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말과 대한제국 시기 사진기록물의 성격과 생산, 유통 과정
The Facets of Photographic Records on Korea in Modern Era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2, 2019년, pp.225 - 258  

박주석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의 개항 이후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 시대를 찍은 사진기록물은 당시의 기술적 수준이나 대외 개방의 정도를 감안하면 생각보다 많이 존재한다. 한국 관련 사진기록은 서구 사회에 한국을 소개하기 위해 인쇄한 서적의 삽화, 화보 신문이나 잡지의 도판, 빈티지 프린트, 사진엽서, 스테레오 사진, 카드형 사진, 랜턴슬라이드(Lantern Slide) 등 다양한 형태로 보급되었고, 현재도 상당량이 남아 있다. 관련 연구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조선 사람이 처음 사진에 찍힌 1863년부터 1910년 이전에 촬영된 한국 관련 사진은 최소 3,000점에서 4,000점 이상이고, 같은 사진이 중복되기는 하지만 발행된 사진엽서의 수는 25,000점 이상이며, 그중 대부분이 현존하고 있다고 한다. 본 논문은 근대 초기인 구한말 한국 관련 사진기록이 생산되고 유통되는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전형적인 사진가 또는 기관의 활동 사례를 들어 분석했다. 사진에 찍힌 대상은 분명 한국 또는 한국인의 모습이지만, 사진의 생산 주체는 거의 대부분 제국주의의 부역자들인 서양인들과 일본인들이었다. 사진의 경우 생산 주체의 필요나 관점에 따라 사실 관계의 왜곡 가능성이 무척 크다. 그 왜곡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사진의 내용뿐만 아니라 생산자의 의도와 생산 및 소통 경위가 파악되어야 한다. 세월이 많이 흘러 실제 경험자가 없는 시대의 사진기록을 정확하고 공정하게 판독하는 문제는 근대 한국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한국의 근현대사를 폭넓게 연구하기 위한 초석이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opening of Joseon in 1876, the photographic record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exist more than expected, considering the technological level and the social situations at that time. Photographs related to Korea can be distributed in various forms, such as...

주제어

표/그림 (1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대 초기 사진은 무슨 역할을 하였는가? 근대 초기 사진은 실제의 복제품이자 대체재로 인식되었고, 사진의 수집은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고 지식을 축적하는 서구 근대인의 교양 그 자체였다. 신문과 잡지, 여행서적과 사진엽서 등을 통해 공급된 사진들은 근대 서구사회의 시민들과 제국의 국민들에게 살아있는 역사이고 지리였으며 인류학과 민속학, 진화생물학 등의 교과서였고, 제국주의 시대 시각문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문화적 유물이었다(권혁희 2005, 22). 구한말 한국의 사진은 이러한 서구 제국주의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차원에서 생산되고 소통되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사진의 등장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사진의 등장은 시각적 기록의 속도와 양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켰고, 그 결과 사진을 발명하고 활용한 19~20세기 제국주의 세력은 세상을 통제하고 권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최상의 수단을 소유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 19세기 유럽의 지식인들은 사진의 기능과 역할을 세상을 수집해서 지식으로 만들고 보급하는 명백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한국 초기의 사진기록물 해석 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 오늘날 사회와 학문 분야에서는 과거와 달리 사진이미지가 중요한 소통의 도구이자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진기록물에 담긴 내용을 파악하는 일도 물론 중요하지만, 사진 자체의 생산과 유통의 맥락 정보 역시도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 기록학에서 요구하는 맥락 정보를 정확히 이해하고 파악했을 때 비로소 사진기록에 대한 제대로 된 해석이 가능해진다. 본 연구가 한국 초기의 사진기록과 사진이미지 맥락 정보 연구의 초석이 되길 바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德壽宮國葬畵帖, 京城日報社 

  2. 東亞貿易新聞 

  3. 大韓每日申報 

  4. 皇城新聞 

  5. 한반도(韓半島) 

  6. Harper's Weekly 

  7. La Vie Illustree 

  8. L'Illustration 

  9. Le Petit Parisien 

  10. Le Tour du Monde 

  11. The Graphic 

  12. The Illustrated London News 

  13. The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14. The National Geographic 

  15. 강명숙 외. 2009. 침탈 그리고 전쟁. 파주: 청년사. 

  16. 권혁희. 2005.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서울: 민음사. 

  17. 조경철. 2004. 퍼시벌 로우웰. 서울: 대광문화사. 

  18. 최인진. 1999. 한국사진사 1631-1945. 서울: 눈빛. 

  19. 최인진. 2010. 고종, 어사진을 통해 세계를 꿈꾸다. 서울: 도서출판 문현. 

  20. 한국관계고서찾기운동본부. 2006. 코레아 견문록 도록. 

  21. 권행가. 2013. 근대적 시각체제의 형성과정-청일전쟁 전후 일본인사진사의 사진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6, 195-228. 

  22. 김재승. 1996. 朝鮮海域에서 英國의 海洋活動과 韓英關係(1797-1905). 해운물류연구, 23, 217-264. 

  23. 박주석. 2008. 사진과의 첫 만남 : 1863년 연행사 이의익 일행의 사진 발굴. AURA, 18, 50-61. 

  24. 박주석. 2018. 조선인의 사진체험담 연구. AURA, 41, 6-18. 

  25. 박주석. 2019. 일제하 북촌의 사진관과 의 등장. AURA, 42, 61-73. 

  26. 박평종. 2009. 근대시기의 사진기록에 나타난 한국 이미지의 정형성. AURA, 20, 148-159. 

  27. 권행가. 2005. 高宗皇帝의 肖像 : 近代 시각매체의 導入과 御眞의 변용.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미국 보스턴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 2004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 보고서. 

  29. 이돈수. 2008. 근대전기 한국이미지 연구의 지평 확대를 위한 제안. 근대전기(1860's-1910) 한국에 대한 서양인의 이미지 자료 연구 결과보고서 : 자료해설집.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30. Baudelaire, Charles. 1980. The Photography and Modern Public, Classic Essays on Photography. New Haven: Leete's Island Books. 

  31. Belcher, Edward. 1848. Narrative of the Voyage of H.M.S. Samarang, during the years 1843-46. Vol. 1. London: Royal Navy. 

  32. Bennet, Terry. 1997. Korea : Caught in Time. London: Garnet publishing. 

  33. Bishop, Isabella B. 1905(1898). Korea & Her Neighbours vol. I. II. U.K.: John Murray. 

  34. Bishop, Isabella B. 1988. Korea and Her Neighbors. New York: H. Revell Co. 

  35. Hamilton, Angus. 1904. Korea : Das Land des Morgenrots nach Seinen Reisen gescgildort. Germany: Otto Sparner. 

  36. Lowell, Percival. 1885. Choson: The land of morning calm. U.S.: Ticknor and Company. 

  37. Talbot, Henry Fox. 1844-1846. The Pencil of Nature. London: Longman Brown, Green & Longmans. 

  38. White, Trumbull. 1895. The War in the East : Japan, China and Corea. UK: Eliot Publishing Co. 

  39. Zabel, Rudolf. 1906. Meine Hochzeitsreise durch Korea wahrend des russisch- japanischen Krieges. Altenburg: Stephan Geibel Verlag. 

  40. Zuber, M. H. 1873. Une expedition en Coree. Paris: Le Tour Du Monde. 

  41. Benjamin, Walter. 1991, Schicksal und Charakter Zur Kritik der Gewalt Uber den begriff der geschichte et al. Suhrkamp; Frankfrut a. M. (최성만 옮김. 2008.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폭력비판을 위하여 초현실주의 외. 서울: 도서출판 길). 

  42. Newhall, Beaumont. 1982. The history of photography : from 1839 to the present. New York: The Museum of Modern Art. (정진국 옮김. 2003. 사진의 역사. 서울: 열화당). 

  43. Said, Edward W. 1993. Culture and imperialism. New York: Knopf. (김성호.정정호 옮김. 2002. 문화와 제국주의. 서울: 도서출판 창). 

  44. Bishop, Isabella B. 1988. Korea and Her Neighbors. New York: H. Revell Co. (이인화 옮김. 1994.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서울: 도서출판 살림). 

  45. Daval, Jean-Luc. 1982. Photography ; history of an art. New York: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박주석 옮김. 1991. 사진예술의 역사. 서울: 미진사). 

  46. Pultz, John. 1995. Photography and the Body. London: Everyman art library. (박주석 옮김. 2000. 사진에 나타난 몸. 서울: 예경). 

  47. Lowell, Percival. 1885. Choson: The land of morning calm. U.S.: Ticknor and Company. (조경철 역. 1986. 고요한 아침의 나라. 서울: 대광문화사).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