원암은 심해선상지의 로브 환경에서 쌓인 저탁암으로 해석되었다. 태안층이 퇴적된 시기는 쇄설성 저어콘 연령과 관입암의 연령 차이를 통해 데본기-트라이아스기 사이로 알려져 있는데, 퇴적시기가 데본기에 가깝다는 견해와 페름기에 가깝다는 견해로 나뉜다.
태안층이란? 이 논평에서는 그 동안 태안층에 대하여 이루어진 기존 연구들을 소개하고 퇴적시기 및 기원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태안층은 전통적으로 선캠브리아시대의 지층으로 알려졌으나, 근래 다수의 전기-중기 고생대 저어콘들이 발견된 이후 중부 혹은 상부 고생대 퇴적층으로 해석되고 있다. 태안층은 주로 석영과 운모로 구성된 변성사암, 이질편암, 천매암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원암은 심해선상지의 로브 환경에서 쌓인 저탁암으로 해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ang, T.W. and Lee, S.Y. (1982)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1:50,000 Seosan.Mohang Sheet.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30p. 

  2. Cho, D.-L. (2007) SHRIMP zircon dating of a low-grade meta-sandstone from the Taean Formation: provenance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KIGAM Bull., v.11, p.3-14. 

  3. Cho, M., Na, J. and Yi, K. (2010)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metasandstones of the Taean Formation,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Geosci, J., v.14, p.99-109. 

  4. Cho, M., Cheong, W., Ernst, W.G., Yi, K. and Kim, J. (2013)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central ogcheon foldthrust belt, Korea: Evidence for tectonic assembly of Paleozoic sedimentary protoliths. J. Asian Earth Sci., v.63, p.234-249. 

  5. Cho, M., Lee, Y., Kim, T., Cheong, W., Kim, Y. and Lee, S.R. (2017) Tectonic evolution of Precambrian basement massifs and an adjoining fold-and-thrust belt (Gyeonggi Marginal Belt), Korea: An overview. Geosci. J., v.21, p.845-865. 

  6. Choi, P.-Y. (2014)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Paleozoic strata. In Choi, S.J. (ed.), Technical Development of Tectonic Evolution and Geologic Information Construct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189-218. 

  7. Choi, P.-Y., Kihm, Y.H. and Chun, H.Y. (2016) Geological report of the Yeongheungdo, Pungdo, Gyeongnyeolbiyeoldo, Gungsido, Geoado and Naepasudo sheets.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75p. 

  8. Choi, P.-Y., Rhee, C.W., Lim, S.-B. and So, Y. (2008) Subdivision of the Upper Paleozoic Taean Formation in the Anmyeondo-Boryeong area, west Korea: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sedimentary organization and structural features. Geosci. J., v.12, p.373-384. 

  9. De Jong, K., Han, S., Ruffet, G. and Yi, K. (2014) First age constraints on the timing of metamorphism of the Taean Formation, Anmyeondo: concordant 233 Ma U-Pb titanite and 231-229 Ma $^{40}Ar/^{39}Ar$ muscovite ages. J. Geol. Soc. Korea, v.50, p.593-609. 

  10. Guynn, J. (2006) Comparison of detrital zircon age distributions using the K-S test.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10p. 

  11. Han, S., de Jong, K. and Yi, K. (2017) Detrital zircon ages in Korean mid-Paleozoic meta-sandstones (Imjingang Belt and Taean Formation): Constraints on tectonic and depositional setting, source regions and possible affinity with Chinese terranes. J. Asian Earth Sci., v.143, p.191-217. 

  12. Hu, B., Zhai, M., Li, T., Li, Z., Peng, P., Guo, J. and Kusky, T.M. (2012) Mesoproterozoic magmatic events in the eastern North China Craton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Geochronological evidence from detrital zircons in the Shandong Peninsula and North Korea. Gondwana Res., v.22, p.828-842. 

  13. Kee, W.-S., Koh, H.J., Kim, S.W., Kim, Y.B., Khim, Y.H., Kim, H.C., Park, S.-I., Song, K.Y., Lee, s.R., Lee, Y.S., Lee, H.J., Cho, D.r., Choi, b.Y., Choi, S.J., Hwang, J.H. (2011) Tectonic evolution of the upper crustal units in the mid-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42p. 

  14. Kim, D.H. and Hwang, J.H. (1982)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1:50,000 Daesan-Igog Sheet.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7p. 

  15. Kim, H.S., Hwang, M.-K., Ree, J.-H. and Yi, K. (2013) Tectonic linka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land Asia in the Cambrian: insights from U-Pb dating of detrital zircon. Earth Planet. Sc. Lett., v.368, p.204-218. 

  16. Kim, M.J., Park, J.-W., Lee, T.-H., Song, Y.-S. and Park, K.-H. (2016) LA-MC-ICPMS U-Pb ages of the detrital zircons from the Baengnyeong Group: Implications of the dominance of the Mesoproterozoic zircons. Econ. Environ. Geol., v.49, p.433-444. 

  17. Kim, S.W. and Kee, W.-S. (2015) Tectonic correlation of the Neoproterozoic and Paleozoic rocks between the western Gyeonggi block in Korea and major blocks in China: Geochronological implication. J. Geol. Soc. Korea, v.51, p.511-524. 

  18. Kim, S.W., Kee, W.-S., Lee, S.R., Santosh, M. and Kwon, S. (2013) Neoproterozoic plutonic rocks from the western Gyeonggi massif,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amalgamation and break-up of the Rodinia supercontinent. Precambrian Res., v.227, p.349-367. 

  19. Kim, S.W., Kwon, S., Santosh, M., Cho, D.L. and Ryu, I.-C. (2014) Detrital zircon U-Pb geochronology and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Paleozoic sequences in western South Korea. J. Asian Earth Sci., v.95, p.217-227. 

  20. Kim, S.W., Kwon, S., Park, S.-I., Yi, K., Santosh, M. and Ryu, I.-C. (2015) Early to Middle Paleozoic arc magmatism in the Korean Peninsula: Constraints from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stry. J. Asian Earth Sci., v.113, p.866-882. 

  21. Kim, S.W., Park, S.-I., Jang, Y., Kwon, S., Kim, S.J. and Santosh, M. (2017) Tracking Paleozoic evolution of the South Korean Peninsula from detrital zircon records: Implications for the tectonic history of East Asia. Gondwana Res., v.50, p.195-215. 

  22. Lee, C.W., Paik,C.H. and Lee, D.W. (1995) Formation and evolution history of the Cretaceous Chunsuman Formation, Korea. J. Korean Earth Sci. Soc., v.16, p.222-231. 

  23. Lee, S.M., Kim, H.S., Na, K.C. and Park, B.Y. (1989) Geological Report of the Tangjin-Changgoha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15p. 

  24. Lee, S.R., Cho, M., Cheong, C.-S., Kim, H. and Wingate, M.T.D. (2003) Age geochemistry,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Neoproterozoic alkakine granitoids in the nor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Precambrian Res. v.112, p.297-310. 

  25. Lim, S.B., Choi, H.I., Kim, B.C. and Kim, J.C. (1999) Depositional systems of the sedimentary basin (I): depositional systems and their evolution of the Proterozoic Paegryeong group and Taean format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16p. 

  26. Lee, Y. I., Choi, T., Lim, H.S. and Orihashi, Y. (2016) Detrital zircon geochronology and Nd isotope geochemistry of the basal succession of the Taebaeksan Bas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Gondwana linkage of the Sino-Korean (North China) block during the Neoproterozoic-early Cambrian. Palaeogeogr. Palaeocl., v.441, p.770-786. 

  27. Mckenzie, N.R., Hughes, N.C., Myrow, P.M., Choi, D.K. and Park, T.-Y. (2011) Trilobites and zircons link north China with the eastern himalaya during the Cambrian. Geology, v.39, p.591-594. 

  28. Na, J., Kim, Y., Cho, M. and Yi, K. (2012)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from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Yeongheung-Seonjae-Daebu islands, Northwestern Gyeonggi massif. J. Petro. Soc. Korea, v.21, p.31-45. 

  29. Na, K.C. (1992) A study on the metamorph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gi Massif. J. Petrol. Soc. Korea, v.1, p.25-33. 

  30. Na, K.C., Kim, H.S. and Lee, S.H. (1982) Stratigraphy and metamorphism of Seosan Group. Econ. Environ. Geol., v.15, p.33-39. 

  31. Park, K.-H., Lee, T.-H. and Yi, K. (2011)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the Daeyangsan Quartzite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Korea. J. Geol. Soc. Korea, v.47, p.423-431. 

  32. Park, S.-I., Kim, S.W., Kwon, S., Thanh, N.X., Yi, K. and Santosh, M. (2014) Paleozoic tectonics of the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South Korea: Insights from geochemistry, chromian-spinel chemistry and SHRIMP U-Pb geochemistry. Gondwana Res., v.26, p.684-698. 

  33. Park, S.-I., Kim, S.W., Kwon, S., Santosh, M., Ko, K. and Kee, W.-S. (2017) Nature of Late Mesoproterozoic to Early Neoproterozoic magmatism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n Peninsula and its tectonic significance. Gondwana Res., v.47, p.291-307. 

  34. So, Y., Rhee, C.W., Choi, P.Y., Kee, W.S., Seo, J.Y. and Lee, E.J. (2013) Distal turbidite fan/lobe succession of the Late Paleozoic Taean Formation, western Korea. Geosci. J., v.17, p.9-25. 

  35. Song, M.Y. and Woo, Y.K. (1992)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earth crust material in the middle of the Korean Peninsula (1): geology in the vicinity of Chunsu Bay. J. Korean Earth Sci. Soc., v.13, p.53-65. 

  36. Vermeesch, P. (2012) On the visualisation of detrital age distributions. Chem. Geol., v.312-313, p.190-194. 

  37. Vermeesch, P. (2013) Multi-sample comparison of detrital age distributions. Chem. Geol., v.341, p.140-146. 

  38. Vermeesch, P. (2018) IsoplotR: A free and open toolbox for geochronology. Geosci. Front., v.9, p.1479-14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