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외 수집 홍화 유전자원의 항산화 활성 및 세로토닌 유도체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Serotonin Derivatives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Germplasm Collected from Five Countri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5, 2019년, pp.423 - 432  

정이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아와리스 아세파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이재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이호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이주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성정숙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란 등 5개국에서 수집한 홍화자원을 대상으로하여 천연항산화제로써 홍화종자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세로토닌 유도체인N-(p-Coumaroyl) serotonin과N-feruloylserotonin의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총폴리페놀함량은 $28.25{\sim}90.53{\mu}g\;GAE/mg\;DE$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색소화합물인 DPPH 라디칼과$ABTS^{+}$을 이용한 유리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하는 DPPH assay와 ABTS assay의 값은 18.76 ~ 93.98 및 $48.91{\sim}163.73{\mu}g\;ASCE/mg\;DE$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시료의 환원능을 측정하는 방법인 FRAP assay과 RP assay는 3.80 ~ 132.29 및 $26.32{\sim}80.08{\mu}g\;ASCE/mg\;DE$의 범위로 나타내었다. UHPLC를 이용하여 CS와 FS를 분석한 결과, CS 함량은 2.56 ~ 64.99 mg/g DE이고, FS 함량값은 1.92 ~ 65.36 mg/g DE이었다. 5개국 중 이란 원산종은 다른 나라에 비해 세로토닌 유도체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평균값이 높게 측정되었다. 항산화 활성과 세로토닌 유도체 함량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CS는 TPC와 ABTS, DPPH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r = 0.673, 0.727, 0.820), FS는 DPPH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 = 0.740). RACI를 통하여 선발된 IT321214과 IT321215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자원으로 천연항산화제 소재 탐색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elect potential plant resources as functional materials and natural antioxidants, we evaluated antioxidant activity and serotonin derivatives of safflower germplasm collected from five countries. N-(p-Coumaroyl) serotonin (CS) and N-feruloylserotonin (FS) were analyzed by using Ultra P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 사용된 아프가니스탄, 이란, 이라크, 이스라엘, 요르단은 홍화의 기원 및 원산지이다. 따라서 5 개국의 홍화 종자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 및 세로토닌 유도체 함량을 비교하여 국가별 차이를 알아보고, 항산화능이 높은 자원을 선발하여, 새로운 천연항산화제 개발을 위한 식물 소재와 유용정보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란 등 5개국에서 수집한 홍화자원을 대상으로 하여 천연항산화제로써 홍화종자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세로토닌 유도체인N-(p-Coumaroyl) serotonin과N-feruloylserotonin의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총폴리페놀함량은 28.
  • 740).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성분과 항산화 활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CS와 FS 사이에서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r=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간의 총폴리페놀 함량(TPC)를 비교한 결과 페놀 함량이 높은 지역은? Sung et al.(2018)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과 일본, 한국, 북한에서 수집한 홍화 유전자원의 TPC는 68, 58, 62 및 70 ㎍ GAE/㎎로 조사되었고, 본연구에 사용된 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동아시아 지역의 홍화 유전자원에서 페놀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방법이 같은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지역간TPC 차이는 홍화 유전자원이 지닌 유전자형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홍화란? , 2018; Yu and Moon, 2018). 홍화는 잇꽃이라고 불리며,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이집트 및 아프가니스탄, 이란 이라크 등 중동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다목적 작물인 홍화는 오랜 재배 역사를 가진 작물 중 하나이며, 식품의 착색염료 등 천연 염료와 혈액과 심장, 자궁, 비뇨기 등 약재로 사용되고, 다량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 식용유 및 산업용 오일로 이용된다(Choi et al.
세로토닌 유도체의 생리학적 특징은? 세로토닌 유도체는 홍화 종자의 성분 중에서 독특한 페놀 성분으로 indole hydroxycinnamic acid amides 그룹에 포함된다. 세로토닌 유도체는 자유 라디컬 생성 시스템에 의해 유도된 LDL 산화를 억제한다고 보고하였으며(Cho et al., 2006;Koyama et al. 2006), 홍화에서 분리된 세로토닌 유도체의 항산화 효과는 NO와 관련 있는 허혈-재관류 심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고하였다(Hotta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rnao, M.B. 2000.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in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chromogen radicals: A Practical Case. J. Trends Food Sci. Technol. 11:419-421. 

  2. Bae, S.J., S.M. Shim, Y.J. Park, J.Y. Lee, E.J. Chang and S.W. Choi. 2002. Cytotoxicity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seed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on cancer cell lines. J. Food Sci. Biotechnol. 11:140-146 (in Korean). 

  3. Baek, N.I., M.H. Bang, J.C. Song, S.Y. Lee and N.K. Park. 1999. N-feruloylserotonin, antioxidative component from the seed of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366-368 (in Korean). 

  4. Benzie, I.F. and J.J. Strain.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J. Anal. Biochem. 239:70-76. 

  5.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erican Oil Chem. Soc. 52:59-63. 

  6. Cheeseman, K.H. and T.F. Slater. 1993. An introduction to free radical biochemistry. Br Med Bull. 49(3):48-493. 

  7. Cho, S.H., Y.Y. Park, J.Y. Yoon, S.W. Choi and T.Y. Ha. 2006. The effect of polyphenols from safflower seed on HMG-CoA reductase (HMGR) activity, LDL oxidation and apo A1 secretion. Kor. J. Food Sci. Technol. 38:279-283 (in Korean). 

  8. Choi, C.H., H.D. Kim, and E.B. Im. 2011. Reviews of research trends on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J. KMC. 24:63-90 (in Korean). 

  9. Hotta, Y., A. Nagatsu, W. Liu, T. Muto, C. Narumiya, X. Lu, M. Yajima, N. Ishikawa, K. Miyazeki and N. Kawai. 2002. Protective effects of antioxidative serotonin derivatives isolated from safflower against postischemic myocardial dysfunction. J. Mol. Cell. Biochem. 238:151-162. 

  10. Ito, N., S. Fukushima, A. Haqlwara, M. Shibata and T. Ogiso. 1983. Carcinogenicit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in F344 rats. J. Natl. Cancer Inst. 70:343-352. 

  11. Jang, T.W., S.H. Nam and J.H. Park. 2016.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of ethyl acetate fractions extracted from cone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Korean J. Plant Res. 29:163-170 (in Korean). 

  12. Kim, D.H., E.Y. Hwang and J.H. Son. 2013.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rthamus tinctorious seed extracts in raw 264.7 cells. J. Life Sci. 23:55-62 (in Korean). 

  13. Kim, E.O., K.T. Lee and S.W. Choi. 2008. Chemical comparison of germinated and ungerminate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seeds. J. Kor. Soc. Food Sci. Nutr. 37:1162-1167 (in Korean). 

  14. Kim, J.H., J.K. Kim, W.W. Kang, Y.S. Ha, S.W. Choi and K.D. Moon. 2003. Chemical compositions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s of safflower. J. Kor. Soc. Food Sci. Nutr. 32:733-738 (in Korean). 

  15. Kim, Y.O., S.W. Lee, S.O. Yang, S.W. Na, S.K. Kim and J.H. Chung. 2014.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s of Carthamus tinctorius L. on transient cerebral global ischemia in rats. Kor. J. Med. Crop Sci. 22(1):46-52 (in Korean). 

  16. Koyama, N., K. Kuribayashi, T. Seki, K. Kobayashi, Y. Furuhata, K. Suzuki, H. Arisaka, T. Nakano, Y. Amino and K. Ishii. 2006. Serotonin derivatives, major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antioxidants, inhibit low 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and atherosclerosis in apolipoprotein E-deficient mice. J. Aric. Food Chem. 54:4970-4976. 

  17. Kumar, A., P. Pant, S. Basu, G. Rao and H. Khanna. 2006. Oxidative stress in neonatal hyperbilirubinemia. J. Trop. Pediatr. 53:69-71. 

  18. Lee, M.K., J.S. Park, H.J. Song and S.U. Chon. 2014a. Effects of polyphenol and catechin levels on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edible flower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7(2):111-118 (in Korean). 

  19. Lee, Y.J., J.H. Kim, J.W. Oh, G.H. Shin, J.S. Lee, J.H. Cho, J.J. Park, J.H. Lim and O.H. Lee. 2014b.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kohlrabi and radish sprout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46:531-537 (in Korean). 

  20. Lobo, V., A. Patil, A. Phatak and N. Chandra. 2010.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functional foods: Impact on Human Health. J Pharmacogn. Rev. 4:118. 

  21. Mujic, I., E. Sertovic, S. Jokic, Z. Saric, V. Alibabic, S. Vidovic and J. Zivkovic. 2011. Isoflavone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ybean seeds. Croatian J. Food Sci. Technol. 3:16-20. 

  22. Nho, J.H., M.O. Sim, H.K. Jung, M.J. Lee, J.H. Jang, D.E. Jung, T.K. Sung, B.K. An and H.W. Cho. 2018. Anti-colorectal canc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iae radix ethanol extract in vitro. Korean J. Plant Res. 31(2):102-108 (in Korean). 

  23. Ou, B., D. Huang, M. Hampsch-Woodill, J.A. Flanagan and E.K. Deemer. 2002.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on vegetables employing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A Comparative Study. J. Aric. Food Chem. 50:3122-3128. 

  24. Peng, X.R., X. Wang, J.R. Dong, X.J. Qin, Z.R. Li, H. Yang, L. Zhou and M.H. Qiu. 2017. Rare hybrid dimers with anti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from a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oil cake. J. Aric. Food Chem. 65(43):9453-9459. 

  25. Perron, N.R. and J.L. Brumaghim. 2009. A review of the antioxidant mechanisms of polyphenol compounds related to iron binding. Cell. Biochem. Biophys. 53:75-100. 

  26. Piao, X.M., E.K. Jang, J.W. Chung, G.A. Lee, H.S. Lee, J.S. Sung, Y.A. Jeon, J.R. Lee, Y.G. Kim and S.Y. Lee. 2013. Variation in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in tomato stems and leaves. Plant Breed.Biotech.1:366-373 (in Korean). 

  27. Qazi, N., R.A. Khan and G.H. Rizwani. 2015. Evaluation of antianxiety and antidepressant properties of Carthamus tinctorius L. (safflower) petal extract. Pak J Pharm Sci. 28.3:991-5. 

  28.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1231-1237. 

  29. Sakamura, S., Y. Terayama, S. Kawakatsu, A. Ichihara and H. Saito. 1978. Conjugated serotonins related to cathartic activity in safflower seeds (Carthamus tinctorius L.). Agric Biol. Chem. 42:1805-1806. 

  30. Song, J.C., N.K. Park, H.S. Hur, M.H. Bang and N.I. Baek. 2000.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 J. Med. Crop Sci. 8:94-101 (in Korean). 

  31. Sun, T. and S. Tanumihardjo. 2007. An integrated approach to evaluate food antioxidant capacity. J. Food Sci. 72:159-165. 

  32. Sung, J.S., Y.J. Jeong, D.J. Kim, A.D. Assefa, Y.A. Jeon, O.S. Hur, N.Y. Ro, H.C. Ko, H.C. Ok, J.H. Rhee, M.C. Lee and H.J. Baek. 2018. Oi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afflower germplasm collected from east asia. Kor. J. Med. Crop Sci. 26:32-41 (in Korean). 

  33. Takahashi, T. and M. Miyazawa. 2012. Potent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Phytotherapy Research 26(5):722-726. 

  34. Waterhouse, A.L. 2002.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s: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35. Wei, X., H. Liu, X. Sun, F. Fu, X. Zhang, J. Wang, J. An and H. Ding. 2005. Hydroxysafflor yellow A protects rat brains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jury by antioxidant action. Neurosci. Lett. 386:58-62. 

  36. Yen, G.C. and H.Y. Chen. 1995.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city. J. Aric. Food Chem. 43:27-32. 

  37. Yoo, K.M., D.O. Kim and C.Y. Lee. 2007.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7-11 (in Korean). 

  38. Yu, J.M. and H.I. Moon. 2018. Antioxidant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extracts from Dendropanax morbiferus. Korean J. Plant Res. 31(1):10-15 (in Korean). 

  39. Yu, S.Y., Y.J. Lee, J.D. Kim, S.N. Kang, S.K. Lee, J.Y. Jang, H.K. Lee, J.H. Lim and O.H. Lee. 2013.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adipogenic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Nutrients 5(12):4894-4907. 

  40. Zhang, H.L. A. Nagatsu, T. Watanabe, J. Sakakibara and H. Okuyama. 1997. Antioxida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oil cake. Chem. Pharm. Bull. 45:1910-19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