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분지 충전물의 층서, 퇴적시기, 조성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the Stratigraphy, Depositional Age, and Composition of the Chungnam Basin Fill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5, 2019년, pp.357 - 366  

이효종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박승익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지질학전공) ,  최태진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동누층군삼첩기 송림조산운동과 쥬라기 대보조산운동으로 대표되는 두 차례의 광역적인 중생대 지각변형과 관련하여 퇴적되었다. 한반도 남부의 대동누층군을 대표하는 충남분지 충전물은 전기-중기 중생대의 한반도 지질진화사를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식물화석 및 고지자기를 기반으로 한 과거 연구들은 충남분지 충전물의 퇴적시기가 대체로 후기 삼첩기로부터 전기 쥬라기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에 기반한 퇴적시기가 기존의 해석과 불일치함에 따라 충남분지의 발달과 조산운동과의 관계에 대한 논쟁의 여지가 있어 왔다. 본 논문은 충남분지 충전물의 퇴적시기, 층서, 조성에 대한 최근까지의 연구결과를 다루면서, 분지발달 모델이 갖는 문제점을 함께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position of the Daedong Supergroup has been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the Triassic Songrim and Jurassic Daebo orogenies. The Chungnam Basin fills is an important sedimentary succession to understand the geological evolution of the Early to Middle Mesozoic Korean Peninsula. Previous paleontolog...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충남분지 충전물의 층서, 퇴적시기, 그리고 조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고 분지 진화에 대한 해석이 일치하지 못했던 원인을 논의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제시되어 왔던 충남분지의 형성 모델이 갖는 문제점을 확인하려 한다. 이는 충남분지 진화를 제어한 조산운동의 특성 및 전기-중기 중생대 한반도의 지각진화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각을 제시할 것이다.
  • , 2000). 본 논문에서는 충남분지 충전물의 층서, 퇴적시기, 그리고 조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고 분지 진화에 대한 해석이 일치하지 못했던 원인을 논의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제시되어 왔던 충남분지의 형성 모델이 갖는 문제점을 확인하려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충남분지 충전물이 대표적인 연구 대상으로 간주된 이유는? 1). 특히 남포층군으로 명명 되어 왔던 충남분지 충전물의 경우 채굴 가능한 석탄 층에서 식물화석이 대량 산출될 뿐 아니라 그 분포 면 적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대동누층군의 특성을 파 악하기 위한 대표적 연구 대상으로 간주되어 왔다. 따 라서, 고생물학, 퇴적학, 구조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된 연구가 충남분지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e.
대동누층군이란? 대동누층군은 전기 삼첩기 이전의 (변성)퇴적층 및 선캄브리아시대 결정질 기반암의 상부에 부정합적으로 놓여 있는 후기 쥬라기 이전 퇴적층으로서 한반도의 전기 중생대를 대표하는 육성퇴적층이다. 휴전선 이북 에서의 대동누층군은 평안탄전 지역을 비롯하여 여러 지역에 걸쳐 소규모로 산재되어 분포하며, 이남에서는 김포층군(김포, 연천), 남포층군(보령), 반송층군(단양, 문경)이 이에 속한다(Fig.
지질학적으로 중생대 한반도의 진화과정은? 중생대 한반도는 지질학적으로 복잡하게 진화하였다. 고생대 말~중생대 초 고테티스해가 닫히는 과정으로 서 대륙충돌에 의한 조산운동에 영향을 받았으며(Kwon et al., 2009), 쥬라기 이후 유라시아대륙의 활동성 연 변부로서 고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한 조산운동을 경험 하였다(Sagong et al., 2005;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usby, C.J. (2012) Extensional and transtensional continental arc basins: case studies from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In Busby, C.J. and Azor, A.(eds.) Tectonics of Sedimentary Basins: Recent Advances. Blackwell Publishing Ltd, p.382-404. 

  2. Chang, K.H. (1995) Aspects of geological history of Korea. J. Geol. Soc. Korea, v.31, p.72-90. 

  3. Choi, H.I., Kim, D.S. and Seo, H.G. (1987) Stratigraphy,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basin evolution of the Daedong strata in the Chungnam Coalfield.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97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S.-G., Rajesh, V.J., Seo, J., Park, J.-W., Oh, C.W., Pak, S.-J. and Kim, S.W. (2009) Petrology, geochronology and tectonic implications of Mesozoic high Ba-Sr granites in the Haemi area, Hongseong Belt, South Korea. Isl. Arc, v.18, p.266-281. 

  5.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Sci. Rev., v.52, p.175-235. 

  6. Chun, H.Y. (2004) Plant fossils from the Lower Mesozoic Formations in Korea. In Lee, G.C.(eds.) Fossils in Korea. Paleontol. Soc. Korea, p.365-3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un, H.Y., Bong, P.Y., Lee, H.Y. and Choi, S.J. (1988) Palaeontology and stratigraphy of the Chungnam coalfield.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52p. (in Korean) 

  8. Chun, H.Y., Kim, D.H., Um, S.H., Bong, P.Y., Lee, H.Y., Choi, S.J. and Kim, B.C. (1990) The study on the organic remains of the separated sedimentary basin in Korea.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88p. (in Korean) 

  9. Cluzel, D. (1992) Formation and tectonic evolution of early Mesozoic interamontane basins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a reappraisal of the Jurassic "Daebo orogeny". J. Southe. Asian Earth., v.7, p.223-235. 

  10. de Jong, K., Han, S. and Ruffet, G. (2015) Fast cooling following a Late Triassic metamorphic and magmatic pulse: implications for the tectonic evolution of the Korean collision belt. Tectonophysics, v.662, p.271-290. 

  11. Egawa, K. and Lee, Y.I. (2006) Stratigraphy of the Nampo Group in the Ocheon and Oseosan areas: significance of conglomerates of the Jogyeri Formation for unconformity. J. Geol. Soc. Korea, v.42, p.635-643. (in Korean) 

  12. Egawa, K. and Lee, Y.I. (2008) Thermal maturity assessment of the Upper Triassic to Lower Jurassic Nampo Group, mid-west Korea: Reconstruction of thermal history. Isl. Arc, v.17, p.109-128. 

  13. Egawa, K. and Lee, Y.I. (2009) Jurassic synorogenic basin filling in western Korea: sedimentary response to inception of the western Circum?Pacific orogeny. Basin Res., v.21, p.407-431. 

  14. Folk, R.L., Andrews, P.B. and Lewis, D.W. (1970) Detrital sedimentary rock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for use in New Zealand. New Zeal. J. Geol. Geop., v.13, p.937-968. 

  15. Han, R., Ree, J.-H., Cho, D.-L., Kwon, S.-T. and Armstrong, R. (2006) SHRIMP U-Pb zircon ages of pyroclastic rocks in the Bansong Group, Taebaeksan Basin, South Korea and their implication for the Mesozoic tectonics. Gondwana Res., v.9, p.106-117. 

  16. Hayward, A.B. and Graham, R.H. (1989) Som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inversion. In Cooper, M.A. and Williams, G.D.(eds.) Inversion Tectonics. Geol. Soc. London Spec. Publ., v.44, p.17-39. 

  17. Jang, Y., Kwon, S. and Yi, K. (2015) Structural style of the Okcheon fold-thrust belt in the Taebaeksan zone, Korea. J. Asian Earth Sci., v.105, p.140-154. 

  18. Jeon, H., Cho, M., Kim, H., Horie, K. and Hikada, H. (2007) Early Archean to Middle Jurassic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correlation with Chinese cratons: SHRIMP U-Pb zircon age constraints. J. Geol., v.115, p.525-539. 

  19. Kim, J.H. (1996) Mesozoic tectonics in Korea. J. Southe. Asian Earth., v.13, p.251-265. 

  20. Kim, J.H. (2001) New fossil plants from the Nampo Group (Lower Mesozoic). Korea. Geosci. J., v.5, p.173-180. 

  21. Kim, J.H. and Kimura, T. (1988) Lobatannularia nampoensis (Kawasaki) from the Upper Triassic Baegunsa Formation, Nampo Group, Korea. Proc. Jpn. Acad., Series B, v.64, p.221-224. 

  22. Kim, J.H. and Lee, G.H. (2015) Fossil Conchostraca from the Amisan Formation of the Nampo Group, Korea. J. Geol. Soc. Korea, v.36, p.181-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im, J.-N., Ree, J.-H, Kwon, S.-T., Park, Y., Choi, S.-J. and Cheong, C.-S. (2000) The Kyonggi Shear Zone of the Central Koran Peninsula: Late Orogenic Imprint of the North and South China Collision. J. Geol., v.108, p.469-478. 

  24. Kim, S.W. and Kim, I.S. (1998) Palaeomagnetism of the Triassic Taedong Supergroup in the Chungnam Coal Field Area, SW Okchon Belt. J. Geol. Soc. Korea, v.34, p.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Kimura, T. and Kim, B.K. (1984) Geological age of the Daedong flora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in asia. Proc. Jpn. Acad., Series B, v.60, p.337-340. 

  26. Kimura, T. and Kim, B.K. (1988) New taxa in the Late Triassic Daedong flora, South Korea. Part 1. Trans. Proc. Palaeont. Soc. Japan, v.152, p.603-624. 

  27. Kimura, T. and Kim, B.K. (1989) New taxa in the Late Triassic Daedong flora, South Korea. Part 2. Trans. Proc. Palaeont. Soc. Japan, v.155, p.141-158. 

  28. Koh, H.J. (2006) Tectonic implication of the Mungyeong-Jeongseon tectonic line, the Yeongweol Nappe and the Bansong Group in the Ogcheon belt. In Kee, W.S.(eds.) Mesozoic Crustal Evolution of Northeast Asia. Korean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p.228-259. (in Korean) 

  29. Kwon, S., Sajeev, K., Mitra, G., Park, Y., Kim, S.W. and Ryu, I.-C. (2009) Evidence for Permo-Triassic collision in Far East Asia: The Korean collisional orogen. Earth Planet. Sc. Lett., v.279, p.340-349. 

  30. Lee, C.H., Lee, H.K. and Kim, K.W. (1997) Petrochemistry and environmental geochemistry of shale and coal from the Daedong Supergroup, Chungnam Coal Field, Korea. Econ. Environ. Geol., v.30, p.417-4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Lee, D.Y., Ryu, Y.S., Kang, K.W., Yae, J.K. and Ryu, B.H. (1974) Geological Report on Chungnam Coalfield. Dong-A Engineering Geology Consultant, 50p. (in Korean) 

  32. Lee, S.Y., Min, K., Ree, J.-H., Han, R. and Jung, H. (2012) The Geounri shear zone in the Paleozoic Taebaeksan Basin o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J. Struct. Geol., v.42, p.91-103. 

  33. McElhinny, M.W. and Burek, P.J. (1971) Mesozoic Paleomagnetic Stratigraphy. Nature, v.232, p.98-102. 

  34. Min, K.D., Um, J.G., Kim, D.W. and Choi, Y.H. (1992) Paleomagnetic study of the Daedong Group in the Choongnam Coal Field. J. Korean Inst. Min. Geol., v.25, p.87-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Nam, K.S. (2017) Taxonomy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stonefly (order: Plecoptera) nymphs from the Late Triassic Amisan Formation of the Boryeong region, Korea. J. Korean Earth Sci. Soc., v.38, p.293-3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ark, S.-I., Kwon, S., Kim, S.W., Hong, P.S. and Santosh, M. (2018) A Mesozoic orogenic cycle from post-collision to subduction in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New structural, geochemical, and chronological evidence. J. Asian Earth Sci., v.157, p.166-186. 

  37. Park, S.-I., Noh, J., Cheong, H.J., Kwon, S., Song, Y., Kim, S.W. and Santosh, M. (2019) Inversion of two-phase extensional basin systems during subduction of the Paleo-Pacific Plate in the SW Korean Peninsula: Implication for the Mesozoic "Laramide-style" orogeny along East Asian continental margin. Geosci. Front., v.10, p.909-925. 

  38. Park, S.I. and Noh, J. (2015) Jangsan fault: Evidence of structural inversion of the Chungnam Basin. J. Geol. Soc. Korea, v.51, p.451-4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Sagong, H., Kw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v.24, TC5002. 

  40. Shimamura, S. (1931) Geological Atlas of Chosen (1:50,000), Cheongyang, Daecheon, Buyeo and Nampo sheets and the explanatory text. Geological Survey of Chosen (Korea), 11p. 

  41. Smith, G.A. and Landis, C.A. (1995) Intra-arc basins. In Busby, C.J. and Ingersoll, R.V.(eds.) Tectonics of Sedimentary Basins. Blackwell Science, Oxford, p.263-298. 

  42. Son, C.M., Jeong, C.H., Kim, B.C. and Lee, S.M. (1967) Geological report on Chungnam Coalfield (VI). Geological Survey of Korea, 156p. (in Korean) 

  43. Suh, H.G., Kim, D.S., Park, S.H., Lim, S.B., Cho, M.C., Bae, D.J., Lee, C.B., Lee, D.Y., Ryu, Y.S., Park, J.S. and Chang, Y.H. (1980) Geology of the Seongju area, Chungnam Coalfield (I).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42p. (in Korean) 

  44. Suk, D., Doh, S.J. and Kim, W. (2004) Paleomagnetic study of the Proterozoic and Mesozoic rocks in the Kyeonggi Massif. Econ. Environ. Geol., v.37, p.431-4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5. Uno, K. and Chang, K.H. (2000) Paleomagnetic results from the lower Mesozoic Daedong Supergroup in the Gyeonggi Block, Korean Peninsula: an eastern extension of the South China Block. Earth Planet. Sc. Lett., v.182, p.49-59. 

  46. Williams, I.S., Cho, D.L. and Kim, S.W. (2009) Geochronology, and geochemical and Nd-Sr isotopic characteristics, of Triassic plutonic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constraints on Triassic post-collisional magmatism. Lithos, v.107, p.239-256. 

  47. Yu, K.M. and Lee, Y. (1992) Sedimentary petrology of the sandstones of the Daedong Group in western part of the Chungnam Coalfield. J. Geol. Soc. Korea, v.28, p.284-2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