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시기 항공 LiDAR를 활용한 도시림 개체목 수고생장분석
Analysis of the Individual Tree Growth for Urban Forest using Multi-temporal airborne LiDAR dataset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5, 2019년, pp.1 - 12  

김성열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  김휘문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  송원경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  최영은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최재용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문건수 (삼아항업(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height of trees as an essential element for assessing the forest health in urban areas. Therefore, an automated method that can measure the height of individual tree as a three-dimensional forest information is needed in an extensive and dense forest. Since airborne L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LiDAR 데이터를 활용하여 침엽수림을 대상으로 자동화된 방법으로 개체목을 추출하고, 다중시기 항공 LiDAR 데이터를 통해 수고 생장을 정량화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수고생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개체목 단위의 수고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를 파악하고자 한다.
  • 개체목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격자단위의 분석은 위치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는 항공사진측량 규정의 오차범위 내로서 허용될 수 있는 수준이라 판단된다. 더불어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격자크기를 0.5m로 선정함으로서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방법은 자동화된 추출방법으로 고밀도의 넓은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 판단된다.
  • 또한 10cm급 고해상도 정사영상의 영상판독을 통한 개체목 추출과 비교·검증하여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 이를 통해 도시림 복원 및 관리와 산림 건강성 평가 등 객관적인 수치를 통한 과학적인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더불어 도시림 수고생장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서 개체목 단위 수고생장에 교란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개체목 단위의 수고생장량 분석에 대한 국내 첫 자료로서 접근이 어려운 산림 내에서 개체목 단위 분석과 보다 정확한 도시림의 건강성 평가 및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연구는 LiDAR 데이터를 활용하여 침엽수림을 대상으로 자동화된 방법으로 개체목을 추출하고, 다중시기 항공 LiDAR 데이터를 통해 수고 생장을 정량화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수고생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개체목 단위의 수고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iDAR란? LiDAR는 항공기에 탑재된 LiDAR장비에서 레이저 펄스(pulse)를 발사하고, 지표의 물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과 방향을 측정하여 지표물의 정확한 3차원 좌표를 얻는 기술이다(Cho et al, 2003). 산림지역에서 레이저 반사 신호가 임목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질을 이용하여 산림정보 취득에 활용되고 있다(Nelson et al, 1997).
항공사진과 같은 원격탐사도구의 단점은? 산림자원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수관 및 수고를 추정하는 기법이 활용되고 있지만, 영상판독에 의한 방법을 광범위한 산림지역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Woo et al, 2007). 또한 항공사진과 같은 원격탐사도구는 태양의 고도에 따라 그림자로 인한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2차원적인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높이 값(z 좌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산림에서 개체목을 추출하기 위한 자동화 기법과, 이로 인하여 고밀도 3차원 자료인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자료를 활용한 산림 정보 추출 연구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Kim et al, 2009).
상관관계 분석을 침엽수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는 리기다소나무, 4영급, 중경목, 중밀도의 개체를 대상으로만 수행한 이유는? 주변 환경과 개체목 단위 수고생장량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도로와의거리, 토양습윤지수 (TWI), 토양배수등급, 유효토심, 태양복사에너지, 경사도, 고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때 수목의 수고생장은 영급, 경급, 밀도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관관계 분석은 침엽수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는 리기다소나무, 4영급, 중경목, 중밀도의 개체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yrey, E.?S. Fraver.?J. A. Kershaw.?L. S. Kenefic.?D. Hayes.?A. R. Weiskittel and B. E. Roth. 2017. Layer Stacking: A Novel Algorithm for Individual Forest Tree Segmentation from LiDAR Point Clouds. Canadian Journal of Remote Sensing. 43(1) : 16-27 

  2. Beven, K. J and M. J. Kirkby.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 Science Bulletin. 24(1) : 43-69 

  3. Chen, Q.?D. Baldocchi.?P. Gong and M. Kelly. 2006. Isolating individual trees in a savanna woodland using smallfootprint LiDAR data. Photogramm. Eng. Remote Sens. 72(8) : 923-932. 

  4. Cho, W. S.?Y. J. Lee and Y. S. Jwa. 2003. Automatic Extraction of Building using Aerial Photo and Airborne LiDAR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19(4) : 307-317. (in Korean) 

  5. Choi, H. J. 2018. Estimation of the Urban Forest Growth Using Multi-temporal LiDAR Dataset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 Thesis. (in korean) 

  6. Choi, J. Y..S. Y. Kim..H. M. Kim..W. K. Song..J. Y. Lee..W. T. Choi..G. S. Moon. 2018. Analysis of Individual Tree Change Using Aerial Photograph in Deforested area Before and After Road Construction. J. Korean Env. Res. Tech. 21(4):65-73. (in korean) 

  7. Clark, N. E.?R. Lovell.?B. W. Wheeler?S. L. Higgins?M. H. Depledge and K. Norris. 2014. Biodiversity, cultural pathways, and human health: a framework. Trends Ecol Evol 29(4) : 198-204 

  8. Hopkinson, C.?L. Chasmer and R. J. Hall. 2008. The uncertainty in conifer plantation growth prediction from multi-temporal LiDAR datase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3) : 1168-1180. 

  9. Jang, A. J?K. Y. Yu?Y. I. Kim and B. K. Lee. 2006. Estimation of Individual Tree and Tree Height using Color Aerial Photograph and LiDAR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snsing. 22(6) : 543-551. (in korean) 

  10. Kim, D. Y?Y. W. Jang?Y. W. Choi?D. S. Baei and G. S. Cho. 2009. A Study on Forest Information Extraction using Airborne LiDAR Data.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Journal of cadastre and land informatix. 46(1) : 87-100. (in korean) 

  11. Kim. D. Y. 2010. Utilizing Airborne LiDAR to extract forest inform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aster Thesis. (in korean) 

  12. Kim, D. Y?Y. W. Choi?G. S. Lee. and G. S. Cho. 2016. Extracting Individual Number and Height of Tree using Airborne LiDAR Data.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6(1) : 87-100 

  13. Kim, H. S. 2003. A Study for the Comparison about the Growth Amountof Principal Kinds of Trees between the Urban Forest and the Natural Forest. Seoul university Master thesis. (in korean) 

  14. Lee, C. H.?D. S. Choi.?S. W. Lee.?E. Y. Kim..H. O. Jin.?J. H. Jeong.?C. Y. Lee and J. S. Oh. 2004. Growth and Photosynthetic rate of Pinus koraiensis and Pinus rigida in Banwol Industrial Region. J. Kor. For. En. 23(1):19-25. (in korean) 

  15. Lefsky, M. A.?W. B. Cohen and T. A. Spies. 2002. An evaluation of alternate remote sensing products for forest inventory, monitoring, and mapping of Douglas-fir forests in western Oregon.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aserch. 31(1) : 78-87 

  16. Ma, Q.?Y. Su and Q. Guo. 2017. Comparison of Canopy Cover Estimations From Airborne LiDAR, Aerial Imagery, and Satellite Imagery.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10(9) : 4225-4236 

  17. Mahoney, C.?H. Chris.?N. Kijun and E. V. Gorsel. 2017. Estimating Canopy Gap Fraction Using ICESat GLAS within Australian Forest Ecosystems. Remote sensing. 9(1) : 59 

  18.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07. pitch pine(Pinus rigida) management plan. 

  19.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 Timber Biomass and Forest Harvest Report 

  20. Nelson, R. F.?R. G. Oderwald and T. G. Gregoire. 1997. Separating the ground and airborne laser sampling phases to estimate tropical forest basal area, volume, and biomas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60(3) : 311-326 

  21. Korhonen, L.?I. Korpela.?J. Heiskanen and M. Maltamo. 2011. Airborne discrete-return LiDAR data in the estimation of vertical canopy cover, angular canopy closure and leaf area index.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4): 1065-1080. 

  22. Norman, J. M. and G. S. Campbell. 1989. Canopy structure. Plant Physiological Ecology: Field methods and instrumentation : 301-325 

  23. Palenichka, R.?F. Doyon.A. Lakhssassi and M. B. Zaremba. 2013. Multi-scale segmentation of forest areas and tree detection in LiDAR images by the attentive vision method. IEEE J. 6(3) : 1313-1323. 

  24. Park, G. C. 1993. Relati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soil to site indices of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Pinus densiflora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stands. Doctor's thesis, Gyeongsang Univ. (in korean) 

  25. Park, S. G.?S. H. Hong and C. J. Oh. 2017.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Korean Red Pine and Location Environment in Temple Forests in Jeollanam-do, Korea. Korean J. Environ. Ecol. 31(4) : 409-419. (in korean) 

  26. Sung, W. G.?D. G. Lee and Y. H. Kim. 2018. Analyzing Difference of Urban Forest Edge Vegetation Condition by Land Cover Types Using Spatio-temporal Data Fusion Method. J. Environ. Impact Assess. 27(3): 279-290. (in korean) 

  27. Vepakomma, U.?B. St-Onge and D. Kneeshaw. 2008. Spatially explicit characterization of boreal forest gap dynamics using multi-temporal LiDA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5) : 2326-2340. 

  28. Vepakomma, U.B. St-Onge and D. Kneeshaw. 2011. Response of a boreal forest to canopy opening: Assessing vertical and lateral tree growth with multi-temporal LiDAR data. Ecological Applications. 21(1) : 99-121. 

  29. Vincent, L. and P. Soille. 1991. Watersheds in digital spaces: an ecient algorithm based on immersion simulations. IEEE PAMI. 13(6) : 583-598. 

  30. Woo, C. S.J. S. Yoon?J. I. Shin and K. S. Lee. 2007. Automatic Extraction of Individual Tree Height in Mountainous Forest Using Airborne LiDAR Data.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6(3): 251-258. (in korean) 

  31. Zhao, K and S. Popescu. 2009. LiDAR-based mapping of leaf area index and its use for validating GLOBCARBONsatellite LAI product in a temperate forest of the southern US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8) : 1628-16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