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과 연계한 장소기반 지구과학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봉사활동 사례 연구: 지구의 크기 측정
A Case Study of Service Education Activities Applying Mathematics into a Place-Based Earth Science Program: Measuring the Earth's Size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0 no.5, 2019년, pp.518 - 537  

유은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경화 (창덕여자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수학과 연계된 지구과학 실험 중 지구의 크기 측정을 중심으로 총 30시간 동안 지구과학 교육봉사 활동에 참여한 예비 지구과학교사와 중학생들에게 본 프로그램이 주는 의미를 살펴보고 혁신적 수업으로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소개된 고대 그리스 시대 에라토스테네스의 그림자 길이를 이용한 지구 크기 측정 실험에서 나타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멀리 떨어진 수도권과 지방의 두 개의 중학교에서 삼각비를 이용한 탐구 활동을 수행 한 후, 실측한 자료를 두 학교 학생들이 공유하여 지구의 크기를 최종적으로 계산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실측 자료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수학적 방법을 배우며, 반복적이고 정확한 자료 획득 과정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체험하고, 도출된 결과에 포함된 오차의 원인들에 대해 토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들이 지구과학 탐구의 특성을 이해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수학교과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교과 역량인 문제 해결력,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수학 과학 통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a place-based earth science program integrated with Mathematics. 11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nd 22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ervice education activities of earth science for 30 hours focusing on the measurement of the earth's siz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을 연계한 장소기반의 지구과학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혁신적 수업으로의 가능성과 교과 역량 신장이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외부자적 관점(etic)과 내부자적 관점(emic)에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현상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그러나 중학교 수준의 과학교과에서는 동일한 단위가 아닌 경우의 비례식도 다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은 이해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대부분의 과학 개념이 비(ratio)의 관계로 정의되고, 과학적 현상을 설명할 때 그래프나 문제 풀이 과정에서 비는 필수적인 개념이므로, 비례에 대한 이해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과학 현상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과학 학습에 흥미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출발점은 중학교 지구과학 영역의수업 활동에서 학습자들에게 어렵게 느껴지는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시작하였다.
장소기반 교육이란? 관측 및 역사 과학으로서 지구과학은 장소에 크게 의존하므로 장소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방식은 지구과학 교육에 적용될 수 있다. 장소기반 교육(Placed Based Education: 이하 PBE)은 개인적인 애착과 의미를 가진 특정 장소와 맥락 속에서 실제 또는 대리 경험을 통해 맥락과 분명한 관련성을 형성하게 되는 간학문적(transdisciplinary) 교수 학습 방식이다(Semken et al., 2017).
수학과 과학 교과간의 통합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자연세계의 규칙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자연현상을 양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학은 과학적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언어이다(Ziman, 1991). 과학의 많은 영역에서 수학 교과의 학습 내용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어 수학의 어려움으로 인해 과학 학습에서 곤란을 겪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수학과 과학 교과간의 통합 교육이 가능한 주제를 선택하여 통합적인 교수모형을 설계하고 수학과 과학 분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Park & Choi, 2010; Park, 2014; Angell et al, 2008; De Lozano & Cardenas, 2002; Hines & McMahon, 2005; Prain &Waldrip,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 Angell, C., Kind, P. M., Henriksen, E. K., and Guttersrud, O., 2008, An empirical-mathematical modelling approach to upper secondary physics. Physics Education, 43(3), 256-264. 

  3. Apple, J., Lemus, J., and Semken, S., 2014a, Teaching geoscience in the context of culture and plac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2: 14. 

  4. Apple, J., Lemus, J., and Semken, S., 2014b, Teaching geoscience in the context of culture and place: Theme issue continued.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2: 157. 

  5. Cho, S-J., and Nam, S-J., 2015, An Exploration on the Significance and the Effect of Place-Based Education (PB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ducation, 23(1), 1-17. (in Korean) 

  6. De Lozano, S. R., and Cardenas, M., 2002, Some learning problems concerning the use of symbolic language in physics. Science Education, 11, 589-599. 

  7. Gautreau, B.T., and Binns, I.C., 2012, Investigating student attitudes and achievements in an environmental place-based inquiry in secondary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 Science Education, 7(2), 167-195. 

  8. Gosselin, D.C., Manduca, C., Bralower, T., and Mogk, D., 2013, Transforming the teaching of geoscience and sustainability.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94: 221-222. 

  9. Hines, E., and McMahon, M. T., 2005, Interpreting middle school students' proportional reasoning strategies: Observations from preservice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5(2), 88-105. 

  10. Kim H., Kim E., Lee E., Gae B., Lee E., Kim H., Lee K., and Lee B., 2017. Development of future school establishment.operation model.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CR 2017-6. 

  11. Kim H., Lee M., Yang Y., Bae J., Lee Y., Kim J., Park I., and Lee S., 2018.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implementation monitoring research: monitoring system desig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C2018-5. (in Korean) 

  12. Kim, J., and Bang, J., 2013, An analysis on third graders' multiplicative thinking and proportional reasoning abilit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3(1), 1-16. (in Korean) 

  13. Lim, J. and Lee, B., 2013, Analysis of students' difficulty factors in solving physics problems. New Physics: Sae Mulli, 63(9), 963-974. (in Korean) 

  14. Metzger, E.P., Blockstein, D.E., and Callahan, C.N., 2017,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sustainability: An introduction.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5(2):81-85. 

  15.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n) 

  1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2010 Teacher Qualification Handbook.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n)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National Academy Press. 

  18.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19. Park, E.J., 2014, Student Understanding of Scale: From Additive to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Constriction of Scale Representation by Ordering Objects in a Number Li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4), 335-347. 

  20. Park, E-J., 2014, Student Understanding of Scale: From Additive to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Constriction of Scale Representation by Ordering Objects in a Number Li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4), 335-347. (in Korean) 

  21. Park, E-J., and Choi, K, 2010, Analysis of mathematical structure to identify students' understanding of a scientific concept: pH value and scal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7), 920-932. (in Korean) 

  22. Piburn, M.D., Sawada, D., Falconer, K., Turley, J., Benford, R., and Boom, I. 2000.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RTOP). Available at http://physicsed.buffalostate.edu/AZTEC/RTOP/RTOP_full/index.htm (accessed 28 January 2019). 

  23. Prain, V., and Waldrip, B., 2006, An exploratory study of teachers' and students' use of multi-modal representations of concepts in primary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5), 1843-1866. 

  24. Roebuck, K., and Warden, M., 1998, Searching for the center in the mathematics-science continu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6), 328-333. 

  25. Rutherford, F., and Ahlgren, A.,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6. Sawada, D., Piburn, M., Turley, J., Falconer, K., Benford, R., Bloom, I., & Judson, E., 2000.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RTOP) training guide. (ACEPT Technical Report No.IN00-2). Collaborative for Excellence in the Preparation of Teachers, Arizona State University. 

  27. Semken, S., Ward, E.G., Moosavi, S., and Chinn, P., 2017, Placed-based education in geoscience: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assessment.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5, 542-562. 

  28. Son, Y-J., and Nam, S-J., 2009, The implication of narratives based on brain science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A case of 'Place learning',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7(2), 109-124. (in Korean) 

  29. Streule, M.J., and Crai, L.E., 2016, Social Learning Theories-An Important Design Consideration for Geoscience Fieldwork.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4, 101-107. 

  30. Suh, B., Kim, H., Kim, J., Kim, J., Kim, H. and Chae, J., 2008, The analysis of the tendency that the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affects the learning of science and the research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object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1(4), 677-694. (in Korean) 

  31. Temiz T., and Topcu M.S., 2014.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into Turkish. Elementary Education Online, 13(3), 1122-1234. 

  32. Wattchow, B., and Brown, M., 2011, A pedagogy of place: Outdoor education for a changing world. Clayton, Victoria, Australia: Monash University Publishing. 

  33. Yoon, O., 2016, Practices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4(1), 139-150. (in Korean) 

  34. Yu, E-J., Lee, S-K., and Kim, C-J., 2007, Investigation science-talented students' understandings and meaning generation about the earth systems based on their geological field trip reports. 28(6), 673-685. (in Korean) 

  35. Ziman, J., 1991, Reliable knowledge: An exploration of the grounds for belief in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